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화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서 국가 간 교류가 증대하여 개인과 사회집단이 갈수록 하나의 세계 안에서 삶을 영위해 가는 과정을 가리키는 사회학용어.
나는 세계화를 지지하고 싶다.
세계화의 장점을 드러낸 세가지 사례
사례 1
일부 문화권에서 행해지는 명예살인이나 여성 할례에 대한 인권 논의가 제기되고 있다. 명예살인은 가족 내 여성 중에서 순결을 잃었거나 간통을 한 여인이 있을 경우 그 여인의 친족, 주로 오빠나 남동생이 그 여인을 살해하여 가족의 명예를 지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단순한 문화적 차이의 문제로 보는 것이 아니라 여성의 인권 문제임을 주장하면서 이런 범죄를 막기 위한 노력들이 다양한 국제 인권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화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일어나는 여성을 비롯한 다양한 소수집단의 권리 문제가 세계적인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사례 2
인도네시아 부톤섬의 찌야찌야 부족이 사용하는 언어에는 문자가 없었다. 전통적인 생활 풍속을 유지하면서 살아가던 이들 부족은 한국과의 교류를 통해 자신들이 가지지 못한 문자를 한글에서 빌려와 자신들의 언어를 표기하는 방법으로 한글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이들은 그들의 고유한 언어를 기록하고 배울 수 있으며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사례 3
세계화로 인해 개별 국가의 문화 상품이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는 경향을 보이면서 한류가 각광받고 있다. 〈겨울연가〉로 시작된 드라마 수출은 세계 60개국에 판매된 〈대장금〉을 기점으로 한류로 사랑받으면서 공연, 드라마, 영화, 캐릭터 등 한국의 문화 콘텐츠 산업이 세계로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고유의 문화 정체성을 직접 보려는 외국인 관광객도 늘어나면서 세계인을 위한 한국 문화를 확대하는 방안들이 나오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지구는 정말 평평할까?- 세계화 (청소년을 위한 사회학 에세이, 2011. 9. 26., 구정화, 신동민, 박새로미)
세계화를 통해 많은 문화가 정착하고 한국의 정체성을 잃을 수 있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세계화는 일방적인 것이 아닌 서로 교류하는 것 이므로 다른 나라에게 한국의 정체성을 알릴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외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고 한국의 정체성을 지키려고만 한다면 결국 흥선대원군이 통상 수교를 거절한 것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언젠가는 뒤처지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첫댓글 제목에 입장이 드러나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