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가 행정에서 배울때는
목차를 쓸 때
Ⅰ.
1.
1)
(1)
①
순서로 숫자를 점점 둘러 싸갈수록 하부 목차에 해당한다고 배운 것 같은데
노무사 시험 준비하며 강사님들의 모범답안을 볼 때마다
대부분 강사님들이
순서대로 쓰시더라구요...
원래 노무사 시험에서는 저 순서로 쓰는게 맞나요??
별거 아닐수도 있지만 저는 계속 신경쓰여서 확실히 정하고 앞으로 계속 그 방향대로 쓰고 싶어서 글을 남겨봅니다.
첫댓글 맞아요 위에처럼 동그라미가 생겨나야 하는데 여긴 밑에대로해서 계속 헷갈려요ㅠㅠㅠㅠㅠㅠ 근데 위에로 해야 안헷갈려서 전 위에처럼 해요
관련 규정입니다.다만, 답안지는 반드시 공문서의 형식을 갖출 필요는 없으므로 고민의 실익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찝찝하시면 규정대로 하시면 됩니다.
저도 처음에 로마자까지 뒤섞여서 로마자로 쓸지, 가나다라 로 할지, 반괄호, 양괄호 몇달간 고민 가끔했는데 현재기준으로 님글의 후자처럼 적지 않고 로마자와 업무규정(다만, 공문서 아니므로) 그리고 님이 적은 순서대로 합해서 적습니다. 후자는 인문적인 요소와 법적인 요소가 뒤섞여서 원칙이 없다고 판단해서요.
위 관련규정을 소개한 분 글이 맞기는 맞아요. 1. 가. 1) (1) 순으로...(괄호는 잉크 적게 쓰는 순으로) 근데 머 순서 상관 없이 자신이 정한 규칙만 정하면 됩니다.
변호사님께서 답변주시다니 감사드립니다!저도 사실 현직 공무원이라 관련규정 순으로 적는게 마음이 편해서 규정에 따라 제가 편한대로 전자의 순서대로 적도록하겠습니다..^^수험가에는 후자의 경우대로 쓰는 경우가 많아 괜히 마음이 불편했네요^^;혹시 띄어쓰기 해야하는 곳에 띄어쓰기를 안하거나 안해야하는 곳에 해야하는 등의 문법적인 요소는 답안채점시 고려 사항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neverdie 네 물론 고려사항 아닙니다
첫댓글 맞아요 위에처럼 동그라미가 생겨나야 하는데 여긴 밑에대로해서 계속 헷갈려요ㅠㅠㅠㅠㅠㅠ 근데 위에로 해야 안헷갈려서 전 위에처럼 해요
관련 규정입니다.
다만, 답안지는 반드시 공문서의 형식을 갖출 필요는 없으므로 고민의 실익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찝찝하시면 규정대로 하시면 됩니다.
저도 처음에 로마자까지 뒤섞여서 로마자로 쓸지, 가나다라 로 할지, 반괄호, 양괄호 몇달간 고민 가끔했는데 현재기준으로 님글의 후자처럼 적지 않고 로마자와 업무규정(다만, 공문서 아니므로) 그리고 님이 적은 순서대로 합해서 적습니다. 후자는 인문적인 요소와 법적인 요소가 뒤섞여서 원칙이 없다고 판단해서요.
위 관련규정을 소개한 분 글이 맞기는 맞아요. 1. 가. 1) (1) 순으로...(괄호는 잉크 적게 쓰는 순으로) 근데 머 순서 상관 없이 자신이 정한 규칙만 정하면 됩니다.
변호사님께서 답변주시다니 감사드립니다!
저도 사실 현직 공무원이라 관련규정 순으로 적는게 마음이 편해서 규정에 따라 제가 편한대로 전자의 순서대로 적도록하겠습니다..^^
수험가에는 후자의 경우대로 쓰는 경우가 많아 괜히 마음이 불편했네요^^;
혹시 띄어쓰기 해야하는 곳에 띄어쓰기를 안하거나 안해야하는 곳에 해야하는 등의 문법적인 요소는 답안채점시 고려 사항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neverdie 네 물론 고려사항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