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3조원 항암제의 日오노약품, 韓리가켐 기술 인수한 까닭은
블록버스터 특허만료 앞두고 성장동력 탐색
리가켐 전임상 물질, 7억달러에 인수
“첫 항체약물접합체 후보물질 확보”
허지윤 기자
입력 2024.10.14. 06:00
업데이트 2024.10.14. 15:33
리가켐바이오 전경. /회사 제공
리가켐바이오 전경. /회사 제공
연 매출 13조원대 면역항암제를 개발한 일본 제약사 오노약품공업이 최근 한국 바이오기업 리가켐바이오(121,200원 ▼ 2,200 -1.78%)사이언스와 기술 이전 계약을 맺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리가켐바이오는 지난 10일 일본 제약사 오노약품공업과 기술이전·플랫폼 계약을 맺었다고 공시했다. 리가켐바이오의 신약후보물질 LCB97과 다수의 신약후보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인 플랫폼을 동시에 수출하는 첫 패키지 계약으로, 전체 계약 규모와 표적 등에 관한 세부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제약업계는 라기켐바이오의 기술을 사들인 오노약품이 면역항암제 ‘옵디보’를 뛰어넘을 차세대 항암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했다고 본다.
◇3세대 항암제 옵디보 특허 만료 임박
오노약품은 미국 제약기업 브리스톨-마이어스 스퀴브(BMS)와 PD-1 면역 관문 억제 방식의 항암제인 옵디보를 공동 개발했다. 두 회사에 따르면 옵디보의 작년 글로벌 매출은 100억달러(약 13조 5020억원) 규모다.
면역 관문은 면역세포가 정상 세포를 공격하지 않도록 표시하는 단백질이다. 암세포는 면역 관문에 결합해 정상 세포로 위장한다. 옵디보는 면역세포인 T세포의 면역 관문인 PD-1에 암세포보다 먼저 결합해 억제한다. 이러면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한다. 2018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 수상자 중 1명인 일본인 혼조 다스쿠 교토대 특별교수가 PD-1의 작용 원리를 밝혔고, 이 연구 성과가 옵디보 개발로 이어졌다.
옵디보는 2014년 흑색종 치료제로 처음 승인된 이후 적응증을 20여 가지 암으로 확대했다. 하지만 옵디보의 주요 물질 특허가 유럽과 미국에서 2027년부터 만료되기 시작한다. 오노약품으로선 글로벌 항암제 시장에 통할 새로운 성장동력을 서둘러 확보해야 하는 상황이다.
오노약품은 또 다른 항암제를 개발 중이다. BMS와 공동으로 LAG-3 면역 관문을 억제하는 렐라트리맙(Relatlimab)의 임상 2상 시험을 진행 중이다. BMS와 정맥주사제 옵디보의 특허 만료에 대비해 피하주사 제형도 개발하고 있다.
오노약품과 BMS가 공동 개발한 면역항암제 옵디보. /로이터
오노약품과 BMS가 공동 개발한 면역항암제 옵디보. /로이터
◇“리가켐바이오 ADC, 첫 혁신신약 가능성”
오노약품이 리가켑바이오에서 도입한 신약후보물질은 암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단백질 L1CAM을 공략하는 항체약물접합체(ADC) LCB97이다.
ADC는 암세포와 결합하는 항체에 약물을 붙여서 정확하게 전달하는 차세대 항암제 기술이다. LCB97도 정상 세포를 피해 암세포에 가서 달라붙은 뒤 항암 치료 효과를 내는 방식이다.
LCB97의 표적인 L1CAM은 신경 분화, 발달·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신경계 발달 장애가 오고, 종양화세포 형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소·자궁·대장·담도·담낭·췌장 등의 암 조직 10~40%에서 발현된다.
LCB97은 아직 임상시험 단계에 진입하지 않았다. 현재 시장에서 임상시험 중인 L1CAM 표적 약물은 없다. 리가캠의 경쟁자가 아직은 없다는 얘기다. 대형 제약사들이 신약후보물질을 사들일 때는 통상 임상 1·2상 경과를 지켜보고 계약을 맺는 것을 고려하면, 오노약품이 일찍이 ‘떡잎’을 보고 지갑을 연 셈이다.
오노약품이 LCB97을 인수한 계약은 선급금과 마일스톤(단계별 기술료)을 포함해 최대 7억달러(약 9435억원) 규모다. 업계는 ‘빅 딜(big deal, 대형 거래)’로 평가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리가켐바이오와의 계약으로 오노약품은 첫 ADC 신약후보물질을 확보한 것”이라며 “오노약품이 리가켐의 LCB97을 현재 면역항암제 또는 개발 중인 표적항암제와의 병용하는 가능성을 높게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의학계도 ADC 항암 신약 개발에 기대가 크다. 박준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대한종양내과학회 이사장)는 “면역항암제가 등장한 이후 폐암, 흑색종, 신장암 등 암종에서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치료 효과가 개선됐다”며 “최근 항암 치료의 큰 흐름 중 하나인 ADC 기술은 암 치료 새 패러다임을 열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는 기술 이전 계약 이후 리가켐바이오의 목표 주가를 잇따라 상향 조정했다. 다올증권과 유진증권, DS증권은 11일 현재 12만원대인 리가켐바이오의 목표가를 16만원으로 상향한다는 의견을 각각 냈다. 메리츠증권은 목표 주가를 17만원으로 상향했다.
김준영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LCB97이 개발될 경우 새로운 작용 원리로 치료를 하는 세계 첫 혁신 신약(First-in-class)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목표 주가 상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리가켐바이오의 경쟁 ADC 플랫폼 기업들이 글로벌 빅파마에 인수된 상황이라, 글로벌 제약사들이 리가켐바이오와 계약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고 했다.
4세대 치료제 ADC./남도현
4세대 치료제 ADC./남도현
☞1~3세대 항암 치료제
항암 치료제는 크게 1~3세대로 분류한다. 1세대는 화학합성약이다. 화학 항암제는 혈관을 타고 흐르면서 암세포뿐 아니라 건강한 세포까지 파괴해 간 독성 등 부작용이 심하다. 2세대 항암제는 항체를 이용해 암세포만 공략하는 표적치료제이고, 3세대는 암세포를 직접 공략하지 않고 인체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해 암을 치료하는 면역항암제다.
사이언스조선 배너
허지윤 기자
허지윤 기자
오늘의 핫뉴스
"이 기술, 대박입니다" 韓 떡잎 알아본 日, 9400억 쏟았다
IT 많이 본 뉴스
고민 깊어지는 IT서비스 ‘빅2’ CEO… 삼성SDS는 주가 빌빌, LG CNS는 성장성 우려
‘아이폰 의존’ 애플, 성장 동력 찾기 골머리… 스마트홈·MR 공략 강화
스마트폰 카메라 성능은 화웨이·구글이 1·2위… 갤럭시S24 울트라는
100자평3도움말삭제기준
100자평을 입력해주세요.
최신순찬성순반대순
psmqdt
2024.10.14 14:05:04
자세한 설명 덕에 잘 읽었습니다.
답글작성
2
0
바우네
2024.10.14 13:36:02
'박준오 삼성서울병원 혈액종양내과 교수'(?) '대학에서 학문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사람'을 '교수(敎授)'라 이른다. 대학병원을 내걸 때 '교수'라 했으면 좋겠다. 즉 '성균관대의대 삼성서울병원 ㅇㅇ과 교수'.
답글작성
1
4
회원47995848
2024.10.14 11:15:47
리가켐바이오인가요? 레고켐바이오인가요? 사진에 간판이 레고켐인것 같은데요? 오타로 라기켐바이오라고 쓰신 부분은 수정하셔야 할 듯요.
답글작성
0
4
당신이 관심 있을 만한 콘텐츠
오돌토돌 "모공각화증" 이제야 찾아낸 진실 (+후기사진포함)
오돌토돌 "모공각화증" 이제야 알게된 진실(+후기사진포함)
자글자글 "팔자주름"에서 벗어난 "딱 1가지" 방법
맘카페에서 난리난 '팔자주름' 개선 꿀팁
역류성식도염 없앤 나라, 그들이 100년간 숨겨온 '이것'
'쥐젖' 뜯지말고 '이렇게' 관리하세요(+실제후기)
Recommended by
많이 본 뉴스
1
[르포] 아침은 광둥, 점심은 홍콩, 저녁은 마카오… 강주아오 대교가 연 ‘1시간 생활권’
2
매출 13조원 항암제의 日오노약품, 韓리가켐 기술 인수한 까닭은
3
[단독] “한의원 대상 민원 넣으면 40만원”…비방에 사직 전공의 동원
4
고려아연 지분 5.34% 확보한 MBK-영풍…일단 유리한 고지 선점했다
5
고민 깊어지는 IT서비스 ‘빅2’ CEO… 삼성SDS는 주가 빌빌, LG CNS는 성장성 우려
6
‘1300억’ 신한證 대형 손실에 칼 뽑은 금감원… “사안 경위 적극적으로 살필 것”
7
헤지 목적으로만 공매도 한다더니… 신한證 사태에 ETF LP 신뢰도 또 ‘흔들’
8
[단독] 무단 이탈 ‘필리핀 이모’ 2명 강제 출국… 5년간 입국 금지
9
‘아이폰 의존’ 애플, 성장 동력 찾기 골머리… 스마트홈·MR 공략 강화
10
호텔롯데 인력 구조조정 검토… 2020년 이후 4년만
연예 많이 본 뉴스
1
제니는 글쎄, 리사는 논란..블랙핑크 극과 극 솔로 성적표 [Oh!쎈 이슈]
2
심형탁, 결혼 1년 만 전해진 슬픈 소식…"마음 먹먹하다"
3
이상아 "20년 동안 꾹 참아왔지만…첫 번째 이혼, 유책 배우자는 김한석"
4
‘흑백요리사’는 어떻게 2024년 하반기의 밈이 되었나 [Oh!쎈 이슈]
5
이진호, 불법 도박 고백 "감당하기 힘든 빚 떠안아…무슨 일 있어도 변제할 것" (전문)
6
"난 사기캐" 영숙, 어장관리하더니 결국 경수x상철에 차였다 (나는솔로)[종합]
7
'최현석 딸' 최연수, 우월한 볼륨감에 눈길이 가…공주 재질 드레스 핏
8
김우빈, 비인두암 6개월 시한부였다 “♥신민아와 모두의 기도 덕에 나았다”[Oh!쎈 이슈]
9
'최현석 딸' 최연수, 진정한 청순 글래머…더위 잊게 하는 핫보디
10
뉴진스→에스파 윈터, '마이데몬' 화려한 OST 라인업 공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앱설치(Android)
Copyright 조선비즈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