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직 공무원은 1급~9급까지]
1급 관리관 (보통 각 부처의 차관보 및 기획관리실장 등),
2급 이사관 (각 부처의 실장이나 높은 국장급)
3급 부이사관 (각 부처의 국장이나 지방본부장등), 이상이 고위공무원단 소속이고,
4급 서기관 (중앙부처 과장급이나 지방단위기관장)
5급 사무관 (행정고시를 합격해서 바로 임용되는 급수로 중앙부처 주요업무나 정책등을
기안, 실행하는담당자 급이나 일선지방에서는 과장 보직부여)
6급 주사 (중앙부처의 실무를 주로 기안 처리하거나 일선 지방에서는 주무 급 및 계장급(6급 경력5년 이상)
7급 주사보 (일선 지방에서 실무를 주로 기안 처리하는 반장 급)
8급 서기 (9급에서 승진, 간단한 업무처리)
9급 서기보 (간단한 업무의 처리나 실무를 보좌하는 공무원,
처음 임용시에는 시보기간 6개월이 지나야 정식 공무원 임용장을 받음)
*공개채용시험은 9급, 7급, 5급뿐이며 나머지 급수는 임용되어서 내부승진을 한답니다.
[국가공무원 직급 ]
1급 : 관리관 (보통 각 부처의 차관보 및 기획관리실장)
2급 : 이사관 (각 부처의 실장이나 높은 국장급)
3급 : 부이사관 (각 부처의 국장이나 담당관)
4급 : 서기관 (중앙부처 과장급)
5급 : 사무관 (행정고시를 합격해 바로 임용되는 급수.주요업무나 정책 등을
기안,실행하는 담당자급)
6급 : 주사 - 7급: 주사보 (실무를 주로 기안 처리하는 공무원)
8급 : 서기 - 9급: 서기보 (간단한 업무의 처리나 실무를 보좌하는 공무원)
마다 하는일이다른 건가요? 그렇다면 급 별로 어떤 일을 하는 건지
<1>지방공무원
15만 이하 지자체 단체장(군수.시장.구청장)-4급
15만 이상 50만 이하 지자체 단체장(군수.시장.구청장)-3급
50만 이상 100만 이하 지자 체 단체장(군수.시장.구청장)-2급
100만 이상 800만 이하 지자 체 단체장(군수.시장.구청장)-1급
광역시도단체장-차관급(인구 상관없음. 제주도시자 도 해당)
서울특별시장-장관급
지방 국장 및 과장.계장은 소속 지자 체 규모 따라 틀리죠.
관선시절(선거가 아닌 임명시절)보다 위상이 크게 높아 졌습니다.
<2>중앙공무원
중앙부처 계장급-4,5급(규모 및 서열 따라 4또는5)
중앙부처 과장급-3,4급
중앙부처 국장급-2,3급
중앙부처 실장 급,차관보-1급(기획실장 같은 겁니다.)
차관.청장.청와대 비서관-차관급(기상청장은 1급이었는데 격상되었습니다.)
장관.청와대 비서실장.금감 위원 장-장관급
과학기술부.재경부.교육부장관-부총리 급
국무총리.행정수도 특별위원장-국무총리 급
대통령
첫댓글 친구 이렇게 좋은 정보를 주시고,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