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타민 E(토코페롤)는 항산화제입니다.
따라서 정상 세포 활동의 부산물이며 세포 내 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자유 라디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합니다.
이러한 화학 반응 중 일부는 유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타민 개요 참조)
대부분의 사람들이 비타민 E 보충제를 복용하여 특정 장애를 예방합니다.
비타민 E 보충제는 심장 및 혈관 장애로부터 보호하지 못합니다.
비타민 E가 고용량이라 하더라도 알츠하이머병의 진행을 늦춘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습니다.
비타민 E 보충제가 지연성 운동장애
(입, 혀, 팔 또는 다리의 반복적인 불수의 운동—항정신병 약물의 부작용)로부터
보호하는지 여부와 전립선암의 위험을 높이거나 낮추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습니다.
비타민 A, D 및 K와 마찬가지로, 비타민 E도 지용성 비타민이어서 지방에 녹으므로
지방과 함께 섭취할 때 가장 잘 흡수됩니다.
비타민 E의 좋은 공급원은 식물유, 견과류, 씨앗, 녹색 잎 채소 및 맥아 등입니다.
많은 성인들이 겉으로 나타나는 손상 없이
수개월에서 수년간 상당히 많은 양의 비타민 E를 복용합니다.
하지만 고용량의 비타민 E는 출혈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항응고제(특히 와파린)를 복용하고 있는 성인의 경우에는 더욱 더 그렇습니다(혈액 응고를 감소시킴).
때로는 고용량을 복용하는 성인에게서 근육 쇠약, 피로, 메스꺼움 및 설사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비타민 E 독성의 진단은 해당 환자의 비타민 E 보충제 사용 이력과 증상을 토대로 이루어집니다.
비타민 E 독성의 치료에는 비타민 E 보충제 중단이 포함됩니다.
필요할 경우 출혈을 중지시키기 위해 혈액 응고를 도와주는 비타민 K가 제공되기도 합니다.
비타민 E 과잉 - 영양 장애 - MSD 매뉴얼 - 일반인용 (msdmanuals.com)
비타민E 결핍증? 빈혈 초래…과잉땐 뇌졸중 사망 위험 ↑
2015.07.24
비타민E의 효능과 결핍증에 대해 온라인상에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타민E는 세포막 유지 및 세포노화 방지, 그리고 항산화 작용을 하는 지용성 비타민이다.
비타민E는 세포막의 불포화지방산 사이에 존재하는데,
여기서 불포화지방산이 과산화하는 것을 막아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 비타민E는 T 림프구(백혈구의 일종)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면역력 강화 효과가 있다.
비타민E는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기도 한다.
관련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타민E의 섭취가 높은 사람들의 심장병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E에는 당뇨병 예방 효과도 있는데, 이는 보충제가 아닌 식품 형태로 섭취할 경우에만 해당한다.
또 유해한 콜레스테롤인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고 유익한 H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며,
혈관 기능을 보호한다. 혈소판의 지나친 응집을 억제하고 혈전 생성을 방지하는 한편
동맥 혈관에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것도 비타민E의 주요 기능 중 하나다.
이밖에도 비타민E는 백내장, 아토피성 피부염, 관절염 등의 증상 예방 및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런 효능이 있는 비타민E가 결핍되면
세포막을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산화가 몸 안에서 쉽게 퍼지기 때문에
신경세포를 비롯한 각종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
또 생식 불능이나 근위축증(신경질환, 관절질환 등에 의해 근육이 점점 위축되는 질환),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참기름, 해바라기유 등의 식물성 유지 제품, 아몬드, 잣, 땅콩 등의 견과류, 기름기 있는 생선,
녹색채소, 옥수수, 붉은 피망, 파프리카 등을 꾸준히 섭취하면서 비타민E가 결핍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미국의학협회 식품영양위원회가 정한 성인의 비타민E 하루 적정 권장량은 1000mg이다.
그런데 이 이상으로 비타민E를 과잉 복용해도 문제가 생긴다.
비타민E를 하루 800~1200mg 이상 복용하면
비타민 K의 흡수를 방해해 혈소판 응집을 감소시키고, 수술 후 출혈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근육 악화, 두통, 만성 피로를 초래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비타민E를 과잉 복용하게 되면 뇌졸중 사망 위험이 증가하게 되므로
비타민E를 ‘적정량’ 섭취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한다.
[출처]비타민E 결핍증? 빈혈 초래…과잉땐 뇌졸중 사망 위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
첫댓글 공부 잘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_()_
감사합니다
청솔님~
정보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
정보 감사합니다~
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