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십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물을 돈주고 사먹는거에 대한 이질감이 상당했지만
오늘날 더이상 생수를 돈 주고 사먹는 일은 더이상 낯설지 않은 풍경이다.
이렇게 생수시장이 커져가면서 외국 브랜드의 생수 수입도 증가하였는데
외국 브랜드의 생수는 대부분 유럽 생수여서 인지도가 매우 높아 한국생수와 비교해 가격이 몇배가 차이나는 고가에 형성되어있다.
그렇다면 과연 유럽생수와 한국생수의 품질차이가 얼마나 나는 걸까??
한 전문가는 이렇게 말한다.
-------
외국 먹는샘물과 국내 먹는샘물은 수원지가 다르다. 국내 먹는샘물은 지하암반 대수층에서 얻은 물만을 원수로 사용하고 있다. 외국의 먹는샘물은 수원지가 강물, 수돗물, 호수, 바닷물 등 다양하여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무슨 원수를 사용한 물인지 알 수가 없다.
국내 먹는샘물은 외국에는 없는 ‘원수 수질 규정’을 두고 있어 원수수질에 부적합하면 제조에 사용하지 못하게 법으로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제조 기술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먹는물관리법’에 의해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업체에 한해 철저하고 엄격한 심사를 통하여 제조허가를 내주기 때문이다. 10여년 전에는 대충 계곡 물 등을 퍼 담아 파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은 불가능하다. 또 국내 ‘먹는물관리법’은 화학적 처리, 선택적 처리(어떠한 특정한 성분을 제거 하는 것)등 순수한 물을 가공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수질면에서는 한국의 물이 앞선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물맛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염소, 납, 구리, 망간, 철, 미생물, 휘발성 유기물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물맛을 좌우하는 성분은 칼슘과 마그네슘이다. 칼슘은 단맛을 내며, 마그네슘은 쓴맛을 낸다. 이 칼슘과 마그네슘의 조화가 잘 이루어 졌을 때 좋은 물맛을 낸다. 바로 우리나라의 수질이 칼슘과 마그네슘의 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져 대부분 경도가 50~100mg/L을 나타내고 있다.
경도란 것은 물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도가 높으면 물 맛이 좋지 않다. 석회암지대 지하수의 경우 경도가 높다. 외국의 먹는 샘물은 경도가 약 300mg/L이상으로 한국 사람들의 입맛에는 적합하지 않다. 다만 유학 등 외국 생활을 한 사람들이 현지에서 적응된 경우나, 외국 것이 좋다고 느끼는 소비자들이 수입 샘물을 찾는 경향이 있다.
커피를 먹기 위해 경도가 높은 물을 끓인 뒤 자세히 살펴보면 흰색 침전물을 볼 수 있다. 경도가 너무 높은 물을 먹게 되면 위장 장애나 신장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조리할 때 식품의 맛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박형래 식품영양학 박사, 서울산업대 강사
------
유명 생수들의 경도 수치는 다음과 같다
에비앙(프랑스) : 317
볼빅(프랑스) : 68
페리에(프랑스) : 380
바두아(프랑스) : 815
산 펠레그리노(이탈리아) : 150
피지(피지) : 100
푸라(태국) : 115
딥스 해양심층수 : 150
동해바다 1032m 해양심층수 : 90
해양심층수 천년동안 : 80
서울 수돗물 : 45
평창수 : 62
아이시스 : 35
삼다수 : 19
대체로 유럽쪽 생수의 경도가 많이 높은 편이다.
심지어 유럽쪽 물보다 한국 물이 더 좋다는 의견까지 내놓았다.
-------
외국 먹는샘물과 국내 먹는샘물은 수원지가 다르다. 국내 먹는샘물은 지하암반 대수층에서 얻은 물만을 원수로 사용하고 있다. 외국의 먹는샘물은 수원지가 강물, 수돗물, 호수, 바닷물 등 다양하여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무슨 원수를 사용한 물인지 알 수가 없다.
국내 먹는샘물은 외국에는 없는 ‘원수 수질 규정’을 두고 있어 원수수질에 부적합하면 제조에 사용하지 못하게 법으로 철저히 관리하고 있다.
제조 기술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먹는물관리법’에 의해 환경영향평가를 통과한 업체에 한해 철저하고 엄격한 심사를 통하여 제조허가를 내주기 때문이다. 10여년 전에는 대충 계곡 물 등을 퍼 담아 파는 경우도 있지만, 요즘은 불가능하다. 또 국내 ‘먹는물관리법’은 화학적 처리, 선택적 처리(어떠한 특정한 성분을 제거 하는 것)등 순수한 물을 가공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수질면에서는 한국의 물이 앞선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물맛에 영향을 주는 성분으로는 칼슘, 마그네슘, 염소, 납, 구리, 망간, 철, 미생물, 휘발성 유기물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물맛을 좌우하는 성분은 칼슘과 마그네슘이다. 칼슘은 단맛을 내며, 마그네슘은 쓴맛을 낸다. 이 칼슘과 마그네슘의 조화가 잘 이루어 졌을 때 좋은 물맛을 낸다. 바로 우리나라의 수질이 칼슘과 마그네슘의 조화가 적절히 이루어져 대부분 경도가 50~100mg/L을 나타내고 있다.
------
이렇게 굉장히 웰빙 이미지가 강한 유럽 생수보다 오히려 한국 생수가 더 좋다는 말이 믿기지 않고 개인적인 생각이라 일축할 수도 있겠다.
에비앙 생수도 미네랄이 많이 들어있는 생수를 강조하며 마케팅하기때문에 단지 물맛으로, 경도만을 보고 한국 물이 좋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을지 모른다.
그래서 미네랄 함량 성분도 조사해보기로 했다.

유명 수입생수의 미네랄 함량은 에비앙을 제외하면 시중에 쉽게 볼 수 있는 한국 생수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딥스’는 시험 결과, 4개 미네랄 중 칼륨의 함량이 12.91mg/L, 마그네슘의 함량이 39.41mg/L으로 이번 조사대상 25개 제품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에서도 별로 유명하지 않은 한국 생수가 미네랄 함량으로 유럽 고급생수인 에비앙을 제쳐버린것...
수입생수의 평균 가격은 국내생수 평균가격과 비교해 약 5.6배 높은 가격이었지만 한국생수는 외국 수입생수와 비교해서 전혀 꿀리지 않았다는 결과가 나온 것이다,
주변국가와 비교해서 한국 물맛은 예전부터 정평이 나있었고 중국 사료에도 한국 물맛이 좋았다는 기록이 꾸준히 나와있다.
-----
첫댓글 말멀
자꾸 까먹게 된당 고마웡
오 엳시..삼다수 스고이
동정어린눈빛ㅋㅋㅋㅋㅋㅋㅋㅋㅋ
삼다수
와근데 그러고보니 신기하다 나 어릴때만해도 생수를왜사먹어돈아깝게 이런분위기였음 그래서 어디갈때든 소풍가든 집에서 끓인물 얼려서 싸갔는데 요즘은 자연스레 생수사먹네. 그당시 막 한 20년정도 지나면 물사먹는게 당연한 시대가 올거다 그랬었는데ㅋㅋ
222 ㅋㅋㅋ 보리차 끓여서 식혀서 얼려서 손수건에 감싸가지고 소풍가던게 엇그제같은뎅..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얼마전에 우리나라 유명브랜드 생수들이 세균 기준치 초과하고도 그냥 판매했다고 뉴스에 나왔는데..
응 예전에 불만제로에서 몇몇 생수가 세균기준치 초과했다고 나와서 과징금먹고 시정됐대
@흐??? 웅 그건 몇년 전이구... 몇달전에 또 있었어 ㅠㅠ 회수도 안됏대...
@생당근 히익? 그래? 한국 물맛이 좋으면 뭐하나 제조사들 제조를 똑바로 못하는데 엉엉
제목을 바꿔봐야징
편의점 알바하다보면 손님들 생수 많이 사가는거 알 수 있음ㅋㅋㅋㅋ그중에서도 씨유는 500원짜리 씨유 물 진짜 잘팔리고 그다음 삼다수ㅋㅋㅋㅋ
맞아 확실히 우리나라물이 훨씬 맛있음 프랑스에비앙진짜...개노맛
와 사스가 삼다수
어쩐지 프랑스물 에비앙하고 페리에 이런거 다 뭔가 미끄덩하고 시원하지 않은 느낌이던데 그게 경도때문에 그렇구나... 볼빅은 또 한국물이랑 맛 비슷하던데 보니까 경도가 낮네 ㅋㅋㅋ 신기ㅋㅋㅋㅋㅋ
물이다 같은 물이아님.. 어떤물은 미끌미끌하고 거칠고생수가 쓰거나 비리면 노답이지 엄마의선택 삼다수역싴ㅋㄱ
오ㄷㄷ난 물맛 잘 모르는데 어쩐지 우리가족들이 삼다수가 젤 맛있다고하면서 삼다수만사먹더라~~이유가있었넹
근데 난 물 맛 다 똑같던데
삭제된 댓글 입니다.
222 하하
확실히 우리나라 물이 제일 남 여행갈때 무조건 물많이챙겨가게됨 워낙 맛이없고 이상한맛나기도 하고 비싸서
근데 우리 나라 시판되는 물 거의 대부분이 인공 에스트로겐이랑 환경호르몬 덩어리래 ㅜㅜ 조심들혀. 삼다수도 인공에스트로겐 과다함유래. 그게 자궁에 엄청 안좋다
맞오 사촌동생 백혈병걸렸을때 물도깨끗한거마시라고해서 의사가 삼다수추천해쥼
아이시스랑 삼다수가 제일 맛있어
갓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