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Vol.19, No. 9 (2017년 9월)
표지설명 : 물결나비입니다. 나비목 뱀눈나비과 곤충으로 학명은 Ypthima motschulskyi입니다. 낮은 산지 풀밭, 무덤가, 산길 등지에서 볼 수 있고, 톡톡 튀듯이 날아 다니며, 개망초나 토끼풀 등 풀밭의 여러 꽃에서 꿀을 빨아 먹고, 뱀눈 모양 무늬가 적습니다. (촬영자:덩굴 박종섭) | |
|  |  | | |  | 선천면역에서의 miR-125와 miR-146에 대한 연구 | 이혜미 (충남대학교) | miRNA (microRNA)는 약 18~22개의 핵산으로 이루어진 non-coding RNA로써 다양한 생리 반응을 조절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miRNA의 타깃 유전자가 인간의 염증 반응 악화를 제어하고.. |
|
| |  | 디지털 헬스케어 동향 | 김상태 (분당서울대병원) | 현대를 살아가는 지금의 세상은 구석기 시대와 비교할 경우 삶의 질에 있어서 종이 한장 차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큰 변혁으로, 불의 발견 이후에 도구를 사용했던 인류가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진화하고 있다. |
|
| |  | 암 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동향 및 개념 | 최민석 (한국과학기술원) | 새로운 암 치료법 개발에도 불구하고 암의 재발과 전이에 의한 암 환자들의 고통은 계속되어 왔다. 일반 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과 약물에 대한 내성을 동시에 지니는 암 줄기세포는 최근 암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 개발의 대상이 되어왔다. |
|
| |  | 치매 치료제의 종류와 최근 개발 현황 | 서지연 | 치매는 알츠하이머를 포함하는 신경 퇴행성 질환으로 주요 증상으로 기억력, 학습능력 및 인지능력의 상실이 나타난다. 기존에 시판되고 있는 치매치료제로는 donepezil, rivastigmine, galantamine,.. |
|
| | | | | |  | 포유류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와 노화: 최신 경향 | 박도현 (EPFL) | 미토콘드리아가 노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40년 전에 처음으로 가정이 되었다. 그 후 수 십 년 동안의 연구에서 모델 동물들과 인체에서 드러난 여러 증거들은 미토콘드리아 기능 이상이 노화와 연결된 질병과 노화 그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였다. |
|
| |  | DNA 이중사슬 손상에 대한 복구 경로의 선택 및 결과 | 이백승 (블루버드바이오) | DNA 이중사슬 손상(Double-Strand Break, DSB)은 세포독성 손상을 일으켜 게놈의 온전성을 위협한다. 그러므로 DSB의 복구 실패는 게놈 불안정 및 세포사멸과 같은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
|
| |  | 긴 비암호화 RNA의 세포 내 합성 및 기능의 특징 | 김재환 (관동대학교) | 긴 비암호화 RNA (long non-coding RNA, lncRNAs)는 단순히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는 mRNA와 유사한 형태의 전사체 또는 전사과정에서 생산되는 부산물 정도로 인식되었으나,.. |
|
| | | |
|  |  | | |  | 서상수 University of Edinburgh Neuron |  | 이대한 서울대학교,.. Nat. Commun. |  | 강규호 Weill Cornell Medicine.. Immunity | |  | 김정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Nat. Commun. |  | 박정갑 Pacific Northwest National.. Nat. Methods |  | 이수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Nat. Commun. | |
| |
|  |  | |  | | [IBS, J Clin Invest] 혈관신생 지휘하는 전사인자 단백질 발견 | [서울대, 연세대, Nat. Commun.] 비만과 지방간 억제하는 새로운 신호경로 규명 | [연세대, 미 캘리포니아대, Nat. Cell Biol.] 암세포 증식 억제 기전 규명 | [서울대병원, 국립암센터, CELL REP] 당뇨 유발 단백질 ‘펠리노1’ 규명 | [IBS, 미 라호야 알레르기·면역 연구소, 스크립스 연구소, Immunity] 면역세포 간 생존 경쟁이 면역계 균... | [서울대, Nat. Commun.] 선충이 달팽이에 달라붙어 ‘집’ 옮기는 ‘히치하이킹’ 원리 밝혀내 | [연세대, Gastroenterology] 간경화 환자의 간암 발병 신호경로 규명 | [한국뇌연구원, 미 코넬대, Mol. Psychiatry] BDNF단백질 생성원리로 뇌질환 치료 새 전기 마련 | [서울대병원, Nano Res] 나노물질로 뇌출혈 치료 가능성 확인 | | |
| | |
|  |  | |  | 황석연 교수 생체 모방 재료 및 줄기세포 공학 연구실은 생명공학을 기반으로, 재료과학, 생화학, 세포생물학의 지식을 접목시켜 조직공학 발전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조직공학은 생명과학과 의학 및 공학이 연계된 융합분야로 의학발달과 함께 조직이나 장기의 치료제 및 대체재의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분야이다. | |
| | |
| BioWave는 매월 BRIC의 주요 정보들을 모아 BRIC회원들에게 메일로 발송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BRIC. All rights reserved. Contact member@ibric.or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