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악관현악단 관현악시리즈Ⅳ '부재'(不在) 인간형 안드로이드 로봇 '에버(EveR) 6'·최수열 나란히 지휘봉 6월 30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서 공연
로봇 지휘자 '에버 6'. 국립극장 국립국악관현악단 제공
국내 최초로 로봇이 지휘하는 무대가 펼쳐진다.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국악관현악단이 오는 30일 해오름극장에서 공연하는 관현악시리즈Ⅳ '부재'(不在)에서다.
로봇 지휘자가 나서는 시도는 세계에서 여러 차례 진행됐지만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앞서 2008년 일본 혼다사가 만든 '아시모'(Asimo), 2017년 스위스의 협동로봇 '유미'(Yumi), 2018년 일본의 2세대 AI 휴머노이드 로봇 '알터2'와 2020년 '알터3' 등이 무대에 선 바 있다.
'부재' 무대에 서는 '에버(EveR) 6'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 개발한 인간형 안드로이드 로봇이다. 감정 모델 기반 근육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풍부한 감정을 표현할 수 있고, 시선 맞추기와 자율행동이 가능하다.
...
'에버 6'는 몽골 작곡가 비얌바수렌 샤라브의 '깨어난 초원'과 만다흐빌레그 비르바의 '말발굽 소리'를 지휘한다. 빠르고 경쾌한 박자로 구성돼 드넓은 초원을 달리는 말들의 기세가 느껴지는 곡이다. 빠르고 반복적인 지휘 동작을 정확하게 수행하며 말발굽 소리가 들리는 듯한 역동적인 음악을 끌어낼 것으로 기대된다.
최수열은 황병기 작곡의 가야금 협주곡 '침향무'와 김성국 작곡의 국악관현악곡 '영원한 왕국'을 지휘한다. '침향무'의 가야금 협연에는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이지영 교수가 함께한다.
최수열은 "로봇에게 가장 도전적인 영역은 실시간으로 이뤄지는 교감과 소통, 그로 인해 완성되는 음악이 아닐까"라며 사람 지휘자의 통솔력과 해석력으로 로봇과는 차별화된 공연을 선보인다는 각오다.
첫댓글 와우
신기하네..
지휘가 실시간으로 악단과 언어 없이 표정 몸짓으로 소통하고 음악을 느껴야 가능할텐데... 그걸 로봇이 하네... 기존의 악보를 학습시켜서 하는건지 즉흥적인 머신러닝이 되는건지 궁금하다.
※ 여성시대 인기글 알림 봇 v1.2.0
※ 연속 등극 시 최대 3회까지 기록됩니다.
※ 자세한 내용은 프로필 게시글을 참고해주세요.
✧⋄⋆⋅⋆⋄✧⋄⋆⋅⋆⋄✧⋄⋆⋅⋆⋄✧⋄⋆⋅⋆⋄✧
2023년 06월 23일(금) 11시 - 인기글 87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