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 4 · 3 사건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 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말한다.
당시 제주도는 광복 후 일본군이 철수하고 외지에 나가 있던 제주인 6만여 명이 귀환하였으나, 이들은 직업을 구하지 못하여 생업을 영위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여기에 생필품 부족과 콜레라 발병, 극심한 흉년 등이 겹쳤으며, 일제에 부역한 경찰들이 미군정하에서 다시 경찰로 변신하고, 군정 관리들이 사리를 채우는 부정행위를 일삼는 등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1947년 3 · 1절에 경찰이 시위하는 군중에게 발포하여 일반 주민이 사망 또는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를 계기로 남로당 제주도당은 반경찰 활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한 결과, 제주 도내 전체 직장의 95% 이상이 경찰의 발포에 항의하여 '3 · 10 총파업' 에 동참하였다.
미군정은 제주도 도지사를 비롯한 군정 수뇌부를 전원 외지인으로 교체하고, 경찰과 극우 단체인 서북 청년단 단원을 대거 동원하였다. 이로부터 4 · 3 사건이 발발하기 전까지 약 1년간 2,500여 명이 구금되고, 테러와 고문이 자행되었다.
수세에 몰린 남로당 제주도당은 무장 투쟁을 전개하기로 결정하고, 1948년 4월 3일 350명의 무장대가 제주 도내 12개 지서와 우익 단체들을 공격하였다. 이들은 경찰과 서북 청년단의 무자비한 탄압 중지, 남한 단독 선거 및 단독 정부 수립을 반대, 통일 정부 수립 등을 촉구하였다.
1948년 5월 10일의 남한 단독 선거에서 제주도는 투표자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되었고, 다음 달 23일에 재선거를 실시하려는 미군정의 시도도 수포로 돌아갔다. 이 과정에서 5월 20일 경비대원 41명이 탈영하여 무장대에 가담하였고, 6월 18일 경비대 연대장이 부하 대원에게 암살당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이후 1948년 8월 15일 남한에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다음 달 9일 북한에 공산주의 정권이 수립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그해 10월 11일 제주도 경비 사령부를 설치하고 본토의 군 병력을 증파하였고,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을 선포하였다. 이에 앞서 중산간 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배로 간주하여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이 발표되었고, 중산간 마을에 대대적 진압 작전이 실시되었다.
1948년 11월부터 중산간 마을에 대한 강경 진압으로 마을의 95% 이상이 불에 타 없어지고 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이로 인하여 삶의 터전을 잃은 중산간 마을 주민 2만 명가량이 산으로 들어가 무장대의 일원이 되었다. 진압 군경은 가족 중에 한 명이라도 없는 경우에 도피자 가족으로 분류하여 부모와 형제자매를 대신 죽이는 이른바 '대살' 을 자행하기도 하였으며, 재판 절차도 없이 주민들이 집단으로 사살되기도 하였다.
1949년 3월 제주도 지구 전투 사령부가 설치되면서 진압과 함께 선무 작전이 병행되었으며, 귀순하면 용서한다는 사면 정책에 따라 많은 주민이 하산하였다.
1949년 5월 10일 재선거가 성공적으로 치러진 데 이어 6월에 무장대 총책인 이덕구가 사살됨으로써 무장대는 사실상 궤멸되었다. 그러나 이듬해 6 · 25 전쟁이 발발하면서 보도 연맹 가입자와 요시찰자 그리고 입산자 가족 등이 대거 예비 검속되어 죽임을 당하였고, 전국 각지의 형무소에 수감되었던 4 · 3 사건 관련자들도 즉결 처분되었다.
이 사건은 1954년 9월 21일 한라산의 금족 지역이 전면 개방됨으로써 발발 이후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 이 사건 이후 희생자 가족들은 죄의 유무에 관계없이 당시 군경 토벌대에 의하여 죽임을 당하였다는 이유만으로 이른바 '빨갱이' 딱지가 붙어 피해를 대물림하였다.
학습백과 한국사 고등
**********************************************************************************************************************
다른 표기 언어濟州四三事件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하여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 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 충돌과 진압 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해방 이후 제주도는 사회주의 세력과 미군정의 지지를 받은 우파 세력이 대립하다가
1947년 3·1절 기념 집회에서 미군정 경찰이 제주도민들에게 발포하여 6명이 사망하면서 갈등이 증폭된다.
경찰과 서북 청년단 등 우파가 행한 제주도민에 대한 탄압에 대항하여 제주도민들이 1948년 4월 3일을 기해 일제히 봉기했다.
폭력적 탄압 중지, 단독 선거 반대, 단독 정부 반대, 민족 통일, 미군정 반대, 민족 독립 등의 정치적 구호를 내세웠다.
미군정은 군을 투입했고 진압 과정에서 약 28만 명의 도민들 중 약 10%에 해당하는 3만여 명이 군·경 토벌대에 학살된 것으로 추정된다.
발발 1년여 만인 1949년 봄에 종결되었는데 언급 자체를 금기시하다가 1990년대 들어서야 역사적 재조명 되었고 2000년 1월 국회에서 '제주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면서 진상 조사와 피해자 파악이 실시되었다.~다음백과~
********************************************************************************************************
김달삼
서귀포시 대정면 출신의 해방 정국의 사회주의 활동가.
[개설]
김달삼(金達三)은 1943년 4월 교토[京都] 성봉중학교를 졸업하고, 1945년 도쿄[東京]중앙대학 전문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제주 4·3 사건 당시 인민해방군 사령관이었으며 남로당 제주도위원회의 조직부장이었다. 그리고 1948년 8월 해주에서 개최된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에 제주 대표로 참가하였다.
[가계]
김달삼은 본명이 이승진으로 본관은 고부이다. 1925년 5월 1일 제주도 대정면 영락리 978번지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는 이평근(李平根), 어머니는 풍기 진씨이다. 부인은 남로당 중앙위원인 강문석(姜文錫)의 딸 강영애이다. 김달삼은 가명으로 장인인 강문석(姜文錫)이 쓰던 이름을 이어받아 사용하였다.
[활동사항]
김달삼은 1946년 10·1 대구항쟁에 참가하였고, 1946년 10월 20일부터는 제주도 대정공립초급중학교 교사로 사회과목을 가르쳤다. 1947년 8월에는 남로당 제주도위원회 조직부장이 되었으며 1948년 제주 4·3 사건 당시 인민해방군 사령관으로 봉기를 주도하였다. 1948년 8월 해주에서 개최된 남조선인민대표자대회에 참가하기 위하여 제주도를 떠났으며, 그 대회에서 입후보자에 대한 토론을 통해 4·3 봉기에 대한 연설을 하고 35명의 주석단 일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리고 9월 2일부터 10일까지 개최된 조선최고인민회의에서 49명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해주대회 이후, 평안남도 강동군에 설치된 강동정치학원을 수료하고 강원도와 경상북도 일원에서 인민유격대 제3병단을 지휘하였다.
1950년 3월 22일 국군 8사단과의 교전 중에 사망하였다는 설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를 전후하여 350명의 무장대가 도내의 24개 경찰지서 가운데 12개 지서를 일제히 공격하였고,
경찰과 서북청년회 숙소, 독립촉성국민회와 대동청년단 등 우익단체 요인의 집을 습격하였다.
이로 인하여 경찰 4명과 민간인 8명, 무장대 2명이 사망하였다.
무장대는 경찰과 우익청년단의 탄압에 대한 저항, 남한 단독선거 및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조국의 통일 독립, 반미 구국투쟁을 무장봉기의 기치로 내세웠다.
아기곰|조회 46|추천 0| 2018.04.03. 14:06
이영훈 박사(전 서울대 경제사학 교수)는 그의 책 '대한민국 역사'에서 "미국이 한국 문제를 유엔에 이관하기로 한 때부터 소련과 남북한의 좌익세력은 그를 저지하려는 공작을 펼쳤다"며 "북조선인민위원회는 1947년 가을부터 소련이 제시한 미국군과 소련군의 조기철수론을 지지하고 한국 문제의 유엔 상정 및 결의를 반대하는 군중대회를 북한 전 지역에서 개최했다"고 했다. 제주 4.3 사건의 배경에는 바로 이런 상황이 있었다. 5.10 선거에서 전국 200개 선거구 가운데 북제주도의 2개 선거구에서 주민의 과반이 투표에 불참해 선거가 무산됐다. 그 만큼 제주도에서 좌익세력의 주민에 대한 영향력이 강력했다고 이 박사는 설명했다. 제주 4.3 사건의 기폭제가 됐던 건 우발적이고 예기치 않은 사건 때문이었다. 1947년 3월 1일 제주읍에서 3.1절 기념대회가 열렸는데, 이 박사의 위 책에 따르면 이 대회에서는 "모스크바협정 즉시 실천" "미소공동위원회 재개"와 같은 당시 육지의 좌익세력이 내건 구호가 외쳐졌다고 한다. 이 박사는 "대회가 끝난 다음 주민들은 미군정의 불허에도 불구하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그 때 기마경찰이 우연하게 여섯 살의 어린이를 치는 사건이 벌어졌다. 기마경찰이 그 사실을 모르고 그대로 달려가자 군중들이 돌을 던졌다"며 "이에 경찰이 군중에 발포하여 6명이 사망하고 8명이 부상하는 예기치 않은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을 기폭제로 하여 그 때까지 큰 소요가 없었던 제주도 사회가 들끓기 시작했다"고 했다. 이후 제주도에서 미군정과 우익, 그리고 좌익세력 간 갈등이 심화됐다. 이 박사는 "그런 가운데 1948년 2월 이후 전국에 걸쳐 남로당의 지휘 하에 대한민국의 건국을 저지하기 위한 좌익세력의 투쟁이 단선·단정 반대의 명분으로 치열하게 전개됐다"며 "남로당 제주도당도 그 물결에 휩쓸려 들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같은 내외의 사정을 배경으로 1948년 4월 3일 새벽, 약 350명에 달하는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대가 도내 11개 경찰지서와 독촉국민회, 서북청년회 등 우익단체를 습격해 사상자를 내기 시작했다"고 했다. 바로 제주 4.3 사건이다. 이 박사에 따르면, 무장대는 주민을 상대로 뿌린 삐라에서 "매국 단선·단정을 반대하고 조국의 통일독립과 완전한 민족해방을 위하여, 당신들의 고난과 불행을 강요하는 미제 식인종과 주구들의 학살 만행을 제거하기 위하여" "당신님의 아들, 딸, 동생이 무기를 들고 일어섰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는 '대한민국 역사'에서 "제주 4.3 사건은 제주도의 공산주의세력이 대한민국의 건국에 저항하여 일으킨 무장반란"이라며 "육지로부터 격리된 섬의 후진적인 경제 사정으로 인해 이곳에서 자유민주주의 이념을 추구한 우익세력의 존재는 미약하였다. 해방 후 섬은 좌익세력에 장악되었다"고 했다. 이어 "제주도의 공산주의자들은 남한을 미국의 식민지로 간주하는 도식적인 역사관에 사로잡혔다. 외부로부터 격리된 주민들의 의식에서 미국은 '식인종'으로 간주됐다"며 "그것은 태평양전쟁 이래 일제가 심어놓은 미국 이미지의 연장이었다. 일제는 미국을 귀축(鬼畜)이라 선전했다. 이러한 도식적인 역사관과 폐쇄적인 세계인식은 제주도의 공산주의세력으로 하여금 대한민국의 건국이 임박하자 무장반란을 일으키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1947년 3.1절 사건 이래 제주도에 파견된 경찰과 서북청년회가 벌인 잔혹행위는 제주도의 주민으로 하여금 공산주의자들의 무장반란에 협조하도록 만든 빌미가 되었다"고 했다. 실제 제주도에서는 무장한 좌익세력을 토벌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양민이 대거 희생되는 비극이 벌어졌다고 그는 밝히기도 했다. 이 박사는 "신생 대한민국의 입장에서 제주도에서의 반란은 그의 존립을 묻는 위기로 다가왔다. 그에 따라 초토화를 동반한 국군의 토벌작전은 지나치게 잔혹했다"며 "자유와 인권의 이념으로 나라가 세워졌지만 그것이 국민의 내면적 가치로 자리 잡은 상태는 아니었다. 반란군에 대한 적개심이 지나친 나머지 무고한 양민의 인권은 철저하게 짓밟혔다"고 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은 출발과 동시에 두고두고 치유해야 할 깊은 상처를 안았다. 국가의 실체는 이념이며, 건국은 적대적인 이념을 배제하는 전쟁과도 같은 살벌한 과정"이라며 "그 같은 건국 과정의 벌거벗은 진실은 제주 4.3 사건에서 더없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제주 4.3 사건은 자유 이념의 전통을 결여한 고립된 지역에 반공 이념의 국가권력이 들어설 때 얼마나 폭력인 반인권의 비극이 벌어질 수 있는지를 역설로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종교 신문 1위' 크리스천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서울=연합뉴스)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제주 4·3과 관련해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제주 4·3평화공원에서 거행된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념사를 통해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첫댓글 고맙습니다.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