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성차 업체의 파업 등으로 조업일정 차질 |
ꋼ |
자동차 공조부품(에어컨, 히터) 전문업체로서의 한계 절감 |
ꋼ |
공조기술 이용한 신사업 진출 검토 |
ꋼ |
여름용 아이템인 에어컨 출시 (94년 3월) |
ꋼ |
겨울용 아이템인 김치냉장고 출시(95년 11월) |
딤채의 성공요인은 경쟁해야 한다는 고정 관념을 버린데 있습니다. 냉장고 대신
여전히 김장독을 사용해 김치를 보관하거나 아예 조금씩 사다먹는 소비자들을
관심을 가지고 조사한 결과 김치를 싱싱하게 보관하고자 하는 욕구가 매우 크다는 것을
파악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식으로 경쟁자들과 싸울 것인가? 김치보관기능을
추가한 냉장고를 출시해 경쟁자들과 싸울것이냐? 아니면 ‘김장독’처럼
김치 전용 냉장고를 만들 것이냐? 위니아만도는 후자를 선택했습니다.
딤채는 김치 보관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들에게 별가치가 없는 기능은 포기합니다.
우선 냉동기능을 제거하고, 뚜껑을 위로 열면서 생기는 사용상의 불편함, 공간활용의
불리함도 감수해야 했습니다. 대신 장점을 더 살렸습니다. 김치 보관기간을 크게 늘리고
김치맛도 김장독의 김치 수준으로 높였습니다. 그렇게 ‘집안에 둘 수 있는 김장독’이라는
전혀 새로운 상품이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상부개폐형 등의 특허 460건이 그들의 땀과
노력을 대변해주고 있네요.
95년 딤채가 출시된후 10년이 채 못되는 기간동안에 연 1조 4천억원의 시장이
만들어 졌어요. 정말 혁신적인 상품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이번엔 MP3플레이어 ‘아이리버’의 주인공 레인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01년 레인콤이 이런 광고카피를 사용했습니다. ‘Sorry SONY'(미안해 소니)..
음 어떻게보면 무모하네요. 위크맨 신화를 이룩한 오디오기기의 대명사 소니에게
이런말을 하다니요..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일리있는 말입니다.
소니가 워크맨 다음으로 야심차게 선보인 MD(미니디스크)플레이어는 시장에서 퇴출될
위기지만 아이리버는 국내외에서 날개돋친 듯 팔려 나가고 있습니다.
음악재생 소프트웨어의 장점인 대규모 저장용량에 워크맨의 휴대성을 결합해 만든
휴대용 MP3플레이어가 소비자들로부터 폭발적인 사랑을 받고 있어서입니다.
플래시메모리형 MP3플레이어는 레인콤이 세계 시장점유율 1위입니다.
참고로 애플의 아이포드(i-pod)는 하드디스크(HDD)형 MP3플레이어이죠.
레인콤을 비롯한 국내 휴대용 MP3업체들은 인터넷으로 컴퓨터에 음악파일을
내려받아 감상하는 고객들을 주목했습니다. 워크맨과 음악재생 소프트웨어라는
다른 종류의 음악재생기기들간의 장점을 합친결과 이 고객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새가치를 창출한 것입니다. 기술적인 장벽이 거의 없기 때문에 초창기 1백여개 업체가
뛰어들었습니다. 승부는 그래서 디자인에서 났습니다. 디자인 전문업체 이노디자인에
디자인을 맡긴결과 프리즘모양인 제품이 만들어 졌습니다.
빠른 신제품 출시도 레인콤의 성공비결중 하나입니다. 제품에 감성을 도입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영상을 보면서 음악을 즐길 수 있는 제품도 출시했어요.
레인콤 실적에 대해서 잠깐 보겠습니다.
지난해 전세계 MP3판매대수는 전년대비 83% 늘어난 7백50만대, 1조5천억원 수준입니다.
올해 시장규모는 2조원대로 늘어날 전망이라고 예측됩니다.
맺음말.....
약간은 내용이 많네요. 좀 지루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 새로운 내용은 아니예요.
많이 들어본 내용일 겁니다. 한번쯤은 소개하고 싶어서 이렇게 글을 적습니다.
그래요..저로서는 많은 것을 배웠네요. 문서작성이나 파워포인트를 그나마 많이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쁩니다. 한가지만 말씀드릴게요.
준비하는 자에게 기회가 온다는 말이 있잖아요. 그말을 생각해보면
기회란 그것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자에게 가야 진정으로 빛을 발한다는 생각이
들어요. 위니아가 자동차 공조부품(에어컨, 히터)에서 기술을 쌓지 않았다면
단지 아이디어만으로 김치냉장고를 만들 수 있을까요?
준비하세요. 그리고 그 탄탄한 준비를 가진 상태에서 기회를 발판삼아
여러분의 비전을 펼치세요. 저역시 말로만 이렇게 다짐하지 않고 실천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한답니다. 열심히 살고, 또 그 ‘열심’이 삶을 바꾸는 신나는 세상을 만들자구요.
화이트뉴스 경영, 경제전문 IP 백정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