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uke 11:42 19:23 John 11:37 Acts 26:32 27:21 28:27
가정법 조건절 생략, 조동사 have pp
㉮ 조동사 have pp 용법 : you should have put my money|on deposit|with the bankers,| so that| when I returned|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23장 23절 참조]
㉠ 조동사 have pp 용법 should have + pp 과거에 한일에 대한 후회 유감 등을 나타냄
you should have put my money|on deposit|with the bankers 너는 내 돈을 은행업자에게 맡겨야만했다.
(그런데 맡기지 않았다.)
㉡ 조건절이 생략된 가정법 과거완료 구문 : 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If you had wanted to return it to me), 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 조건절 생략 --에서 상상에 맞김. 또는 (If I had wanted to receive it, If (it had ben) possible 등등......)
ⓐ 가정법에서 조건절 생략 : 가정법에서 귀결절[주절]만 있으면 조건절이 생략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생략된 구문은 대개 짐작으로 추리해 알 수 있는 것으로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 또는 과거완료 형태를 취한다.
• I could have arrived on time. 에서 조건절을 한번 만들어 보십오.
[내가 좀 더 일찍 일어났더라면, 차가 막히지 않았더라면.....등등]
• [If it had dropped,] A pin might have been heard to drop.
[만약 핀이 떨어졌다면]바늘이 떨어지는 소리조차도 들렸을지 모른다.
• I could have come here. [if I had wanted to come.] 나는 여기에 올 수 있었다. [만일 오기를 원했다면.)
•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free]? (만일 한가하신다면[시간이 나면], 당신은 뭘 하겠습니까?)
• I could have lent you the money. (if you had asked). (만일 부탁하신다면,) 돈을 빌려 줄 수 있었을텐데.
• I could easily do it right now. (if I intended to (do it))
나는 지금 당장 그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만일 내가 하려고 한다면)
• He could have helped you (if he had known the situation).
ⓑ 가정법에서 주절의 생략 : 귀결절이 생략되고 조건절만 남는 경우로 보통 소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If I had confided everything to you! (it would have been better.) (당신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 Don't! If anybody should come. (what would be the result?) (하지마! 만일 누구라도 온다면 <어떻게 되겠니?>)
• What if they should be thieves? (만일 그들이 도둑이라면 <어떻게 하지?>)
= What would be the result if they should be thieves?
ⓒ 조건절에서 when, if, in case 용법
㉠ when : 조건의 가능성이 거의 확실할 때 즉 확신이 있을 때 사용 …이라면, …이라고 한다면(if)
• Liberty is useless when it does not lead to action. 자유란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 I'll give it to you when you say ‘please'. 제발」이라고 말하면 그걸 주마..
•I’ll give it to you ~ you try to do your best. 네가 최선을 다한다고만 하면 너한테 그것을 주겠다.
㉡ if :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는 경우 - 어떻게 될 지 잘 모르는(가능성 50%) 미래 ⦗인과관계⦘…하면 (언제나), …한 때에는(when, whenever)《흔히 if-절엔 직설법 동사를 쓰며, 귀결절에는 will, would 등을 안 씀》
• If you mix yellow and blue, you get green. 노랑과 파랑을 섞으면 초록이 된다(≒whenever)
• If it was too cold, we stayed indoors. 너무 추울 때는 우리는 집 안에 있었다.
㉢ in case : 예방적 차원 --에 대비하면 만일에 대비하여; …한 경우에 대비하여; …하면 안 되므로
∘ I will wait another ten minutes in case. 만약의 경우도 있으니까 10분 더 기다리겠다
∘ You had better take an umbrella in case it rains. 비가 올 경우에 대비하여 우산을 갖고 가거라.
㉣ suppose : 《+(thɑt)[절]》 ⦗현재분사 또는 명령형으로⦘ 만약 …하다면(if); ⦗명령형으로⦘ …하면 어떤가, …하세그려, …하십시다. • Suppose 〔Supposing〕 (thɑt) we are late, what will he say? 우리가 늦으면 그가 뭐라고 할까 • But suppose he can’t come? 그러나 그가 못 오면 어쩌지 • Suppose we go to the station? 정거장에 나가는 게 어때.
••✍•☞ when과 if의 차이점 : ㉠ when은 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미래에 사용하고, if는 어떻게 될 지 잘 모르는 경우에 사용 즉 when은 확실히 일어날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하고, if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한다.
When I go to Seoul, I will stay at your house. (서울에 갈 가능성이 아주 높은 상황에서)
If I go to Seoul, I will stay at your house. (서울에 갈지말지 잘 모르는 상황에서)
㉡ 가능성이 100%인 경우... 즉, 불변의 진실이나 습관의 경우에는 둘 다 사용 가능
When(=If) you heat ice, it turns to water. When(=If) I go to Seoul, I always meet my mother.
㉰ 조동사 have pp 용법 : ㉠ 과거의 일을 후회하거나 유감을 나타내는 용법 :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 = You had to V(practice)-, but you didn't (practice) -
= You have should Pp (practiced) ---
should have + pp : 과거에 한일에 대한 후회 유감 등을 나타냄 ⦗... should have done⦘ …했어야 했는데〔하는데〕《실제로는 하지 않았음을 나타냄》너희들은 후자들을 행했어야만 했는데. [그런데 실제로는 행하지 않아 후회나 유감을 나타내는 말] • You should really hɑve been more careful. 자넨 좀더 조심했어야 했어• I shouldn’t hɑve come. 오지 말았어야 했는데 should like to = would like to = want --하고 싶다.
조동사 + have + P.p : 과거 사실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다. (무조건 외울 것)
㉠ may have P.p : 불확실한 추측(~ 이었을지도 모른다)
He may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지도 모르다. ↔ He cannot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리 없다.
He may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지도 모른다.
↔ He cannot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 리 없다.
㉡ might have P.p : 불확실한 추측(~이었을지도 모른다) [가정법 과거완료]
If he had accepted my advice, he might have been rich.
㉢ must have P.p : 과거에 있어서의 추정ㆍ확실한 추측 ~ 이었음에 틀림없다 …이었음〔했음〕에 틀림없다
• You look very tired. You must hɑve been working too hard. 몹시 피곤하신 것 같군요, 틀림없이 과로 때문일 겁니다.
He must be rich. ↔ He cannot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리 없다.
He must have been rich. ↔ He cannot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 리 없다.
• That woman must hɑve stolen it! 저 여자가 그것을 훔쳤음에 틀림없다《비교: That woman cɑnnot have stolen it! 저 여자는 그것을 훔쳤을 리가 없다》.
㉣ cannot have P.p :부정적인 추측 (~ 이었을 리가 없다)
㉤ should have P.p : 유감 (~ 했어야만 했는데 사실은 하지 못했다.) - 시험에 잘 나옴
1. I had to handle it more carefully, but I didn't. ➡ I should have handled it more carefully.
2. This is what you had to say but you didn't. ➡ This is what you should have said.
should have + p.p. : --했어야만 했는데, 후회를 현재 하고 있으므로(regret), 과거의 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유감의 의미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him (그에게 주의를 더 기울여야만 했었는데 사실은 그렇게 하지 못했다) may have p.p .... (~했을 지도 모른다) cannot have p.p.... (~했을 리가 없다) must have p.p.... (~했음에 틀림없다)
㉥ need not have p.p.... (~할 필요가 없었는데 했다 : • You need not hɑve been in such a hurry. 그렇게 서두르지 않아도 되었었는데《‘need not have+과거분사’는, 그 동작이 실제는 행하여졌으나 그럴 필요가 없었던 것을 나타냄》
㉦ would have + p.p. : 가정법 과거완료 ⦗상상을 포함한 의지⦘ …할 텐데
• If I had been in your place, I would not have given him any money. 만일 내가 자네 입장이었다면 그에게 한푼도 주려고 안 했을 것이다. ★ 주어의 의사가 들어 있지 않아 전통적으로는 I should로 해야 될 곳도, 현대어 특히 《미국》에서는 흔히 I would로 함
• If it hadn’t been for him, I would have died. 만약 그가 없었더라면 나는 죽었을 것이다.
••✍•☞
Further Study深化學習
㉡ a. He may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ay have been rich.
그는 지금 부자일지도 모른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을 것이다.
b. He must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ust have been rich.
그는 지금 부자임에 틀림없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음에 틀림없다.
㉠ ⦗must + rV ; 현재의 추측을 나타내어⦘…임〔함〕에 틀림없다, 틀림없이 …이다〔하다〕《이 때의 부정은 cannot (…일 리가 없다); 또, 이 뜻일 때의 must는 상대의 말에 대한 응답과 부가의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문문이 없으며, Are you sure?로 대용함》 • It ~ be true. 정말임에 틀림없다• You ~ know this!―Must I? 너는 틀림없이 이것을 알고 있을 테지―제가 말입니까 • You ~ know this, mustn’t you? 자넨 틀림없이 이걸 알고 있을 테지, 그렇지
㉡ ⦗must have+과거분사; 과거에 있어서의 추정⦘ …이었음〔했음〕에 틀림없다
• You look very tired. You ~ hɑve been working too hard. 몹시 피곤하신 것 같군요, 틀림없이 과로 때문일 겁니다. • What a sight it ~ hɑve been! 틀림없이 장관(壯觀)이었을 테지 • How you ~ hɑve hɑted me! 틀림없이 나를 증오했을 테지 • I thought you ~ hɑve lost your way. 자넨 길을 잃었음에 틀림없다고 여겼다
c. He might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ight have been rich. [조건절 가정법에서]
그는 지금 부자일지도 모른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을 것이다.
㉠ might + rV :⦗현재의 추측을 나타내어⦘ …할는지도 모르겠는데, …할 수 있을 텐데
• You ~ fail if you were lazy. 게으름을 피우면 실패할는지도 모른다
• It ~ be better if we told him the whole story. 그에게 모든 이야기를 해주는 게 좋을지도 모르겠는데.
㉡ ⦗might have+과거분사로;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추측의 가정 귀결절에 쓰여⦘ …했을지도 모를 텐데《가정법 과거완료》
• I ~ hɑve gone to the party, but I decided not to. (가려면야) 파티에 갈 수도 있었지만 가지 않기로 정했었다
• I ~ have come if I had wanted to. 올 마음이 있었으면 왔을지도 몰랐는데.
① 가정법 과거완료 "This man could have been set free|if he had not appealed to Caesar." 이 사람은 석방될 수도 있었을 텐데요 / 카이사르에게 상소만 하지 않았더라면
→➞➔ This man could not be set free|because he had appealed to Caesar."
가능성 : 현재 >과거 >과거완료 >미래
가정법의 뜻 :《가정·조건》 만약 …이면〔하면〕; (만일) …라고 하면; …하면
a.. 가정법현재 : ~한다면, ~할 것이다 . b 가정법과거 : ~한다면, ~할텐데
c. 가정법과거완료 : ~했었다면, ~했었을텐데 d. 가정법미래 : ~한다면, ~할텐데
a. 가정법 현재 : ~한다면, ~할거야 ->현재․미래의 불확실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 ⦗현재·미래의 실상을 모르고 하는 가정⦘ If + S + 현재동사, S + will/shall/can/may + V
• If you are tired, you should have a rest. 피곤하면 쉬는 게 좋다
• If it rains tomorrow, I will stay at home. 만일 내일 비가 온다면 나는 집에 있겠다
• I’ll help you if you come. 네가 온다면 도와 주지《if-절이 뒤로 오면 only if의 뜻이 되어 ‘조건적’이지만, If you come I’ll ...과 같이 앞에 올 때에는 ‘권유적’》
• Come if you like. 좋으시다면 오십시오.
★ 미래의 가정에 있어서도 if-절에서는 현재(완료) 시제를 씀. 가정법 동사를 쓰는 것은 《고어》
b. 가정법 과거 : ~한다면, ~할텐데 ->현재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 ⦗현재·미래의 사실에 반(反)함을 알면서 하는 가정⦘ If + S + 과거동사, S + would/should/could + V
• If he tried harder, he would succeed. 더 열심히 하면 그는 성공할 수 있을 텐데
• Would he come if we ɑsked him to? 우리가 그에게 청하면 올까
• I should 〔would〕 come if I could. 갈 수 있다면 가겠는데
• If I were you, I should 〔would〕 not hesitate. 내가 당신이라면 망설이지 않겠는데요.
★ 오늘날 구어에서는 if I 〔he, she, it〕 were의 경우는 흔히 were 대신 was를 즐겨 씀. 다만, If I were you는 거의 하나의 관용구로 되어 버렸음.
c. 가정법 과거완료 : ~했었다면, ~했었을텐데 ->과거의 사실과 반대되는 일을 나타낼 때 사용 ⦗과거의 사실에 반(反)함을 알면서 하는 가정⦘ If + S + had + p.p, S + would/should/could + have p.p
• If she hɑd been awake, she would have heard the noise. 잠에서 깨어 있었더라면 그녀는 그 소리를 들 었을 텐데《She didn’t hear the noise, because she was not awake.의 뜻을 내포함》
• He would be more successful now if he hɑd hɑd more time to study then. 그가 그때 좀더 공부할 시간이 있었다면 지금쯤 더 성공해 있을 텐데《귀결절은 현재 사실에, 조건절은 과거 사실에 반(反)하는 것을 나타냄》.
If I had studied hard, I could have received a better grade.
(내가 공부를 열심히 했었다면, 더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었을텐데.)
d. 가정법 미래 : ->미래에 대한 불확실한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
㉠ ⦗가능성이 적은 미래의 일⦘《if ... should의 형식으로》 If + S + should + V, S + would, should + V
• If it should rain tomorrow, I shall not come. 내일 만일 비가 오면 오지 못합니다
• If anyone should call while I’m out, tell them 〔him〕 I’ll be back soon. 내가 없는 동안 누가 날 찾으면 곧 돌아올 거라고 전해주오.
㉡ ⦗가능성이 없는 미래의 일⦘ 《if ... were to (do)의 형식으로》
• What would you do if war were to break out? 만일 전쟁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were to일 때 주절은 가정법 과거를 쓰며, should일 때는 가정법 과거·직설법 어느 쪽도 좋음.
If you should be fired, your health benefits would be automatically cut off.
(만약 당신이 해고된다면, 당신의 건강보험 혜택이 자동으로 없어 질것이다.)
5. 특별한 가정법
a. I wish + 가정법과거/가정법과거완료 -> 현재 이룰 수 없는 소망 (~라면 좋을텐데)
I wish I were man. (내가 남자라면 좋을텐데.)
I wish I were young again. (내가 다시 젊어진다면 좋을텐데.)
b. as if/although + 가정법과거/가정법과거완료 (마치 ~ 인것처럼)
He speaks as if he had a lot of money. (그는 많은 돈을 가진 것처럼 말한다.)
c. If It were not for~ 실현가능성이 희박한 현재나 가까운 미래의 일을 가정
If it had not been for~ 과거사실의 반대
If it were not for water, we could not live. (만약에 물이 없다면, 우리는 살지 못할 것이다.)
If it had not been for the book, I couldn't have finished my report.
(만약에 그 책이 없었다면, 나는 내 레포트를 끝내지 못했을 것이다.)
d. But for~, Without~
Without her help, I couldn't have found the bank.
(그녀의 도움이 없었다면, 나는 은행을 찾을 수 없었을 것이다.)
조동사 have pp 구문 용법
① 조동사 have pp 구문 용법 :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without leaving the former undone.
should have + pp 과거에 한일에 대한 후회 유감 등을 나타냄 너희들은 실천 했어야만했다.
조동사 have pp 용법 : you should have put my money|on deposit|with the bankers,| so that| when I returned|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23장 23절 참조]
㉠ 조동사 have pp 용법 should have + pp 과거에 한일에 대한 후회 유감 등을 나타냄
you should have put my money|on deposit|with the bankers 너는 내 돈을 은행업자에게 맡겨야만했다.
(그런데 맡기지 않았다.)
㉡ 조건절이 생략된 가정법 과거완료 구문 : 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If you had wanted to return it to me), I would have received it back|with interest.
조건절 생략 --에서 상상에 맞김. 또는 (If I had wanted to receive it, If (it had been) possible 등등......)
ⓐ 가정법에서 조건절 생략 : 가정법에서 귀결절[주절]만 있으면 조건절이 생략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생략된 구문은 대개 짐작으로 추리해 알 수 있는 것으로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 또는 과거완료 형태를 취한다.
• I could have arrived on time. 에서 조건절을 한번 만들어 보십오.
[내가 좀 더 일찍 일어났더라면, 차가 막히지 않았더라면.....등등]
• [If it had dropped,] A pin might have been heard to drop.
[만약 핀이 떨어졌다면]바늘이 떨어지는 소리조차도 들렸을지 모른다.
• I could have come here. [if I had wanted to come.] 나는 여기에 올 수 있었다. [만일 오기를 원했다면.)
• What would you do [if you were free]? (만일 한가하신다면[시간이 나면], 당신은 뭘 하겠습니까?)
• I could have lent you the money. (if you had asked). (만일 부탁하신다면,) 돈을 빌려 줄 수 있었을텐데.
• I could easily do it right now. (if I intended to (do it))
나는 지금 당장 그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만일 내가 하려고 한다면)
• He could have helped you (if he had known the situation).
ⓑ 가정법에서 주절의 생략 : 귀결절이 생략되고 조건절만 남는 경우로 보통 소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 If I had confided everything to you! (it would have been better.)
(당신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 Don't! If anybody should come. (what would be the result?)
(하지마! 만일 누구라도 온다면 <어떻게 되겠니?>)
• What if they should be thieves? (만일 그들이 도둑이라면 <어떻게 하지?>)
= What would be the result if they should be thieves?
ⓒ 조건절에서 when, if, in case 용법
㉠ when : 조건의 가능성이 거의 확실할 때 즉 확신이 있을 때 사용 …이라면, …이라고 한다면(if)
• Liberty is useless when it does not lead to action. 자유란 행동으로 옮겨지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 I'll give it to you when you say ‘please'. 제발」이라고 말하면 그걸 주마..
• I’ll give it to you ~ you try to do your best. 네가 최선을 다한다고만 하면 너한테 그것을 주겠다.
㉡ if : 가능성을 확신할 수 없는 경우 - 어떻게 될 지 잘 모르는(가능성 50%) 미래 ⦗인과관계⦘…하면 (언제나), …한 때에는(when, whenever)《흔히 if-절엔 직설법 동사를 쓰며, 귀결절에는 will, would 등을 안 씀》
• If you mix yellow and blue, you get green. 노랑과 파랑을 섞으면 초록이 된다(≒whenever)
• If it was too cold, we stayed indoors. 너무 추울 때는 우리는 집 안에 있었다.
㉢ in case : 예방적 차원 --에 대비하면 만일에 대비하여; …한 경우에 대비하여; …하면 안 되므로
∘ I will wait another ten minutes in case. 만약의 경우도 있으니까 10분 더 기다리겠다
∘ You had better take an umbrella in case it rains. 비가 올 경우에 대비하여 우산을 갖고 가거라.
㉣ suppose : 《+(thɑt)[절]》 ⦗현재분사 또는 명령형으로⦘ 만약 …하다면(if); ⦗명령형으로⦘ …하면 어떤가, …하세그려, …하십시다. • Suppose 〔Supposing〕 (thɑt) we are late, what will he say? 우리가 늦으면 그가 뭐라고 할까 • But suppose he can’t come? 그러나 그가 못 오면 어쩌지 • Suppose we go to the station? 정거장에 나가는 게 어때.
••✍•☞ when과 if의 차이점 : ㉠ when은 가능성이 거의 확실한 미래에 사용하고, if는 어떻게 될 지 잘 모르는 경우에 사용 즉 when은 확실히 일어날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하고, if는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일에 대해서 말할 때 사용한다.
When I go to Seoul, I will stay at your house. (서울에 갈 가능성이 아주 높은 상황에서)
If I go to Seoul, I will stay at your house. (서울에 갈지말지 잘 모르는 상황에서)
㉡ 가능성이 100%인 경우... 즉, 불변의 진실이나 습관의 경우에는 둘 다 사용 가능
When(=If) you heat ice, it turns to water. When(=If) I go to Seoul, I always meet my mother.
② 조동사 have pp 용법 : ㉠ 과거의 일을 후회하거나 유감을 나타내는 용법 :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 = You had to V(practice)-, but you didn't (practice) -
= You have should Pp (practiced) ---
should have + pp : 과거에 한일에 대한 후회 유감 등을 나타냄 ⦗... should have done⦘ …했어야 했는데〔하는데〕《실제로는 하지 않았음을 나타냄》너희들은 후자들을 행했어야만 했는데. [그런데 실제로는 행하지 않아 후회나 유감을 나타내는 말] • You should really hɑve been more careful. 자넨 좀더 조심했어야 했어• I shouldn’t hɑve come. 오지 말았어야 했는데 should like to = would like to = want --하고 싶다.
조동사 + have + P.p : 과거 사실에 대한 내용을 나타낸다. (무조건 외울 것)
㉠ may have P.p : 불확실한 추측(~ 이었을지도 모른다)
He may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지도 모르다. ↔ He cannot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리 없다.
He may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지도 모른다.
↔ He cannot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 리 없다.
㉡ might have P.p : 불확실한 추측(~이었을지도 모른다) [가정법 과거완료]
If he had accepted my advice, he might have been rich.
㉢ must have P.p : 과거에 있어서의 추정ㆍ확실한 추측 ~ 이었음에 틀림없다 …이었음〔했음〕에 틀림없다 • You look very tired. You must hɑve been working too hard.
몹시 피곤하신 것 같군요, 틀림없이 과로 때문일 겁니다.
He must be rich. ↔ He cannot be rich. [현재] 그는 부자일리 없다.
He must have been rich. ↔ He cannot have been rich. [과거] 그는 부자였을 리 없다.
• That woman must hɑve stolen it! 저 여자가 그것을 훔쳤음에 틀림없다《비교: That woman cɑnnot have stolen it! 저 여자는 그것을 훔쳤을 리가 없다》.
㉣ cannot have P.p :부정적인 추측 (~ 이었을 리가 없다)
㉤ should have P.p : 유감 (~ 했어야만 했는데 사실은 하지 못했다.) - 시험에 잘 나옴
1. I had to handle it more carefully, but I didn't. ➡ I should have handled it more carefully.
2. This is what you had to say but you didn't. ➡ This is what you should have said.
should have + p.p. : --했어야만 했는데, 후회를 현재 하고 있으므로(regret), 과거의 행하지 못한 것에 대한 유감의 의미 I should have paid more attention to him (그에게 주의를 더 기울여야만 했었는데 사실은 그렇게 하지 못했다) may have p.p .... (~했을 지도 모른다) cannot have p.p.... (~했을 리가 없다) must have p.p.... (~했음에 틀림없다)
㉥ need not have p.p.... (~할 필요가 없었는데 했다 : • You need not hɑve been in such a hurry. 그렇게 서두르지 않아도 되었었는데《‘need not have+과거분사’는, 그 동작이 실제는 행하여졌으나 그럴 필요가 없었던 것을 나타냄》
㉦ would have + p.p. : 가정법 과거완료 ⦗상상을 포함한 의지⦘ …할 텐데
• If I had been in your place, I would not have given him any money. 만일 내가 자네 입장이었다면 그 에게 한푼도 주려고 안 했을 것이다. ★ 주어의 의사가 들어 있지 않아 전통적으로는 I should로 해야 될 곳도, 현대어 특히 《미국》에서는 흔히 I would로 함
• If it hadn’t been for him, I would have died. 만약 그가 없었더라면 나는 죽었을 것이다.
••✍•☞ Further Study深化學習
a. He may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ay have been rich.
그는 지금 부자일지도 모른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을 것이다.
b. He must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ust have been rich.
그는 지금 부자임에 틀림없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음에 틀림없다.
㉠ ⦗must + rV ; 현재의 추측을 나타내어⦘…임〔함〕에 틀림없다, 틀림없이 …이다〔하다〕《이 때의 부정은 cannot (…일 리가 없다); 또, 이 뜻일 때의 must는 상대의 말에 대한 응답과 부가의문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의문문이 없으며, Are you sure?로 대용함》 • It ~ be true. 정말임에 틀림없다• You ~ know this!―Must I? 너는 틀림없이 이것을 알고 있을 테지―제가 말입니까 • You ~ know this, mustn’t you? 자넨 틀림없이 이걸 알고 있을 테지, 그렇지
㉡ ⦗must have+과거분사; 과거에 있어서의 추정⦘ …이었음〔했음〕에 틀림없다
• You look very tired. You ~ hɑve been working too hard. 몹시 피곤하신 것 같군요, 틀림없이 과로 때문일 겁니다. • What a sight it ~ hɑve been! 틀림없이 장관(壯觀)이었을 테지 • How you ~ hɑve hɑted me! 틀림없이 나를 증오했을 테지 • I thought you ~ hɑve lost your way. 자넨 길을 잃었음에 틀림없다고 여겼다
c. He might be rich의 과거형은? → 과거 → He might have been rich. [조건절 가정법에서]
그는 지금 부자일지도 모른다. 그는 과거에 부자였을 것이다.
㉠ might + rV :⦗현재의 추측을 나타내어⦘ …할는지도 모르겠는데, …할 수 있을 텐데
• You ~ fail if you were lazy. 게으름을 피우면 실패할는지도 모른다
• It ~ be better if we told him the whole story. 그에게 모든 이야기를 해주는 게 좋을지도 모르겠는데.
㉡ ⦗might have+과거분사로; 과거 사실과 반대되는 추측의 가정 귀결절에 쓰여⦘ …했을지도 모를 텐데《가정법 과거완료》
• I ~ hɑve gone to the party, but I decided not to. (가려면야) 파티에 갈 수도 있었지만 가지 않기로 정했었다
• I ~ have come if I had wanted to. 올 마음이 있었으면 왔을지도 몰랐는데.
① 가정법 if절 대용어 : But for, Without
[동아] a. [단순한 조건] …이 없으면, 없이는 No man can live without food. 먹을 것이 없으면 아무도 살지 못한다. Without competition, progress stops. 경쟁이 없으면 진보는 멈춘다. b. [가정] (만약에) …이 없다고 하면, 없다면 Without his advice, I would have failed. 그의 충고가 없었더라면 나는 실패했을 것이다. ((If it had not been for his advice, … = But for his advice, …로 고쳐 쓸 수 있음))
without은 「~이 없다면」, 「~이 없었다면」의 뜻으로 but for와 바꾸어 쓸 수 있으며 가정법 과거에서는 If it were not for ~로, 가정법 과거완료에서는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 쓸 수 있다.
② 가정법 if절 대용어 : But for, Wthout
㉮ without은 「~이 없다면」, 「~이 없었다면」의 뜻으로 but for와 바꾸어 쓸 수 있으며 가정법 과거에서는 If it were not for ~로, 가정법 과거완료에서는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 쓸 수 있다.
가정법 과거 : ∙ Without [But for] + 명사, + 가정법 과거: 「~이 없다면」 현재 있는 것을 없다고 가정
➔ If it were not for ~,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
= Without ~,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
= But for ~, 주어+would/should/could/might+동사원형
「~이 없다면 ...할[했을] 것이다」 1. If it were not for ~ : ~이 없다면 =
If it were not for the Sun, nothing could live on Earth.
가정법 과거로 쓰인 If it were not for 대신에 But for 나 Without 를 가지고도 같은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정도로 아시면 됩니다. 즉, Without (But for) the Sun, nothing could live on Earth. 이렇게 나타낼 수 있습니다.
∙ If it were no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돈이 없다면, 너는 아무것도 살 수 없을 것이다.
= Were it no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if를 감춤]
= Without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if의 대용어]
= Bu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if의 대용어] (문어적 표현)
∙ If it were no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 Were it no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 Without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돈이 없다면, 너는 아무것도 살 수 없을 것이다. = But for money, you could not buy anything. (문어적 표현)
㉯ 가정법 과거완료 : If it had not been for ~로 바꾸어 쓸 수 있다.
∙ Without [But for] + 명사, + 가정법 과거완료:과거에 있었던 것을 없다고 가정
➔ If it had not been for ~, 주어+would/should/could/might+have + 동사원형
= Without ~, 주어+would/should/could/might+have + 동사원형
= But for ~, 주어+would/should/could/might+have + 동사원형
「~이 없었더라면 ...했었을 것이다」
∙ If it had not been for your help, I couldn’t have finished it.
= Had it not been for your help, I couldn’t have finished it.
= Without your help, I couldn’t have finished it. 너의 도움이 없었다면, 나는 그 일을 끝낼 수 없었을 것이다.
= But for your help, I couldn’t have finished it. 너의 도움이 없었다면, 나는 그 일을 끝낼 수 없었을 것이다.
2. If it had not been for ~ : ~이 없었다면 = But for, Without - 가정법 과거완료 대용
If it had not been for him, we would have lost the game.
역시 가정법 과거완료로 쓰인 If it had not been for 자리에 Without 이나 But for 를 넣어도 괜찮습니다.
Without (But for) him, we would have lost the game. 이렇게 나타낼 수 있겠습니다.
* 따라서 Without 이나 But for 가 가정법 과거인지 과거완료 인지는 주절을 보고 판단을 하면 되겠습니다.
㉰ 3. Without 만 있는게 아니고 With 도 쓸 수 있습니다.
With her guidance, we could have worked out the problem.
이 문장을 if 절을 써서 나타내면 주절에 could have worked out 을 보고 가정법 과거완료 인지 알 수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If we had had her guidance, we could have worked out the problem.
마지막으로 가끔 다음과 같은 문장을 볼 때가 있을텐데요.
but for나 without을 사용해서 현재 사실의 반대를 가정할 때
㉱ * 가정법에서 if의 생략 대용 구문 If had this not happened,⎮the tower would have fallen over.
If it had not been for this happening, the tower would have ----
= Had this not happened,⎮the tower would have fallen over.
= But for (Without) this happening, the tower would have fallen over
= Had it not been for this happening, the tower would have ----]의미만 변형]
= As this happened, the tower did not fall over.
* As you helped me, I did not fail. (직설법 과거)
= If you had not helped me, I would have fail. (가정법 과거완료)
= Had you not helped me, I would have failed. (If 생략시)
= But for (Without) your help, I would have failed.
= If it had not been for your help, I would have failed.
= Had it not been for your help, I would have failed.
the latter - the former 용법 : You should have practiced the latter|without leaving the former undone.
the former…while the latter… 전자는…, 후자는… former outnumbers the latter. 전자는 후자보다도 수가 많다. A and B; the former and the latter ;the one and the other 갑과을 Sometimes the female spiders are not impressed by the male spiders' performance, and the former eat the latter. 때로는 암컷 거미들이 수컷의 춤에 감동하지 않을 때가 있는데, 이 경우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다.
The former or the latter? 전자 아니면 후자? There are in fact two things, science and opinion; the former begets knowledge, the latter ignorance. (Hippocrates) 사실(事實)의 안에는 과학과 의견이라는 두 가지가 있다. 전자는 지식을 낳고 후자는 무지를 낳는다. (히포크라테스, 과학명언)
the latter [this]- the former[that]으로 사용됨
삼라만상-변불변의진리 | 조동사 have pp 3 - Daum 카페
삼라만상-변불변의진리 | 추측의 조동사 조동사 have Pp 2 - Daum 카페
삼라만상-변불변의진리 | 추측의 조동사 조동사 have Pp 1 - Daum 카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