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점자 규정 - 제5장 숫자
제11절 국어 문장 안의 숫자
제37항 숫자는 수표(3,4,5,6점)를 앞세워 적는다.
1: 수표 찍고 1점
22: 수표 찍고 1,2점 + 1,2점
750: 수표 찍고 1,2,4,5점 + 1,5점 + 2,4,5점
* 숫자 점형은 기본적으로 1~9까지는 영어 알파벳 점형 a~i와 동일하다. 0 같은 경우 영어 알파벳 점형 j와 똑같다. 차이는 앞에 영문표(3,5,6점)이 붙느냐, 수표(3,4,5,6점)이 붙느냐일 뿐이다. 10이나 64, 39 등의 나머지 숫자 조합은 앞서 소개한 점형을 참조하면 된다.
해설: 두 자리 이상의 숫자를 표기할 때는 수표를 처음에 한 번만 적어 나타낸다. 두 숫자 사이에 빈칸이 있을 경우 수표의 효력이 정지되므로 수표를 다시 적어야 한다. 또 숫자와 숫자 사이에 쌍점(:) 붙임표(-) 자릿점(,) 가운뎃점과 마침표가 올 때는 수표의 효력이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표를 다시 적을 필요가 없다.
제38항 숫자 다음에 한글이 이어 나올 때에는 숫자와 한글을 붙여 쓴다.
A4 용지 30장
슈퍼에 가서 과자 1봉지를 샀다.
5월 5일은 어린이날이다.
[다만] 숫자와 혼동되는 ‘ㄴ, ㄷ, ㅁ, ㅋ, ㅌ, ㅍ, ㅎ’의 첫소리 글자와 ‘운의 약자(1,2,4,5점)’가 숫자 다음에 이어 나올 때에는 숫자와 한글을 띄어 쓴다.
2021년에 3명의 아이가 태어났다.
* 예문에서 '년'과 '명'의 앞에 나온 숫자들은 한글과 한 칸의 간격을 둔다. 점자에서는 숫자 3과 ㄴ의 점형이 같고, 5와 ㅁ의 점형이 같기 때문에 점자에서는 자칫 '23연', '35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한글에서 붙어 있더라도 점자에서는 한 칸 띄는 게 올바른 규정 적용이다.
제39항 숫자가 붙임표로 이어질 때에는 수표를 첫머리에 한 번만 적고, 붙임표 뒤에는 수표를 다시 적지 않는다.
02-888-6969
* 참고로 영어는 다르다. 붙임표로 연결되어 있어도 수표를 붙여야 한다. 붙임표 나오고 숫자 오면 그때마다 수표를 넣는 식이다.
[붙임 1] 숫자는 한 줄에 적는 것이 원칙이나, 부득이하게 일곱 자리 이상의 긴 숫자를 두 줄에 걸쳐 적을 때에는 위 줄 끝에서 자릿점(2점) 뒤에 붙임표를 적고, 아래 줄 첫머리에는 수표를 다시 적지 않는다. 이때 위 줄에 적는 숫자는 네 자리 이상이 되어야 한다.
1087956,- (줄 갈아서) 3200
* 한글 문서에서는 2점 대신 쉼표를 찍어 표시했다. 붙임표 연결 숫자에서 자릿점을 찍는 경우가 드물게는 있다. 하지만 보통은 그냥 한 줄에 넣어주는 걸로 끝난다.
[붙임 2] 전화번호나 계좌번호처럼 본래 붙임표로 연결되어 있는 숫자가 붙임표 뒤에서 줄이 바뀔 때에는 아래 줄 첫머리에 수표를 다시 적는다.
* 어디까지나 전화번호와 계좌번호에 해당된다.
해설: '123-a-45'나 '78-xx-10' 같은 예시처럼 붙임표로 연결된 숫자 사이에 영어 문자나 x 모양 빠짐표 등의 기호가 나올 경우 수표를 다시 적는다.
[붙임 3] 숫자에 이어 나온 붙임표 뒤에 ‘나, 다, 마, 카, 타, 파, 하’를 번호로 적을 때에는 ‘ㅏ’를 생략하지 않는다.
수학 1나 국어 2-다
* 붙임표가 와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해설: 별표(3,5-3,5점)로 숫자의 번호 정보가 가려져 있을 때는 <점자도서 점역 및 출판지침)국립장애인도서관)>에 따라 4,5,6점과 1,2,3점을 앞뒤에 두고 2,6점을 별표 개수만큼 적어 나타낸다.
제40항 숫자가 물결표(3,6-3,6점)로 이어질 때에는 물결표 뒤에도 수표를 적어 나타낸다.
제41항 묵자에서 흔히 쓰이는 원문자 번호와 네모 번호는 다음과 같이 적는다.
동그라미 1: 수표 찍고 2점
* 숫자 1 점형(1점)을 한 칸 내림
네모 3: 2,3,6점 + 수표 찍고 1,4점 + 3,5,6점
* 따옴표 열기 점형(2,3,6점) 찍고 숫표와 숫자, 다시 따옴표 닫기 점형(3,5,6점)
해설: 원문자 숫자와 붙임표, 숫자가 이어 나올 때는 붙임표 다음에 나오는 숫자에 수표를 붙인다. 원문자 숫자를 일반 숫자와 다르게 보기 때문이다. 또 원문자 숫자와 붙임표, '나, 다, 마, 카, 타, 파, 하'가 나올 경우 혼동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아'를 붙이지 않는다.
제42항 로마 숫자는 해당 알파벳을 이용하여 적되, 로마자 표를 앞세워 적는다. 이때 소문자는 로마자 표만 적고, 대문자는 로마자 표와 대문자 표(6점)를 적어 나타낸다.
로마자 1: 2,4점
로마자 2: 2,4-2,4점
로마자 3: 2,4-2,4-2,4점
로마자 4: 2,4-1,2,3,6점
로마자 5: 1,2,3,6점
로마자 6: 1,2,3,6-2,4점
로마자 7: 1,2,3,6-2,4-2,4점
로마자 8: 1,2,3,6-2,4-2,4-2,4점
로마자 9: 2,4-1,3,4,6점
로마자 10: 1,3,5,6점
* 로마자표3,5,6점)와 대문자표(6점), 로마자 종료표(2,5,6점)은 생략했다.
[붙임] 둘 이상의 대문자로 이루어진 로마 숫자는 그 앞에 로마자 표를 적고, 대문자 표를 두 번 적어 나타낸다.
제43항 한글의 자음자가 순서를 나타내는 번호로 쓰일 때에는 온표(1,2,3,4,5,6점) 다음에 이들을 받침으로 적어 나타낸다.
ㄱ. 유아기 ㄴ. 아동기 ㄷ. 청년기 ㄹ. 중년기
* 해설: 순서를 나타내는 한글의 마침표 여부는 묵자에 따라 표기한다. 묵자에서 안 붙이면, 점자에서도 안 붙인다.
출처: 국립국어원 2017년 한국점자규정집(문체부 고시) AND 국립국어원 한국 점자 규정 해설집(2018년 발간)
PS. 이 자료는 학습을 위해 카페 주인장이 교재를 읽으며 필사해 요약 정리한 내용입니다.
개인 학습 노트인 만큼 공부하다 끄적끄적 투덜거린 내용과 개인적인 감상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