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어 | 한국어 | 어원해석 |
fragrance | 향기, 향 향수 | ◾fragrance : 향나는거 혹은 피어나는거(발하는 거)⟶어원(영어의 -nce는 명사형접미사로서 ~는 거) ◾perfume(향수, 향료) : 발(하여)뿜어⟶어원 ▸per은 wer 이나 hwer 과 같은 것. ▸냄새가 발하는 것(퍼지는 것, 나는 것)을 뜻하며 fume(뿜어나오는 것)이다. ◾스페인어 nariz (코) : 나르 ⟶날 ⟶(냄새가)났어⟶어원 ◾포르투갈어 nariz [나리스] : 코(냄새가)났어⟶어원 ◾네팔어 Nāka / 힌디어 naak / 구자라트어 Nāka / 마라티어 Nāka / 벵골어 Nāka / 신할라어 nāsaya (냄새가)났어야 / 펀자브어 Naka ◾터키어 burun / 몽골어 хамар 하마르 ◾ 독일어 Nase (냄새가)나제(나는 것을 확인하는 말투 경상도사투리) ◾라틴어 nasus (냄새가)났었어⟶어원 ◾프랑스어 nez : “네” 우리말에서 냄새를 내음 ⟶내 (코는 냄새 맡는 기관) |
fasten | 매다, 매이다 묶다. 잠그다 | ◾fasten : 팼던⟶뱄던⟶ 맸던 혹은 패었던⟶ 배었던⟶ 매었던(어원)⟶붙었던(어원) / ㅍ⟶ㅂ⟶ㅁ 발음변천 ◾fasten : 붙들다의 활용형 붓든(붙든) ◾일본어 무스부(むすぶ ,結ぶ) : 매다. 묶다.(↔解く). 맺다⟶묶다 ◾영어 bind(묶다) : 분는다⟶붙는다(비음현상) / 바짝 간격을 붙이는 것, 즉 묶는 것 ◾독일어 binden : 매다, 묶다, 동이다; 조이다; 잇다, 결부시키다, 연결하다 |
forget | 잊다. 망각하다. 버려지다 | ◾ forget : 버려지다, 바래지다⟶어원(g는 d, z, j와 발음상 호환성) ◾fade(희미해지다) : 흐려지다. 희미해지다. 빠지다. 밖이다 ⟶어원(ㅍ⟷ㅎ 호환) |
fart | 방귀 | ◾fart의 어근 far : 파르⟶팔⟶판⟷팡(비음)⟶방 (경상도에서는 방구). ◾release(방출하다. 뀌다) : khrelease 흘려내렸어⟶어원 / r이니 앞에 연구개음 kh빠진 것 ◾squid(오징어) : 어두자음군ㅅ귀다 (뀌다)⟶어원 / 먹물을 분출하는 연체동물 |
forsythia | 개나리 | ◾forsythia : 불탔어⟶어원 ◾separate(분리하다) : 세파레떼 ⟶떼파리떼 ⟶떼버리다. 잘라버린다⟶어원 ▸separate : se-(분리, 이탈) + par(가르다. 분리하다) /생선을 잘 발라먹어! ◾divide(나누다. 분리하다) : 떼삐다⟶어원 (떼다의 경상도사투리) ▸di : “떼다”의 경상도사투리 띠다(분리) ▸vid(vir : d가 r로 발음변화) ⟶바르다 ⟶어원 ▸분배 [分配]할 때 配 : 배⟶팥⟶팓⟶파르⟶ 바르⟶ 바리⟶바이⟶배 (나눈다) ◾differ(다르다) : fer ⟶바르⟶ 變 ⟶변하다⟶색이 “바래다”의 어근 바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