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하고도 동의하지 않는 낮달.
더러는 아이들에게 손목 붙잡혀
숲길이고 벌길이고 따라 헤매다가도
제물에 차다 이울다
차고 일어나 빛 뿌리고 부서지는
바다 속의 달.
반추의 눈 달.
-『동아일보/나민애의 詩가 깃든 삶』2024.10.18. -
1973년에 발표된 시다. 여러분께서 이 시를, 늦은 오후에 낮달을 발견하신 듯 보아주시길 바란다.
낮달은 조금 이상하고 서럽다. 달의 원래 자리는 어둠 속이고, 달의 순서는 해가 진 다음이다. 그런데 낮달은 익숙한 순서를 지키지 않고 등장한다. 좀 서둘렀구나 싶은 달. 그래서 무슨 할 말이라도 있나 싶은 달. 저도 환한 낮을 그리워했는가 생각되는 달. 초대받지 못한 자리에서 수줍어 보이던 달. 그런 낮달을 찾으면 우리는 신기한 듯 바라보게 된다.
50년 전, 이수복 시인이 그 달을 읊었다. 그건 누구하고도 동의하지 않고 등장했다고, 조금 서럽다고, 그리고 신비롭고 아름답다고. 시를 읽고 생각하니 이 세상에는 낮달 같은 사람들이 조금씩 있다. 조용히, 남들이 예상하지 않았던 곳에, 신비롭고 아름답게 존재하는 낮달 같은 사람들을 헤아려본다. 귀하고 귀하다.
부연하기로는, 여기서 ‘벌길’이란 들길을 의미한다. 숲길 뒤에 놓여 있으니 추측이 쉽다. ‘제물에 차다 이울다’는 말은 스스로 보름달처럼 찼다가 다시 초승달로 이지러진다는 말이다. 눈의 달이라니, 낮달에 대한 표현이 참신하기도 하다. 낮달에 대해 이리 곱게 이야기하기도 쉽지 않은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