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6일 국토교통부는 정부가 추진 중인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을 고시하여 확정하였다.
앞으로 바로 기본설계와 환경영향평가, 실시설계, 토지보상 등의 절차를 거치고(5년 내외 소요)
최소 5년의 공사기간을 거치면 최소 10년내 제주제2공항이 개항하게 될 것이다.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기본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제주 제2공항은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551만㎡ 면적으로 조성되며,
주요 시설은 활주로(3,200m×45m) 1본, 계류장(31.1만㎡, 항공기 28대 주기), 여객터미널(11.8만㎡), 화물터미널(0.6만㎡), 교통센터 등으로 총 사업비는 5.45조원이다.
② 제주 제2공항은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친환경 공항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여객터미널의 경우 에너지 소비량의 60~8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지하수 보존, 생물 대체 서식지 조성 등을 위한 친환경 사업도 함께 시행할 예정이다.
그 외에도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따른 환경 영향 저감방안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추가적인 친환경 사업이 반영될 전망이다.
③ 추가 확장 고려 -
이번 사업을 통해 연 1,690만명 규모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을 것이며,
항공 수요의 증가 추이에 따라 연 1,992만명의 여객이 이용할 수 있도록 2단계 확장 사업도 추후 검토한다.
이번 사업에는 추후 확장할 사업의 부지 조성까지 포함하였다.
이후의 확장 사업에서는 공항개발사업 이외의 문화·상업시설과 항공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을 포함하고, 민자 사업 등 다양한 추진 방안을 검토한다.
제주 제2공항이 개항되면 현 제주국제공항의 포화 상태 해소는 물론, 제주도를 찾는 국민과 지역 주민께 안전하고 쾌적한 항공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증가가 예상되는 국내·외 항공수요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제주 지역의 관광객 증가 및 경제 활성화 효과가 기대된다.
< 공항개발예정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일원 5,506,201㎡
총사업비 : 5조 4,532억원(2단계 사업 미포함*)
* 2단계 사업(확장)은 향후 사업 진행 과정에서 여객 수요 등을 고려하여 추진 검토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 주요 시설규모>
구 분 | 시설규모 | 비고 |
1단계 | 2단계 |
활주로 | 3,200m×45m, 1본 | - |
|
유도로 | (평행) 3,200m×23m, 2본 (고속탈출) 623m×40m, 4본 (입구) 148m×40m, 2본 | (직각) 148m×40m, 2본 (우회) 148m×40m, 2본 |
|
계류장 | 310,900㎡ | 181,700㎡ | 492,600㎡ |
여객터미널 | 117,739㎡ | 49,642㎡ | 167,381㎡ |
화물터미널 | 6,330㎡ | 590㎡ | 6,920㎡ |
교통센터 | 20,000㎡ |
| 전면시설① |
주차장 | 123,720㎡(3,432면) | - |
|
진입도로 | 연장 1.9km | - |
|
항행안전시설 | CAT-Ⅱ | - |
|
* 제주 제2공항의 국내선·국제선 운영계획 등 제주국제공항과 제2공항 간 역할 분담 방안은 관계기관 등과 협의 후 확정
항공수요 전망(목표연도 ‘55년 기준)
ㅇ(제주 전체) 여객 4,108만명(국내선 3,797만명, 국제선 311만명), 화물 477천톤
ㅇ(제2공항) 여객 1,992만명(국내선 1,815만명, 국제선 177만명), 화물 120천톤
* 국내선·국제선 운영 계획 등 제주국제공항-제2공항 간 역할 분담방안은 관계기관 등과 협의 후 확정
< 출처 - 국토교통부 >
향후 제주도 부동산 시장 전망은~?
2015년 11월 제2공항 계획이 처음 발표되었을 때 당시 제주살기 열풍과 중국 거대자본의 진출 등으로 급등하였던 제주도 부동산가격은
이후 사드 등의 중국문제, 제주제2공항건설의 지체, 그리고 제주살기 열풍이 가라앉으면서
그리고 전국 최악 수준의 미분양 문제 등으로 지난 10여년 동안 제주 부동산 시장은 침체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대외내적인 경기 침체로 예상대로 당분간 제주도 부동산 시장에도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기 때문에 제주제2공항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고 해도 단기적인 관점에서 제주도 부동산 시장은 관망 추세가 이어지고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토지보상과 착공하기까지는(2~5년내외) 거래건수는 증가한다 해도 부동산 가격은 당장 상승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단기적인 목적보다는 중 장기적인(5~10년) 안목으로 관심을 갖는 것이
향후 투자대비 큰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