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버 R. 에비슨(영어: Oliver R. Avison, 한국어: 어비신, 한국 한자: 魚丕信, 1860년 6월 30일∼1956년 8월 29일)은 캐나다의 선교사이자 의사이다. 1892년 6월부터 1935년 11월까지 한국에서 체류하며 활동하였다. 제중원의 제4대 원장,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면서 오늘날 연세대학교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에비슨은 1860년 6월 30일에 영국 요크셔에서 태어나 1866년 캐나다로 이주하였다. 1879년 오타와의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하였고, 1884년에는 토론토의 온타리오 약학교를 졸업 후에 모교에서 교수로 활동하였다. 1884년 토론토 대학교 의과대학에 편입하여 1887년 6월에 졸업하였다. 의과대학 재학 중인 1885년 7월 제니 반스와 결혼하였다.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에 강사를 거쳐 교수가 되었으며 토론토 시장의 주치의로도 활약하였다. 1892년 9월 선교 모임에서 만난 호레이스 그랜트 언더우드(영어: Horace Grant Underwood, 한국어: 원두우, 한국 한자: 元杜尤, 1859년∼1916년)로부터 해외 선교의 제안을 받자 교수직을 사임하고 1893년 미국 장로회 해외선교부의 의료 선교사가 되었다. 1893년 6월 가족과 함께 캐나다 밴쿠버를 떠나 부산을 거쳐 8월 서울에 도착하였다.
제중원 원장으로 부임한 에이비슨은 1894년 제중원의 운영을 두고 조선 정부와 6개월간 협상을 벌여 9월에 제중원을 선교부로 이관받았다. 1904년 9월 제중원을 새로 신축하였고 기부금을 낸 미국인 사업가 루이스 헨리 세버런스(Louis H. Severance, 1838년∼1913년)의 이름을 따서 세브란스 병원(Severance Memorial Hospital)으로 이름 변경하였다. 제중원 의학교는 세브란스 병원 의학교로 불리게 된다. 1908년 6월 에비슨에 의해 조선 최초의 면허 의사인 첫 졸업생 7명이 배출된다. 세브란스 의학교는 이후 세브란스 연합의학교, 세브란스 연합의학전문학교로 명칭을 변경하며 발전한다.
1915년 조선기독교학교(Chosun Christian College)가 언더우드에 의해 개교하자 에이비슨은 부교장에 임명되었고 1916년 교장인 언더우드가 사망하자 교장으로 취임하였다. 학교는 1917년 사립 연희전문학교로 인가를 받았고 언더우드의 형인 존 언더우스(John T. Underwood)의 기부로 1917년 9월에 현재 연세대학교가 위치하는 대지를 교지로서 구입하였다. 1926년에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합동에 대한 의견이 피력되었고 1926년 6월에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되었지만 일제의 간섭으로 진전되지 못했다. 1934년에 에비슨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교장에서 물러나 1935년 12월 조선을 떠났으며, 1956년 사망하였다. 한편, 1945년 5월 세브란스 의과대학의 예과를 연희대학교에서 모집하기로 하였고, 1957년 1월에 세브란스 의과대학과 연희대학교는 통합되어 연세대학교가 되었다.
첫댓글1992년 1월 어머니가 뇌출혈로 갑자기 쓰러지시는 바람에 근처 성모병원으로 갔으나 세브란스 병원으로 가야 한다며 서둘러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송하여 응급실에 입원했습니다. 뇌출혈 진단을 받고 뇌수술을 해야 살 수 있다고.... 너무 급한나머지 앞뒤 가리지 않고 빨리 수술할 수 있도록 요구했습니다. 가족이라봐야 누나가 피아노 교습소를 겨우 운영하고 있었고 동생은 빵집에서 일했으며 저는 신문배달을 했습니다. 당시 세브란스 병원에는 어머니와 같이 너무나 위중한 환자들이 있는 중환자실에 30여개의 병상이 있었으며 그나마 자리가 없어 환자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2010년 연세대학교 박물관을 방문하면서 에비슨 박물관도 있다는 것을 알고 찾아갔습니다. 당시에는 에비슨이 뭐하는 사람인지도 모르고 갔던 것 같습니다. 박물관 도록도 하나 줘서 가져왔는데 제대로 보지도 못하고 지금은 모두 기증하고 없습니다. 근대의료사를 공부하면서 눈물나게 고마운 서양인 의사들이 줄줄이 나오는데 지금에 세브란스 병원을 세우고 연세대학교를 세우신 분입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몇년전 송추에 사는 한 노인을 소개로 알게 되었는데 약침을 연구하는 사람이지만 한의사면허가 없어 의료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약재를 다리고 증류해서 앰플로 만들고 환자의 국소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투약하는 방식인데 임상실험이 없는 불법 의료행위입니다. 인산 김일훈 선생의 영향을 받은듯 합니다.
사람을 수술하는 기술은 사라센(이슬람)에서 중세시대에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지에서 받아들인 기술입니다. 중세에는 사람을 해부하는 것은 기독교 교리에 반하는 행위로 받아들였는데 일부 이슬람 학자와 기독교 수도승이 아랍어를 라틴어로 번역을 하면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에 인체 해부도가 많이 나온 것은 르네상스 시대에 외과수술이 시행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유럽에 종이가 전래된 시기는 1240년경으로 보여집니다.
압니다. 2~30년 전에 중앙대의대 출신이신 안강박사가 캐나다 정통 통증클리닉 1호전수자로 알고 있고요 (현재는 안강병원 원장) ,,, 신경외과에서 전혀 손쓰지 못하는 분야를 통증클리닉에서 획기적 발전이 있었습니다 통증클리닉 의사도 큰병원이나, 경력이 오래됐거나, 공부 많이한 닥터를 찾아가야 합니다
참고로 덧붙이면 신경외과와 통증클리닉(마취통증의학과)은 전혀 별개로 보아야합니다 물론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지만 시술방법과 진료가 완전히 다른세계입니다 디스크분야도 수술없이 통증클리닉에서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섣불리 신경외과의사 말 듣고 수술해 버리면 낭패보는 수도 많고요
통증클리닉에 대한 고견 감사합니다. 침은 인체와 상극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오래전 통신학교 교수님이 침통을 보여주면서 경혈, 경락을 이해하고 침술을 배우면 급할때 사람도 살린다고 하셨습니다. 저도 침통이 하나 있지만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침이 있다고 하는데 이야기 듣고 기겁을 했습니다.
첫댓글 1992년 1월 어머니가 뇌출혈로 갑자기 쓰러지시는 바람에 근처 성모병원으로 갔으나 세브란스 병원으로 가야 한다며 서둘러 세브란스 병원으로 이송하여 응급실에 입원했습니다. 뇌출혈 진단을 받고 뇌수술을 해야 살 수 있다고.... 너무 급한나머지 앞뒤 가리지 않고 빨리 수술할 수 있도록 요구했습니다. 가족이라봐야 누나가 피아노 교습소를 겨우 운영하고 있었고 동생은 빵집에서 일했으며 저는 신문배달을 했습니다. 당시 세브란스 병원에는 어머니와 같이 너무나 위중한 환자들이 있는 중환자실에 30여개의 병상이 있었으며 그나마 자리가 없어 환자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었습니다.
2010년 연세대학교 박물관을 방문하면서 에비슨 박물관도 있다는 것을 알고 찾아갔습니다. 당시에는 에비슨이 뭐하는 사람인지도 모르고 갔던 것 같습니다. 박물관 도록도 하나 줘서 가져왔는데 제대로 보지도 못하고 지금은 모두 기증하고 없습니다. 근대의료사를 공부하면서 눈물나게 고마운 서양인 의사들이 줄줄이 나오는데 지금에 세브란스 병원을 세우고 연세대학교를 세우신 분입니다.
전통한의학이나 민간의학을 신봉하는 분들은
서양의학을 격이 낮은것으로 매도하는 경향이 있는데
저는 양의사들이 일종의 도인이라고 봅니다
그래도 첨단 수술법의 발전으로 생명을 많이 살리고 있고
생명연장에 크게 일조하고 있습니다
이제 한의학과 전통의학은 황제내경이나 역대 심오한 많은 의서들을 좀더 연구 발전시켜야 합니다
좀 다른 예기입니다만, 한의학 양의학에 곁들여
불가사의한 영적치료 세계도 있습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몇년전 송추에 사는 한 노인을 소개로 알게 되었는데 약침을 연구하는 사람이지만 한의사면허가 없어 의료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약재를 다리고 증류해서 앰플로 만들고 환자의 국소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직접 투약하는 방식인데 임상실험이 없는 불법 의료행위입니다. 인산 김일훈 선생의 영향을 받은듯 합니다.
사람을 수술하는 기술은 사라센(이슬람)에서 중세시대에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지에서 받아들인 기술입니다. 중세에는 사람을 해부하는 것은 기독교 교리에 반하는 행위로 받아들였는데 일부 이슬람 학자와 기독교 수도승이 아랍어를 라틴어로 번역을 하면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에 인체 해부도가 많이 나온 것은 르네상스 시대에 외과수술이 시행되었음을 보여줍니다. 유럽에 종이가 전래된 시기는 1240년경으로 보여집니다.
침술도 획기적 연구가 필요하구요. 저는 오늘날까지 침맞고 효험을 본적이 없습니다
침은 일주일 이상 오래 맞는건 절대금물이라는 걸 알았습니다
몸에 있는 에너지가 의사에게로 엄청나게 빠져나갑니다
한방체질의학의 현주소는 심각하게 추락해있다는 것이 제가 제몸으로 경험한 바입니다
4상 8상체질의학은 이론은 거창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환자가 매우 위험을 감수해야합니다
저의 수많은 경험이고, 경희대 원광대 출신들 다 마찬가지입니다
약침주사가 현재 그나마 완성도가 잇는데, 바로 통증클리닉 전문의들이 하는 시술입니다
요새는 많이 퍼졌지만 통증클리닉의 발원지는 6~70년대 권위있는 캐나다 의료진에서 창안되 나온걸로
압니다. 2~30년 전에 중앙대의대 출신이신 안강박사가 캐나다 정통 통증클리닉 1호전수자로 알고 있고요
(현재는 안강병원 원장) ,,, 신경외과에서 전혀 손쓰지 못하는 분야를 통증클리닉에서 획기적 발전이 있었습니다
통증클리닉 의사도 큰병원이나, 경력이 오래됐거나, 공부 많이한 닥터를 찾아가야 합니다
참고로 덧붙이면 신경외과와 통증클리닉(마취통증의학과)은 전혀 별개로 보아야합니다
물론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지만 시술방법과 진료가 완전히 다른세계입니다
디스크분야도 수술없이 통증클리닉에서 개선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섣불리 신경외과의사 말 듣고 수술해 버리면 낭패보는 수도 많고요
통증클리닉에 대한 고견 감사합니다. 침은 인체와 상극이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오래전 통신학교 교수님이 침통을 보여주면서 경혈, 경락을 이해하고 침술을 배우면 급할때 사람도 살린다고 하셨습니다. 저도 침통이 하나 있지만 사용하지 않습니다. 대침이 있다고 하는데 이야기 듣고 기겁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