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쌍방향 소통의 日本文學 특강 위덕대학교 2012.11.14 수.hwp
쌍방향 소통의 日本文學 특강
〓하이쿠/俳句/Haiku/K-haiku〓
★おめでとう ございます。第15回 日本語俳句大會 -秀作--金 奇 亮(威德大學校)-
原句 : 花みたいな あなたのえがお 大好きです
添削 : 大好きな あなたのえがお 夕櫻
⦿日時: 2012年 11月 14日(수) 09:00-10:50
⦿場所: 威德大學校 日本言語文化學科 講義室
講師 : 곽 대 기 (郭 大 基)
(한국하이쿠연구원/원장/ks5660@hanmail)
威德大學校
日本言語文化學科
1.하이쿠(俳句)는 무엇인가?
1)오늘날 하이쿠는 일본이 국제화/세계화시킨 일본문화/문학 약 900여개 중의 하나로 일본을 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애호되고 있다.
2)하이쿠의 정의로는, 「17음절의 짧은 시로서, 5-7-5음절로 구성되어 있다」(俳句とは17音節の短い詩で, 5-7-5という音節構成の3行から成り立っている)(Haiku is a 17- syllable short poem consisting of 3 lines with the syllable pattern of 5-7-5)-佐藤猛郞(1996), 『英語で紹介する日本キ-ワ-ド305』, 創元社, PP.68~69-
「하이쿠에는 2가지 중요한 규정(약속)이 있다. 첫번째 하이쿠에는 반드시 계절을 나타내는 말이 들어가야 하는 것이며, 두번째 하이쿠에 사용되는 음수(音數)가 17음으로 5음 7음 5음으로 구성되어야 한다」(俳句には2つの大切な約束がある。第1に1句の中に必ず季語が含まれていること, 第2は使われる音數が17音で, しかも5音 7音 5音という3節から成り立っていることである。)(There are two important conventions in haiku. First, the poem must contain a seasonal reference and second, the number of syllables used must be exactly seventeen, the poem being composed of three lines of five, seven, and five syllables.)-佐々木瑞枝((昭和62), 『日本事情』, 北星堂書店, PP.112~113- 등으로 규정할 수 있다.
3)일본 국내의 경우를 살펴보면, 하이시(俳誌) 즉, 하이쿠 전문지/동인지 등의 종류가 827지(誌)-角川學藝出版(2008), 『2008年版俳句年鑑』, pp.359~589-에 달하며, 통계 수치는 하이쿠가 일본의 국민시(國民詩)로 불리는 이유와 증거가 되기도 한다.
4)메이지(明治) 중엽,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가 주도한 俳諧혁신운동 이후에 널리 불리게 된 명칭이다.
5)정형(定型)과 계절어(季語/季題)를 부정하는 주장도 있다.
定型에서 벗어난 경우: 字餘り, 字足らず->자유율(自由律)하이쿠, 季語를 무시-> 無季派
2.일본의 시가문학(詩歌文學)의 변천(정형시가)
와카/和歌 ->렝가/連歌 ->하이카이/俳諧 ->하이쿠/俳句
3.하이쿠에 관한 상반된 주장
1) 가네코 토오타(金子とうた) 등: 일본어로 표현된 俳句는, 외국의 언어(영어,중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흉내낼 수 없는 것이다. 俳句의 5․7․5 리듬은 일본인의 국민적인 문화인 것이다.
-日本語で表現された俳句は外國の言葉(英語であれ中國語であれ)を話す人たちにはまねできないものである。俳句の5․7․5のリズムは日本人の國民的文化である。-『日本の名俳句100選』(2003,中經出版)-
2) 레지널드 브라이스(Reginald Blych: 1898~1964) 등: 일본의 국문학자는 정말 마음에 않드네. 찬합의 한쪽 구석을 이쑤시게로 찔러보듯이 사소하고 세세한 것을 파고들면서 그것으로 학문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말일세. 이런 태도로는 일본문학의 진미를 파악할 수 없지.-동경대학 문학부 아소 이소지(麻生 磯次:1896~1979)학부장과의 대화에서-
#.인도불교→중국불교→일본불교→俳句/haiku
#.도교→중국 禪→중국예술→일본화→俳句/haiku
#.도교→중국 禪→일본 禪→俳句/haiku
#.중국 詩→와카 和歌→렌가 連歌→俳句/haiku
#.유교→俳句/haiku
-사에키 요이치/하가 토오루 엮음 배준호 옮김『파란 눈에 비친 일본』(2000, 도서출판
계명)-
(1) haiku(하이쿠)에 대한 접근방법의 스케일이 무척이나 크다
(2) 禪보다 haiku(하이쿠)가 궁극의 기준이 되어야 한다: 하이쿠가 禪의 한 형식이라고 말 할 때 우리들은 하이쿠가 禪에 속한다 주장해서는 안된다. 禪이 하이쿠에 속하기 때문이다. 바꿔 말하면 우리들의 禪에 대한 관점은 하이쿠에 맞도록 바꿀 필요가 있고 그 반대여서는 곤란하다. 만일 禪과 하이쿠 사이에 뭔가 잘 맞지 않는 점이 있다면 버려야 할 것은 禪이며 詩 곧 하이쿠가 궁극의 기준이 되어야 할 것이다.
3) 이어령 등: 하이꾸(haiku)는 일본의 전통문학의 하나지만 동시에 그것은 詩文學이라는 보편적 장르에 속해 있기 때문에 외국인들도 또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하이꾸문학의 연구』(1986, 주식회사 弘盛社) -
4) Sam Hamill 등: haiku는 만엽집(萬葉集)의 정신을 이어서, 바쇼(芭蕉)에서 바쇼로 끝난다.( Haiku is the heart of the Manyoshu, began and endedwith Basho.) - 『The Little Book of Haiku』(2002, Barnes Noble)
5) 사쿠라이 타케지로(櫻井武次郞) 등: 바쇼(芭蕉) 앞에 바쇼 없고, 바쇼 뒤에 바쇼 없다.( 芭蕉の前に芭蕉なく,芭蕉の後に芭蕉なし) -『國文學解釋と鑑賞66-5』(2000, 至文堂) -
4.하이쿠의 혁신
1) 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1867~1902)에 의해 하이쿠 혁신 운동이 일어남. 1893년 12월 22일 일본신문사 신문 《日本》에 「芭蕉雜談」을 발표하여 새로운 용어로 「俳句」를 주창함.( 俳諧の發句 )
2) 月竝調(일반적으로 청신함이 없는 통속적인 調)를 비판하면서 寫生(사물의 참모습을 객관적 묘사를 중심으로 그려내는 태도)를 주창함.
ちらちらと 障子の穴に 見ゆる雪 (나풀거리며 / 창호지 구멍으로 / 눈이 내리네)
3) 하이시(俳誌:하이쿠 잡지)『ホトトギス』발행(明治30年)
4)마사오카 시키(正岡子規:1867~1902)→다카하마 쿄시(高濱虛子:1874~1959):『ホトトギス』
主宰→다카노 스쥬(高野素十:1893~1976): 『芹』創刊 主宰 → 구라타 코분(倉田紘文:
1940~):『蕗』創刊 主宰
5.하이쿠의 특징 : 언어적, 사회적, 사상적인 면으로 구분
1) 언어적 특징 : 애매함(ambiguity : state of being ambiguou /expression, etc that can have more than one meaning)의 미학(美学), 생략과 상징, 함축성추구, 집단주의 동질문화권 속에서의 표현의 편의성 추구 등 2) 사회적 특징 : 좌(座)의 문예, 집단의 놀이, 창작과 감상이 동일한 장(場)에서 행하여짐, 俳句 결사(結社)를 통한 사교와 교양수단, 인사성, 대화성, 즉흥성(俳句는 機会詩:occasional poem)중시 3) 사상적 특징 : 일본적 자연환경으로 영원성에 대한 확신 부족, 불교적 감성, 찰나의 이미지, 노장적 합일 등
6.하이쿠의 마음
五事を正す -----나카에 토쥬(中江藤樹:1608~1648, 江戶時代の儒學者 陽明學の祖)
1) 貌 ---顔かたち : 人には和顔で接しなさい 2) 言 ---言葉づかい : 人には優しく話しなさい
3) 視 ---まなざし : 人には慈眼で對しなさい 4) 聽 ---よく聞く : 人の話はよく聞きなさい
5) 思 ---思いやり : 人には思いやりを持ちなさい
☞ 「正す」の意味とは?
實踐しなさい。知っているだけではだめです。日常生活の中で實際にそうつとめなさい。
7.하이쿠의 이로와우타(いろは歌)
하이쿠 창작의 기본 자세-----구라타 코분(倉田紘文)
㋑ 一に俳句は己がため (우선, 하이쿠는 자기 자신을 위해)
㋺ 論より俳句まず作れ (이론보다 하이쿠는 먼저 지어보라)
㋩ 腹は八分, 俳句は六分七分まで (음식은 8부, 하이쿠는 6부 혹은 7부까지만)
☞ ( )
2011년 노벨문학상 수상자(토마스 트랜스트로멜, 스웨덴 시인)의 하이쿠
The sun is low now. (日本語譯)太陽はいま低い
Our shadows are giants. 私たちの影は巨人だ
Soon all will be shadow. すぐにすべては影になるだろう
8.하이쿠의 감상
1)동심(童心)의 하이쿠
俳誌『蕗』蕗の薹集-兒童作品 (倉田紘文 選)
(1)おでん食う ふうふう息を 吹きかけて (初2)---冬
(2)げんかんに かりんならべて おでむかえ (6才)---秋
(3)思いきり 神の鈴ふる 初詣 (初3)---新
(4)こたつでね ねこがはいって ねころんだ (初3)---冬
(5)春うらら じいちゃん乘せて なわ電車 (初4)---春
(6)こいのぼり 風に大きく ふくらんだ (初2)---夏
(7)ぼくたちといっしょにかえるおよいだよ (5才)---春
(8)どんぐりはぼくのひろったたからもの (5才)---秋
(9)渡り鳥Vサインしてとんでゆく (初3)---秋
2)경주(慶州)의 하이쿠(하이쿠전문지에 공식적으로 등재된 구, 전문결사의 자료에 한함. 한국어역은 필자에 의함. 이하 같음)
(1) 구라타 코오분(倉田紘文) --- 《1977年》
枯れ果てし 一王朝の 古墳群
( 역사 속 자취 / 천년왕조 신라국 / 수 많은 고분 )
(2) 무나카타 유우노비(宗像夕野火) --- 《1986年》
童顔の 新羅石佛 とんぼ飛ぶ
( 마치 동안의 / 천년 신라 석불에 / 잠자리 날다 )
(3) 마유즈미 마도카(黛 まどか) --- 《2001年》
チマを着て いる韓國の 案山子かな
( 치마를 입고 / 들판에 선 한국의 / 허수아비여 )
オンドルに 廣げて旅の 衣と地圖
( 온돌 방바닥 / 넓게 펼친 여행의 / 옷가지 지도 )
K-POP とう冬耕の ハラボジに
( 겨울 밭일에 / 바쁜 할아버지께 / 노랫말 물어 )
(4) 구로다 모모코 (黑田杏子) 외--- 《2006年》
かささぎの 鐘の餘韻の 空冷えて
( 경주의 까치 / 종소리 여운 따라 / 하늘이 차다 )
オンドルの 明日は韓發つ 宴かな
( 온돌에서 연 / 내일 한국 떠나는 / 이별 잔치여 )
(5) 곽대기(郭大基) --- (1998년부터 2012년 9월까지)
こんにちは 脇見を知らず 渡り鳥
( 안녕하세요 / 곁눈길도 모르는 / 바쁜 철새들 )
ただ下に 散るしあわせの 櫻かな
( 그저 아래로 / 떨어지는 행복한 / 벚꽃뿐일세 )
菜の花と ところどころに いいポ-ズ
( 월성 유채꽃 / 사진 찍는 곳곳에 / 제각기 포즈 )
こんにちは 右に左に すすきかな
( 안녕하세요 / 오른쪽 왼쪽에도 / 가을 억새뿐 )
朝夕に大根キムチ卓占める
( 아침 저녁에 / 빠짐없는 무 김치 / 식탁 점하다 )
遠くから 車も止めて 黃砂かな
( 먼곳 날아와 / 자동차도 세우는 / 누런 황사여 )
綠より のっと顔出す 蛇いちご
( 푸른 풀에서 / 불쑥 얼굴 내미는 / 붉은 뱀딸기 )
9. 나도 하이쿠 작가 : 다 함께 하이쿠 짓기
1)억새( ) :
2)허수아비( ) :
3)단풍( ) :
★おめでとう ございます。第15回日本語俳句大會-秀作-金 奇 亮
原句 : 花みたいな あなたのえがお 大好きです
添削 : 大好きな あなたのえがお 夕櫻
10.현재 및 앞으로의 하이쿠, 그리고 우리의 자세
옥스포드 영어대사전에 표제어로 등재를 기준으로 마루베니연구소 스기우라 쓰토무고문의 구글검색결과(2007년 6월 27일 기준)에 의하면 일본문화에 관한 영문 웹사이트 수 順位(上位 20)에서 하이쿠는 11위에 올라 있다. 주요 순위는 다음과 같다. 1:manga(망가/일본만화:1억3217만개) 2:karaoke(가라오케:8693만개) 3:ninja(닌자:6502만개) 4:sushi(스시:4593만개) 5:samurai(사무라이:4282만개) 6:karate(가라테:3260만개) 7:animation(아니메/일본 애니메이션:2548만개) 8:judo(유도:2354만개) 9:bonsai(분재:1725만개) 10:sumo(스모:1699만개)
11:haiku(하이쿠:1486만개) 12:geisha(게이샤:1361만개) 13:japanese sushi(일본 스시:1347만개) 14:ramen(라면:1295만개) 15:tofu(두부:1204만개)16:aikido(합기도:935만개) 17:futon(이불:862만개) 18:gimono(기모노:841만개) 19:soba(소바:798만개) 20:tea ceremony(다도:772만개), 朝鮮日報(2008년 4월 12일~13일)에서 재인용.
1) 다른 장르와의 결합으로 새로운 영역을 창조하고 있다. 그림과의 결합에 따른 하이가(俳畵)와 사진과의 결합에 의한 샤하이(寫俳)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고령화시대에 대비한 치매방지하이쿠, 심리학과의 결합을 도모하는 등 문학치료학의 영역에서 하이쿠가 그 영향력을 확대시키고 있다. 2) 俳句는 단순히 일본 국내에 머물지 않고, 1902년 英譯版을 시작으로 불어 독어 스페인어 중국어 그리고 한국어 등으로 번역되어 국제화/세계화의 길에 들어서게 되었다. 3) 俳句는 20세기 초 西歐의 이미지즘(Imagism) 시(詩)운동과 인상파 그림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4) 日本語 俳句의 국제화/세계화에 머물지 않고, 각국의 모국어/현지어로 즐기며 확산되고 있다. 英語俳句, 漢俳(漢子로 짓는 俳句) 한국어하이쿠 등. 韓俳 이 用語는 본인이 직접 고안 命名하였으며, 學界 論文에 最初의 등장은, 郭大基의 「俳誌『蕗』의 敬老俳句 硏究」(2006),『韓日語文論集』 第10輯,韓日日語日文學會 P.19에 의한다. 以後 전남대학교 대학원 學位論文(2007년 2월 金銀哲)을 비롯하여 매스컴(釜山日報:세상에서 가장 짧은 詩로 한일 공감대, 2007년2월24일/「The Sermo: One Sentence is long for Haiku」 The Campus News Magazine No.102 June, 2007,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Busan, Korea. PP 20~21)을 통하여 일반화의 길을 걷게 되었다. K-Haiku 이 用語도 본인이 직접 고안 命名하였으며, 2008년 3월 26일자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誌와 2008년 3월 28일자 The New York Times 인터넷판을 통하여 韓國과 日本을 넘어 西歐社會에도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5) 韓國에서는 1997년 11월 제1회 日本語俳句大會를 개최하여 入選句(3句)를 일본의 俳誌 『蕗』발행소에 보내 이듬해 1998년 1월호 (통권 313호)에 등재하였으며, 그 후 매년 대회를 개최하여 2012년 11월 제16회 대회에 이르게 되었다. 제7회 한국어하이쿠대회도 병행하여 매년 실시한다. 자세한 것은 한국하이쿠연구원(韓國俳句硏究院) 홈페이지 게시판을 참조. 6) 한국어에 기초하여 국제화/세계화된 것은 12개에 불과하다: hangul, kimchi, kisaeng, kono, makkoli, myon, ondol, onmun, sijo, taekwondo, won, yangban 최근 k-pop 이 새롭게 등재되었으며(13개), 소주(soju)가 미국의 젊은이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사전에 실리게 되었다. 일본과 비교하여 수적인 부족도 문제지만 무엇보다도 내용적으로도 과연 오늘날의 한국을 효과적으로 잘 대변하는 것인지 의문이다. 지금 한류(韓流/Korean Wave)가 이웃 나라 일본을 시작으로 세계 여러 나라로 번지고 있다 과연 인기 연예인에게 모든 짐을 지우고 말 것인가. 지금부터라도 다양한 우리문학/문화를 발굴하여 세계인들이 공유할 수 있는 문학/문화상품으로 탈바꿈시켜야 할 것이다. 문학/문화는 산업이며 우리들의 생존과 직결된 이 시대의 책무이다. 우리 문학/문화 중에서 여러분과 함께 우리는 어떤 것을 세계인들에게 소개해야 될까? 하이쿠의 국제화/세계화에서 그 답을 구할 수는 없는 것일까? 이 답을 찾는 일이 우리 모두의 지금부터의 과업이다. 대단히 감사합니다.
#참고:「한국하이쿠연구원」은 自然을 소중히 여기며 상대와의 共存을 통하여 대중이 幸福한 삶을 지향합니다.
http://cafe.daum.net/haikusijo http://www.cyworld.com/haikusijo
주소:780-060 경주시 북성로 61 명사마을 110동 201호《한국하이쿠연구원》
전화: 054-776-1589 핸드폰: 010-2680-1589
#.별첨: 하이쿠 창작 용지 양식 (복사하여 사용 가능)
『蕗』
●自然を大切にする(자연을 소중히 여긴다)
●寫生を重んずる(사생을 중시한다)
●一人一人が皆平等(한사람 한사람이 모두 평등하다)
■ 日本語俳句 ■
1. ( ) / 一安心や / 年賀狀
2. ただ下に / ( )しあわせの / 櫻かな
3. 衣がえ / ( )つづきます / ダイエット
4. 大空に / 繪をかいている / 赤( )
5. 雪明り / ( )行きの / 夢つづく
■ 한국어하이쿠 ■
1. 배고픈 오후 / 눈으로 먹는다네 / ( ) 꽃
2. 금장대 언덕 / 주인인양 ( ) / 들고 또 나고
3. 봄날의 절터 / 지었다 허물었다 / 생각 ( )
4. 물결이 치는 / 층층 건반 멜로디 / 춤추는 ( )
5. 망년회 다음 / 민망해진 주머니 / 속 쓰림 ( )
# 주의사항# 반드시 미발표된 자신의 구(句)이어야 합니다.(自作句に限る)
성명/お名前:(한글/ハングル: //한자/漢字: )
년령/年齡:(만/滿: 세)
직업/職業:( 大學生 )
위 덕 대 학 교
「한국하이쿠연구원」은 自然을 소중히 여기며 상대와의 共存을 통하여 대중이 幸福한 삶을 지향합니다.
http://www.cyworld.com/haikusijo
http://cafe.daum.net/haikusijo
첫댓글 특강을 통하여 상대와 공감하며 모두 행복하기를 기대합니다.
늘 수고가 많으십니다. 응원의 큰 박수를 보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