경북 경주시 양북면에 있는 신라 문무대왕릉과 감은사지는 서로 밀접한 사연을 가지고 있다. 무슨 사연일까?
경주로 간다. 경주에서 다시 감은사지를 찾아서......
경주 보문단지에서 감은사지로 가는 길
경주 감은사지(感恩寺址)는 경북 경주시 양북면 용당리에 있는 신라시대(682년, 신문왕 2년)에 신문왕이 부왕 문무왕의 뜻을 이어 창건한 감은사 절터이다. 감은사지 근처 바다에는 문무왕의 해중릉(海中陵)인 대왕암(大王巖)이 있다.
문무왕은 해변에 절을 세워 불교의 힘으로 왜구를 격퇴시키려 하였으나, 절이 완공되기 전에 병이 위독하게 되었다. 문무왕은 승려 지의(智義)에게 '죽은 후 나라를 지키는 용이 되어 불법을 받들고 나라를 지킬 것'을 유언하고 사망하자, 그의 유언에 따라 화장한 뒤 동해에 안장하였으며, 신문왕이 부왕의 뜻을 받들어 절을 완공하고 감은사라 하였다.
그 때 금당(金堂) 아래에 용혈을 파서 용이 된 문무왕이 해류를 타고 문무왕릉과 감은사를 왕래할 수 있도록 하였다. 682년 신문왕은 동해의 호국룡이 된 문무왕과 삼십삼천(三十三天)의 아들로 태어난 김유신(金庾信)으로부터 나라를 지킬 보물인 신비스러운 피리 만파식적(萬波息笛)을 얻었다.
이 절은 황룡사(皇龍寺), 사천왕사(四天王寺) 등과 함께 호국의 사찰로서 명맥을 이어왔으나, 언제 폐사가 되었는지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절터에는 국보 제112호인 삼층석탑 2기가 있다. 이 석탑들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석탑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고선사(高仙寺)의 삼층석탑, 나원리의 오층석탑 등과 함께 신라통일기의 전형적인 탑파양식을 따르고 있다.
금당터는 비교적 잘 보존되어, 지표(地表)에는 원형 주좌(柱座)가 각출(刻出)된 1개의 초석이 있고, 곳곳에 사각형 초석(楚石)과 대석(臺石)이 있으며, 금당 마루를 이루었던 장대석 등이 있다. 중문터와 회랑터의 남쪽 절반 및 금당터의 대부분이 밭이 되었고, 회랑터 북쪽 절반과 강당터에는 민가가 들어 서 있다.(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문무대왕릉이 있는 해변에는 횟집을 비롯하여 식당이 많이 있다. 이곳 횟집의 물회가 맛있다.
경주 문무대왕릉 (慶州 文武大王陵)은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 바다에 있는 대왕암에 안치되어 있는 신라 30대 문무왕(661-681년)의 바다 속의 왕릉이다.
문무왕은 그의 부친인 무열왕의 업적을 이어받아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당의 침략을 막아 삼국통일을 이루었으며 중앙관청의 창설과 지방통치를 위한 군사제도의 기틀 마련을 통하여 국가 체제를 완성하였다.
문무왕릉은 자연적인 바위(대왕암)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에 사방으로 향하는 인공수로가 있어 바닷물이 동쪽에서 유입하여 서쪽으로 유출하게 만들었다. 수면 아래에는 길이 3.7m, 폭 2.06m의 남북방향으로 길게 놓인 넓적한 거북모양의 돌이 덮혀 있고 이 안에 문무왕의 유골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문무왕이 승하하면서 '불교식 장례에 따라 화장하고, 동해에 묻으면 용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는 유언을 남겼다고 한다. 그의 아들 신문왕은 동해 근처에 감은사를 세워 법당 아래 동해를 향하는 배수로를 만들어 용이 된 문무왕이 왕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한다.(자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이제 문무대왕의 수중왕릉과 감은사지가 왜, 가까이에 있는지 그 사연을 아시겠습니까? 더욱 자세한 내용은 이곳을 여행하실 때 알아 보시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