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유럽문화산책 원문보기 글쓴이: alpraxas
마리아란 이름은 언어학적이기 보다는 신심적인 측면에서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해 왔다. 따라서 교회에서는 마리아의 칭호에 따라 해석이 구구하다. 마리아 이름을 처음으로 해석했던 분은 성 예로니모인데, 그는 "바다"(YAM)에 해당하는 히브리말을 기초로하여 스틸라 마리스(STILLA MARIS)가 나왔고, 의미는 "바다의 물방울"이며, 여기선 바다는 "하느님"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어느 필사가의 잘못에 의하여 스틸라 마리스가 "스뗄라 마리스(바다의 별)" 가 되어 버렸다. 그 이후 "바다의 별"이 마리아의 의미가 되어버렸다는 설명이다. 두 번째 설명 역시 예로니모가 했는데, 그는 아라마이어로 "주님"을 뜻하는 마르(MAR)에 근거했던 것이다. 그런데 이 두 번째 해석이 더 타당하다는 쪽으로 받아들여졌고, 현대어로 "귀부인"이란 뜻으로 해석되어 마리아께 적용하는 통상적인 의미가 되었다. 이리하여 이탈리아어로는 "나의 귀부인" 마돈나(MADONNA)이고, 프랑스어로는 같은 뜻으로 노뜨르담(NOTRE DAME)이라고 한다.
첫째는 "만족하다, 풍만하다 혹은 뚱뚱하다"는 에집트이 "마라(MARA)"와 관련시켜서, 즉 근동 여성미를 보는 관점에 따라 "아름다운" 여인이라고 해석하는 경향이다.
두 번째 해석은 에집트어로 "사랑스럽다, 귀엽다"는 뜻이 있는 마리(MARI)와 마리아를 결부시킨 것이다.
세 번째 는마리아를 팔레스티나 원주민들의 말과 결부시킨 해석인데, 이것이 오늘날 가장 타당한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왜냐하면 1929년에 우가릿에서 발견된 한 석판의 "므림"(MRYM)이란 글자를 합당한 증거물로 보기 때문이다. 마리아는 동사 RWM에서 나왔고, 자의적인 뜻은 "가장 높다" "존귀하다"이다. 그러므로 성모 마리아는 "존귀하신 분", "지극히 높으신 분" "존엄하신 분"이란 의미를 갖는다. 신앙적으로 보더라도 이 해석이 타당한 것은 마리아께서 영원으로부터 하느님의 특별한 부르심을 받았기 때문이다 |
막달라 마리아의 왜곡
신약성서에는 마리아라는 이름의 여자가 여러 명이 나온다. 그런데 서기 595년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가 막달라 마리아와 베다니의 마리아, 그리고 이름 없는 죄인을 한 사람으로 합쳐버리는 바람에 막달라 마리아는 회개한 창녀가 되어버린다. 그를 옹호하는 입장에서는 죄인일지라도 회개를 한다면 예수에 의해 구원받을 수 있다는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함이라고 말하지만, 한편에서는 교회정치가 저지른 잘못이다.
부활과 영생의 약속은 기독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예수가 그 메시지를 세상 사람들에게 전하는 일을 베드로가 아니라 막달라 마리아에게 맡긴 것이 눈에 거슬렸던 것이다. 이후 막달라 마리아의 역할은 약화되고 5세기부터 여성은 성직자가 될 수 없게 제도가 바뀌어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1969년 가톨릭교회에서 기도서를 개정하면서 3명의 마리아가 서로 별개의 인물이라고 공식선언을 하여 창녀의 이미지를 다시 벗겼다.
첫댓글 이런 뜻이 담긴 줄.. 몰랐내욤
세례명으로 많이 통용되는데도 😪
행복한 시간되세요
하나 배우신거로..ㅎ
저희 엄마 세례명이세요.
참 좋네요
무슨 마리아 인거죠?
성모마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