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oly
Corporate intrigue at the heart of K-pop 케이팝 중심에서 벌어진 기업 음모
A takeover battle sheds light on the industry’s unusual vertical integration
Feb 16th 2023
Fans of south korea’s wildly successful pop industry are used to the intrigue surrounding new groups, band members’ romances and their misbehaviour. Now a new source of k-pop drama has emerged from an unexpected quarter. On February 10th hybe, an entertainment house which represents the genre’s biggest name, bts, agreed to buy a 14.8% stake in sm Entertainment, a rival, from its founder and former chief producer, Lee Soo-man. Mr Lee, who is no longer involved in his firm’s day-to-day business, would be left with roughly 4%, making hybe its largest shareholder. In pursuit of an even closer tie-up, hybe simultaneously launched a tender offer to buy another 25% at a similar premium to the shares’ market price that it is paying Mr Lee. sm Entertainment says it will resist any attempt at a hostile takeover. The stage is set for a corporate showdown worthy of any pop feud.
대대적인 성공을 거둔 케이팝 산업 팬들은 신생 그룹, 팀 멤버의 로맨스와 부적절한 행동을 둘러싼 음모에 익숙하다. 이번에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새로운 케이팝 드라마 소재가 등장했다. 지난 2월 10일 방탄소년단(BTS) 소속사인 하이브(Hive) 엔터테인먼트가 업계 경쟁사인 에스엠 (SM) 엔터테인먼트 창업자인 이수만 전 총괄 프로듀서로부터 SM 지분 14.8%를 인수하기로 한 것이다. 이로써 이미 경영 일선에서 물러난 이수만은 약 4%의 SM 지분만 보유하게 되며, 하이브는 에스엠의 최대주주가 된다. 보다 강력한 경영권 확보를 위해 하이브는 이수만 지분 인수 가격과 비슷한 가격으로 보통주 지분 25%를 사겠다며 공개 매수에 나섰다. 에스엠은 모든 적대적 인수 시도에 저항하겠다고 밝혔다.
hybe and sm Entertainment are the two largest listed k-pop companies, with a combined market capitalisation of nearly $9bn. A full merger would create an industry powerhouse, capturing a large chunk of South Korea’s music-production business. sm Entertainment is particularly strong in talent-scouting. Three years ago it established its own school in Seoul, which now offers three-year courses in everything from vocals and dance to production. hybe, for its part, dominates music distribution through Weverse, a digital platform that hosts exclusive content such as live-streamed concerts and lessons where bts members teach foreign fans Korean.
하이브와 에스엠은 시가총액이 90억 달러에 육박하는 한국 최대 케이팝 상장기업이다. 두 회사가 하나가 되면 국내 음악 제작 산업의 상당 부분을 점유하는 케이팝 공룡 기획사가 탄생하게 된다. 에스엠은 엔터테인먼트 분야 인재 영입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3년 전에는 서울에 보컬, 춤, 프로듀싱 등 대중문화 전 분야에 걸친 3년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을 설립했다. 한편, 하이브는 콘서트 생중계, 해외 팬을 위한 BTS의 한국어 회화 강의 등 독점 콘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플랫폼 위버스(Weverse)를 통해서 음원 유통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Vertical integration is not unusual in Korean show business. jyp Entertainment, another k-pop house, has a tv-production subsidiary. yg Entertainment, another rival, runs a modelling agency. They take the raw material (an artist) and transform it into the finished products (content), using a finely tuned production process. As Lee Jang-woo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bserves, this innovation strategy has a lot in common with South Korea’s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y. k-pop firms may learn as much from conglomerates like Samsung and Hyundai as from Western labels such as Warner and Universal.
한국 엔터 산업에서 수직적 통합은 드문 일이 아니다. 또 다른 케이팝 기획사 JYP는 방송 제작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고, YG는 모델 에이전시를 운영하고 있다. 이들 기획사는 원석(아티스트)을 발굴해 철저히 체계화된 과정을 통해 보석으로 키워낸다. 경북대학교 이장우 교수는 이러한 혁신 전략은 한국의 첨단 제조 산업과 공통점이 많다고 말한다. 케이팝 기획사들은 워너와 유니버설 같은 서구 음반사만큼이나 삼성과 현대 같은 대기업으로부터도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For hybe, combining with sm Entertainment would allow it to diversify away from bts, notes Douglas Kim, an independent analyst of Korea Inc. This is especially important now that the supergroup has confirmed it will hit pause until 2025, while its seven members undergo the mandatory 18 months of military service. sm Entertainment’s managers may worry that an investigation from Korean trustbusters, who must review any transaction involving more than 15% of shares, could be a distraction. They would rather pursue a partnership with Kakao, a Korean internet giant to which they had just sold 9% of their firm in newly issued shares.
하이브 입장에서는 에스엠과의 합병을 통해 BTS에서 벗어나 다각화를 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애널리스트 더글라스 킴의 해석이다. BTS가 2025년까지 활동 중단을 선언하고 멤버 7명이 18개월의 군 복무를 해야 하는 상황에서 특히 중요한 지점이다. 에스엠 경영진은 지분 15% 이상 거래는 의무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공정위 조사가 방해가 될 수 있다고 걱정할 수 있다. 경영진은 전환사채로 발행한 신주의 9%를 인수한 카카오와 손을 잡으려 할 것이다.
That may not be enough to stop hybe. sm Entertainment’s share price is up by nearly 50% since the sale of Mr Lee’s stake to hybe was announced, implying that investors quite like the sound of a union.
하지만 하이브의 광폭 행보를 막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 하이브의 이수만 지분 인수 사실이 발표된 이후 에스엠 주가는 50% 가까이 상승했다. 이번 인수합병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엿볼 수 있는 증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