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방을 보여주면, 당신의 성격을 맞춰보겠다." -도스토예프스키
셜록 홈즈를 보면,
홈즈가 누군가의 방을 관찰하면서 방주인의 성격이나 버릇 등을 추리해내는 장면들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성격은 자연스럽게 행동에 일정부분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누군가의 행동이 녹아져있는 그 사람의 방을 본다면,
당연히 그 사람의 성격을 어느 정도까진 유추해 볼 수 있겠죠.
성격심리학에서는 통상적으로 "BIG 5 성격 유형"을 사용하므로,
오늘은 성격 유형이 어떻게 개인의 방 상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죠.
방을 보면 성격이 보인다.
BIG 5 성격 유형은 다음과 같이 구성돼 있습니다.
성실성
BIG 5 중에 방의 상태를 가장 잘 예측해낼 수 있는 지표는 성실성으로,
성실성에는 정리정돈과 질서정연함을 묻는 문항들이 있기 때문에
방의 청결 상태에 직접적으로 가장 연관성이 깊은 성격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cf. 카카고같이가치 버전에서는 성실성 내의 계획성 항목이 이에 해당됨)
특히, 성실성과 신경성이 둘 다 극단적으로 높게 되면,
강박적으로까지 보이는 정리벽과 결벽증을 보일 가능성이 높게 되는데,
이 경우, 조금의 먼지나 흐트러짐도 견디지 못하고 극단적인 완벽성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 신경성이 높으면 스트레스나 내적 불편감에 취약해지는데,
통상적으로 내 성격에 위배되는 행동이나 상황 앞에서는 누구나 내적 불편감을 느끼기 마련이므로,
이러한 불편감을 회피하기 위해 고 신경성인들은 최대한 내 성격대로 맞춰 사려는 경향성을 보인다.
예를 들어, (고 성실 + 고 신경)의 경우, 정리정돈을 좋아하는 성격이 고 신경성으로 인해 극단적으로까지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성격심리학자들은 높은 신경성을 다른 성격들의 "증폭기"라고 부른다.
신경성
신경성은 상태에 따라 방의 상태가 극단적으로 갈릴 수 있습니다.
통상적으로, 높은 신경성은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의 강력한 원인이 되는데,
극단적으로 높은 신경증적 성향으로 인해 심신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는
방 청소를 전혀 할 수 없을 정도의 신체적, 정신적 소진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반면, 높은 신경성을 잘 컨트롤하고 있는 경우라면,
이 자체로 영향력을 가진다기보다는, 다른 성격들에 맞춰 다른 요인들을 강화시키는 역할(증폭기)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성실성이 높은 경우에는 정리정돈을 정리벽으로 강화시키고,
개방성이 높은 경우에는 콜렉션을 수집광의 수준으로 강화시키죠.
개방성
개방성이 높은 사람들의 경우,
본인들만의 확고한 취향과 세계관이란 게 있습니다.
따라서, 자신의 방에 본인들의 이러한 취향을 전시하고 즐기고자 하는 욕망을 지니죠.
이들에게는 흔히 말하는 "덕후"의 기질이 있거나,
지적 호기심이나 예술가적 기질이 강한 경우도 많기에,
책이든 음악이든 영상이든 예술이든 장난감이든 인형이든
자신의 방이 그 무언가들로 전시돼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했듯,
(고 개방 + 고 신경)의 경우라면,
고 신경성이 콜렉션의 수준을 강화시키므로, 어느 한 분야에서 매니아적인 면모를 보일 수 있습니다.
특히, "디드로 효과"로 인해, 수집에 대한 열망이 한층 더 강력해질 수 있죠.
우호성
우호성이 높은 사람들은 다른 존재와의 깊은 관계에서 삶의 즐거움을 느낍니다.
따라서, 그들의 방에는 그들의 이러한 관계성이 일정부분 반영돼 있을 가능성이 높아요.
방의 벽면을 추억이 깃든 사진이 가득 메우고 있거나,
반려 동물을 키우고 있다거나
방에 정서적 온기가 감돌만큼 다른 존재들의 흔적이 많이 묻어 있다면,
그 방은 고 우호성인의 방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외향성
책상 위에 뭐가 잔뜩 있고,
의자의 가죽이 헤져 있다면,
내향형의 방입니다.
-끝-
※ 무명자 블로그 : https://blog.naver.com/ahsune
첫댓글 음 난 내향형이었군 ㅋ
개방성과 내향형... 음...
흥미로운 글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