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 수 진 지 만 ( 守 眞 志 滿 )
사람의 도리를 지키면 뜻이 차고 군자의 도를 지키면 뜻이 편안하다.
지킬 수(守),
참 진(眞),
뜻 지(志),
찰 만(滿)
100 축 물 의 이 ( 逐 物 意 移 )
마음이 불안함은 욕심이 있어서 그렇다. 너무 욕심내면 마음도 변한다.
쫓을 축(逐),
만물 물(物),
뜻 의(意),
옮길 이(移)
내가 지켜야 할 뜻이 참 뜻으로 꽉 차면 그 행 함이란 군자의 도가 될 것이며
나아가 편안하다.
예를 들면 가세(家勢)가 기울어져 어려운 아버지가 연명(連命) 하기에 급급하여
자식들은 하나도 학업에 진출을 시킬 수 없었다.
그 중에도 큰아들께서 결의를 한다. 나는 일터에 나가 노동을 하되 노동기술을 배우며
지킬 뜻을 거짓없는 참(眞)로 꽉 채우고 충실할 것을 다짐한다.
1.지킬 수(守)
2.참진(眞).
3.뜻지(志).
4.찰 만(滿)순으로 풀이를 한다.
수진지만(守眞志滿)의 어조사(語助辭)풀이를 보자.
사람의 도를 지키면 뜻이 차고 군자의 도를 지키면 뜻이 편안하다.
사례(事例)어려운 가정사리를 하는 한 아버지의 큰아들 결의는 결코 성공적이며
가세(家勢)는 호전(好轉)되어 저축(貯畜)을 하게 되고 20년이 되자 부자가 되었다.
그 아들은 만학(晩學)을 하게 되고 어려운 길을 걸어온 아버지의 손자 대(孫子代)에
와서는 모두 대학을 마치고 석박사의 학위를 받은 생생한 사례가 얼마든지 있다.
이 내용은 참뜻이 찬 군자의 도를 지킨 결과 온 집안에 영화와 부귀가 함께 하는
편안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천자문 한자 공부를 하고 보니 한자 四字式 한글句로 된 글귀에 관련한 뜻풀이
어조사(語助辭)공부와 글귀의 뜻을 읽어 나가는 요령을 알게 되었다.
천자(千字)로 된 한자문(漢字文)의 표기방식은
앞 句에 4자,
뒷 句에 4자로,
한 글句(글의 끊어진 구절)로 구성되어있고 어조사(語助辭)에 따라 글귀의 풀이를
1. 3. 2. 4 순(順)로 하도록 되어있다.
축물의이(逐物意移) 이 글귀를 풀면
1.쫓기는
3.뜻에서
2.물건을
4.옮긴다.
남의 물건을 훔치는 도적은 잡히면 큰 봉변(棒變)을 당하니 불안 합과 쫓기는
마음으로 물건을 옮긴다.
하여 그의 발단은 욕심에서 마음이 변한 것으로 화를 자초하는 꼴이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1. 3. 2. 4순으로 글귀를 풀면,
1.도적이 남의 물건을 훔칠 때는 불안하니 마음이 쫓기면서
3.남의 물건을 훔치겠다는 뜻이어서
2.남의 물건을
4.훔쳐 옮기니 이는 욕심의 발동에서 행하는 도적놈의 처사이다.
첫댓글 ㅎㅎㅎ~~농부도 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