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성어]結者解之(결자해지)
[字解] 結(맺을 결) 者(사람 자) 解(풀 해) 之(어조사 지)
[意義] "맺은 사람이 풀지"라고 풀이되며, 일을 벌려 놓은 사람이 해결해야 함을 뜻함.
[出典] 순오지(旬五志)
[解義]
누구나 자신이 저지른 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끝까지 책임지고 풀어야 한다는 말이다.
자신이 일을 해놓고 일이 힘들거나 일을 끝마치더라도 자신에게 유리하지 않을 것을 예상하고 그만두거나, 남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책임감 없는 사람을 비유할 때 쓰는 말이다.
조선 인조 때의 학자 홍만종(洪萬宗)이 지은 순오지에 다음과 같이 실려 있다. "結者解之 其始者 當任其終(결자해지 기시자 당임기종)" 이 말은 맺은 사람이 풀고 처음에 시작한 사람이 그 끝을 책임져야 한다는 뜻이다.
불교에서도 인과응보(因果應報)라 하여 나쁜 업을 쌓지 말라고 강조한다.
자신이 저지른 일을 자신이 해결하지 않으면, 그 업보가 다음 생으로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결자해지는 이처럼 자기가 꼰 새끼로 자신을 묶어, 결국 자기 꾐에 자기가 빠지는 자승자박(自繩自縛)의 신세가 되지 말라고 경계하는 격언이다.
다시 말하면 끈의 매듭은 묶은 사람이 풀어야 제대로 풀려지듯이, 벌려 놓은 일을 자신이 끝까지 해결해야지 다른 사람에게 떠 넘겨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영국 속담에도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어야 한다."는 유사한 말이 있다.
[English]
-One who has tied a knot must untie it.
-Solve the problems you yourself create.
출처:NAVER백과사전
..........................................................................................................................................
|
간체자(簡體字) |
 | |
부수 |
: |
(실사 部) |
난이도 |
: |
중학용 한자, 한자능력검정 5급 (쓰기 : 준4급) |
|
|
간체자(簡體字) |
 | |
부수 |
: |
(늙을로엄 部) |
난이도 |
: |
중학용 한자, 한자능력검정 6급 (쓰기 : 5급) |
|
|
간체자(簡體字) |
 | |
부수 |
: |
(뿔각 部) |
난이도 |
: |
중학용 한자, 한자능력검정 준4급 (쓰기 : 준3급) |
|
|
간체자(簡體字) |
 | |
부수 |
: |
(삐침 部) |
|
|
첫댓글 좋은 말씀입니다.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하고 맺힌 것은 풀어야 합니다.
글 잘 보고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