꽤 오래전부터 안철수연구소의 V3제품을 사용중입니다. 갱신횟수가 8회이니 만 9년이상 정식사용자이었네요. 이젠 더이상 아니지만...
지금은 미국에 거주하고 있지만 제가 한국에서 살았을 때 가진 직업 중의 하나가 네트웍보안회사의 세일즈이었을 때도 경쟁회사라고 할 수 있는 안철수연구소의 V3를 개인적으로 사용했었죠. 특별한 이유가 있어서보다 국산이라는 점과 그 당시 여론에서도 떠들어 댔던 국산 프로그램회사를 살리자는 분위기에 동참하고자 했던 의도에서 계속 갱신하면서 사용해왔습니다.
그동안 한국에 남겨두고 온 거래은행 계좌에서 자동이체 방법을 이용해 경신해 오다가 이번엔 미국에서 사용중인 신용카드로 결제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눈여겨 보지 않았던 부분이 거슬리더군요.
첫째가 바로 휴대폰번호의 필수입력이었습니다.
자, 9차 갱신고객의 휴대폰번호가 왜 필수입력 정보이어야 할까요? 제가 살때보다 더 많은 국민들이 휴대폰 서비스를 받고 있으리라는 건 상식일 수 있겠습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안티바이러스 프로그램과 휴대폰번호의 상관성을 떠올리기란 저에겐 어려웠습니다. 필요이상의 개인정보 요구라는 생각이 듭니다.
두번째는 신용카드 결제부분이었습니다. 저에겐 좀 생소한 안심결제 등의 특정은행 또는 특정회사 신용카드마다 별도의 보안결제방식을 요구하더군요. 제가 한국에 있을 당시에도 어느 카드가맹점이든 모든 카드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었는데 인터넷에선 안철수연구소의 한국내 홈페이지에선 미국 아니 한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행한 신용카드는 사용불가였습니다.
보안회사라서 보안을 중요시해서일까요?
1대1 상담란을 찾아 문의하였습니다. 제 이메일주소를 입력하게 되어있더군요. 입력하였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내용을 올렸습니다.
==========================================================================================
============================================================================================
하루 이틀이 지나고 일주일이 다되어가도 답장이 오질 않았습니다. 이럴리가 없을텐데...
의아스럽더군요. 홈페이지에 로그인했더니 답장이 올라와 있었습니다. 제가 올린 다음날 답변이 올라왔더군요. 아쉬운 부분이었습니다. 이메일로 답장해 주지 않을 거면서 왜 또 이메일 주소는 묻는 걸까요? 임 회원정보에도 들어가 있는 이메일 주소인데 말이죠.
아래는 그 답변입니다. 답변하신 분의 이름은 비공개합니다.
=============================================================================================
=============================================================================================
참고로 핸드폰은 틀린 말입니다. 휴대폰 또는 셀폰이라고 해야 옳겠죠?
010-0000-0000이라는 번호로 입력은 실재할 수 없는 번호도 입력가능하게끔 만들어 놓았다는 소리인데 이런 식으로 편법아닌 편법, 잔머리를 쓰도록 유도해서야 되겠습니까.
안랩몰은 국내사용자용이고 해외사용자는 글로벌 사이트를 이용하라는 부분에 대해서...
저의 경우 안랩몰고객이었겠군요. 하지만 안랩몰과 글로벌 사이트상 회원정보는 공유가 되지 않기에 같은 아이디라 하더라도 별개의 고객일 뿐입니다. 따라서 갱신과 같은 가격적인 혜택은 전혀 없다는 거죠.
국내 지인을 통하여 결제...
이런, 저같은 고객이 얼마나 되는지 알지 못합니다. 하지만 고객을 위한 서비스는 없는 진정 찾기 힘든 답변인 듯 합니다.
너무 화가 나 두번 째 질문을 올렸습니다.
=============================================================================================
==============================================================================================
전례가 있어서 바로 확인하였습니다. 답변이 꽤 빨리 올라왔습니다. 또 제 개인메일로도 보내주었더군요. 이번엔.
=============================================================================================
============================================================================================
결국 같은 내용입니다.
한국 시각으로 18일이 계약만료일입니다만 아직 갱신하지 못했습니다.
고작 1년에 20여 불 정도밖에 되지 않는 달러(외화)이지만 외국에서 번 돈으로 한국에서 쓰고 싶은데 안될 것 같네요.
다른 회사나 업종에서는 어떻게 하시는 지 모르지만 저와 같은 경우가 발생한다면 조금이나마 배려해 주시면 안될지요. |
출처: 카미의 이야기 원문보기 글쓴이: 카미
첫댓글 나는 KT의 Megapass Lite를 쓰고 있는데 거기서 어떤 제품인지는 몰라도 바이러스 문제를 무료로 처리해주고 있거든...
아, 이제야 생각 나는군! 바이러스 처리 프로그램 명 : 메가닥터
V3않좋던데.. 카스퍼스키 체험판으로 잡은 트로이목마 4개인가를 하나도 못잡아내던데요..?아빠가 카스퍼스키 쓰지말라고해서 V3쓰고있긴 하지만요..
캐스퍼스키가 AV 에서는 가장 강력한 제품이라는것은 알고는 있지만,,,,,, 예전에 설치해서 써보니 하루종일 걸리고.....결국 문제도 일으켜서 컴퓨터를 포맷하는 지경까지된 안좋은 기억이.....
가장 중요한 문제는 한 컴퓨터에 AV 프로그램을 1개만 설치 해야지, 2개이상 설치하면 바로 문제가 발생이 되고, 한 프로그램을 지우고 다른 프로그램을 설치해도 문제가 되는게, AV 가 잘 근본삭제가 안되다 보니.... 남아있는 찌꺼기 시스템 파일이 충돌을 일으켜서 컴퓨터를 포맷으로 이끌어감....
이거 창현이가 쓴거지? 이젠 컴퓨터 박사가 되가는구나.
형부가 쓴 것이구먼. 자꾸 창현이래. 형부 성질나게시리..ㅋㅋㅋ
여기서 내 카드로 결재할까? 계속 쓸 계획이면 말해주삼. 내게 결재할게. 삼성, 롯데, 신한 카드 있음.
아냐. 안 쓸거야. 내가 하고 싶었던 이야기는 정말 국제적회사로 발돋움하고 판매하고자 한다면 구매자가 접근이 용이하도록 해야한다는 거지. 보안회사가 이런 식으로 불편하게 보안장치를 하고서 자기네 물건을 판다는 게 말이나 되니? 내가 8년이나 이런 식으로 써주었지만 더 이상은 그러기 싫어. 더군다나 무료 백신이 여기저기 판치는 세상인데...
결제하려 했으면 온라인 입금할 수도 있었어. 그들이 바뀌길 바랬던 거지.
대단하네.....9년째 정식 사용자라..... 양식에 휴대폰이 들어가는 것은, 홈페이지의 관리와 관계가 있는거 같네. 각종 신청서는 그 데이타가 DB와 연결이 되어 있고, 이 DB는 또다른 프로그램과 연결이 되어 있는데, 홈페이지의 관리자페이지에, 관리 프로그램상 고객에게 핸드폰으로 안내 메시지(또는 신원확인 등등)를 보내야 하는게 꼭 필요 하다고 한다면, 신청서에 핸드폰 번호를 안적으면 안되게 만들어 두는것이지, 즉 안철수에서 고객의 핸드폰 번호가 꼭 필요한 다른 서비스가 신청서 고객 DB와 연동이 되어 있는것이지.........
그게 문제라는 거죠. 고객관리를 고객의 상황을 무시하고 진행한다는 거.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이. 고객의 휴대폰을 이용한 마케팅이나 인증절차가 유일무이한 방법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들 하니까 나도 한다는 식의 마구잡이방식은 21세기 글로벌 세계를 살아가는데 아주 멍청한 고집이라고 할까요?
두번째 카드 문제는 안랩에서 해외사용자용 쇼핑몰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면, 이것은 아마 수수료와 가격의 문제 일것 같네. 가격은 아마도 해외 달러가가 비싸던지, 싸던지 하겠지..... 예전 스니퍼 미국 인터넷 소비자가 처럼.... 그게 아니라면, 해외에 고객이 없는거야. 극소수의 고객의 소리를 무시해도 좋을 만큼, 해외 고객이 아예 없다는 것 일텐데... 아마 전자가 아닐까? 미국이니.....그냥 맥아피 써 ^^
해외 고객이 있고없고를 떠나서 고객 데이터베이스라도 통합운영을 했다면 이런 문제가 없겠죠. 미국안철수홈페이지에선 제 정보는 없는 셈이고 한국에서야 장기고객일지 모르지만 미국에선 '넌 누군데'라는 식인거죠. 맥아피가 시만텍보다 훨씬 가볍고 저번에 Dell에 깔려나온 걸 사용해 보니 안철수보다 떨어지는 것 같지 않더라구요.
요즘에는 국내 사이트 들도, 주민번호등 개인정보 침해가 우려되는 정보입력을 회원가입 하는데 안하게 하려고 하고 있지만, 운영측 입장에서는 DB 기록에도 남지않는 주민번호나, 핸드폰 번호가 관리상 꼭 필요한 경우가 있어,,, 나도 새로만든 홈페이지에 소수의 해외 사용자들 때문에 핸드폰 번호 입력을 필수로 해놓지 않았는데, (사실은 꼭 필요한 필수 정보임, 수강만기일이 다가오면 자동안내 문자 메세지 날라가거든) 그것을 국내 사용자들이 오용을 해서 어쩔수 없이 다시 핸드폰 번호를 필수 입력사항으로 변경하고, 해외나 핸드폰이 없는 가입자에겐 별도 상담을 통해 처리를 하는 것으로 바꾸었지.
아무튼 안랩의 서비스 문제라기 보다는, 해외 고객은 아마, 가입양식이 다르던가 해서 기술적으로 DB를 공유할수 없거나, 일부러 분리해서 관리 하나 보네. 네 말대로 우리나라도 이제 주민번호등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가 있는 정보입력을 가입하는데 배제 하려고 시도하는데, 중국등 해커들의 경유지라고 불리우는 한국에서 그나마 최소한의 보안장치가 아닌가도 생각을해. 그러나 엊그제 보니, 내거 예전 홈페이지는 주민번호고, 핸드폰 번호가 간에 필수 입력 사항인데.....해커들이 그랬는지, 그냥 알파벳 대소문자로 다 처리하고 몽땅 회원 가입 해놔서, 그거 삭제 하느라 애좀 먹었네. 결국 고수들에겐 이런거도 안통한다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