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사상가 원효는 과연 어떤 인물이었으며, 그가 펼쳐내는 거대한 사상의 핵심은 무엇이고, 그 사상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은 원효 탄신 1,400년을 맞아 그동안 원효 연구에 천착해 온 저자가 그의 생애와 사상을 총체적으로 조명하였다.
1. 원효는 한국이 세계에 자랑할 만한 불세출의 사상가로서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위대한 승려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에게 알려진 원효는 다소 피상적이며, 그것도 『삼국유사』 등의 사서에 보이는 일화 위주의 내용들이 대부분인 경우가 많다. 사실 그가 왜 당시 세계제국이던 당나라에서까지 보살로서 높이 평가받았는지, 또한 오늘날까지도 세계적인 사상가이자 성인으로 주목받고 있는지에 대한 이유는 일반인들에게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과연 원효가 위대한 이유는 무엇일까? 그는 과연 어떤 인물이었을까? 그가 펼쳐낸 사상의 핵심은 무엇일까? 또 그 사상이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이 책은 이러한 의문에 답하고자 평생 원효를 연구해온 저자가 자신의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원효 생애와 사상을 총체적으로 탐색한 본격적인 원효 연구서이다.
2. 모두 4장으로 구성된 이 책의 얼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Ⅰ. 「생애와 저술」에서는 원효의 ‘생애와 역정’에 대해 서술하고 그가 지은 ‘저술의 서지학적 검토’를 하였다. 그의 저술은 약 103부 208(214)여 권에 이르지만 현존하는 것은 겨우 20(22)부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에 원효의 저술 필사본과 산일문들이 더 확인되고 있어 그의 현존 저술분 확장과 정본화 작업이 더 이루어질 것으로 보았다.
Ⅱ. 「화회논법의 탐구 지형」에서는 원효의 대표작 중 하나인 『십문화쟁론』 연구가 종래에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피고, ‘원효 불학의 고유성’을 한국불교의 전통 확립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으며, 나아가 그의 학문태도이자 연구방법인 ‘화쟁?회통 논법이 무엇이며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구명하였다.
Ⅲ. 「일심과 본각의 성격과 특징」에서는 원효의 마음철학의 가장 주요한 개념인 ‘일심의 신해성’(『대승기신론소』)과 ‘본각의 결정성’(『금강삼매경론』)의 개념과 그것이 지니고 있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논구하였으며, 아울러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진망화합심(여래장)과 『화엄경』이 제시하는 일심(진심)이 어떻게 같고 다르며 그것이 남북통일의 관점에서 어떻게 원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연찬하였다.
Ⅳ. 「일심과 경 사상 및 염불관과 염불선」에서는 한국 불교와 유교의 대표적인 두 사상가의 핵심 개념인 ‘원효의 일심과 퇴계의 경 사상’의 상통성과 상이점을 구명하였으며, 불교 정토 수행의 대표적인 두 수행자의 핵심 개념인 ‘원효의 염불관과 청화의 염불선’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대해 탐구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의 논구를 통해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의 지형도를 그려내고 방법론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부록에는 약 두 갑자(1901~2016년) 동안의 「원효 관련 논저 목록」을 붙여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원효가 지은 저작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원효 연구 저서와 주석, 일반논문, 석사논문, 박사논문 등을 총망라하고자 하였다.
3. 원효는 ‘하나의 마음’을 ‘두 개의 교문(一心二門)’으로 해명하는 논서인 『대승기신론』를 기초로 하여 ‘일심의 철학’을 구축하였다. 그것은 살아 있는 모든 존재가 추구하는 본성인 ‘하나를 향한 그리움’이자 ‘고향을 가는 기다림’이며 ‘일심의 근원인 붓다로 돌아감’이라는 메시지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분황 원효의 삶과 사상을 통해 우리에게 참된 영혼의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을 가리키고 있다. 이제 그 길을 따라가 배우는 일은 우리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