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이름의 비슬산(琵瑟山)은 진달래로 유명하다.
1,000m대의 고원에 널따랗게 펼쳐진 진달래평원은 늦게 개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4년 비슬산참꽃문화제 24/19(토)~4/21(월)
개화시기를 맞춘다면 천상의 화원속을 거닐 수 있을 것이다.
오늘은 비슬산의 남부능선으로 발길을 돌린다.
남부쪽 계곡에는 비슬산자연휴양림이 자리하고 있어 계절따라 관광객이 몰려드는 곳.
비슬산 자락에는 불교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유가사와 소재사는 물론이고 산 정상부위에 대견사가 현재 중창 완료 직전에 있다.
흔적없는 널따란 빈터에 버림받은 듯 홀로선 석불이나 석탑을 보노라면 옛님들의 숨결이 아리게 느껴진다.
나는 ‘용봉석불입상’과 ’금수암3층석탑' 그리고 ’염불암3층석탑‘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비슬산 임도에 친환경 전기차가 올해 후반기부터 운영될 예정이란다.
비슬산 자연휴양림 공용버스 정류장에서 출발해 소재사~휴양림 주차장~임도~대견사(해발 1,001m) 입구까지 왕복 11.6㎞ 구간이다.
구간 왕복 시간은 50분, 하루 운행 횟수는 대당 6회, 운행 간격(평상시)은 20분이며, 탑승요금은 왕복 5천원을 받을 예정이다.



비슬지맥은 낙동정맥의 경주 사룡산에서 분기하여 얼마 전에 답사한 청도 대왕산을 거치며 주로 청도 지역의 산군들을 돌아 낙동강에 몸을 푸는 지맥이다.

대형 무료주차장에 버스를 댄다. 휴양림으로 들어가는 길은 승용차가 내려오는 좌측 목계단으로 질러간다.

우리는 관기봉으로 직등을 할 것이다.

나무계단에서 내려다본 모습.

나무계단의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올라오면 유료주차장을 만난다. 좌측 진입로 방향의 2~30m지점에 관기봉 진입로.


또는 나무계단 갈림길 좌측으로 올라와 만나는 이 지점에서 우측 휘어진 임도 산책로를 2~300여 미터 따라가면...

이정표나 특이한 지형지물은 따로 없다. 보는 것처럼 바위를 타고 우측 능선으로 붙는다.
(이 지점을 조금만 지나치면 임도는 내리막으로 내려가게되니 참고)

처음에는 산길이 다소 거칠다. 이정표도 따로 없다. 이는 휴양림의 매표소 바깥에 있다는 이야기.


596봉 삼각점에서 발등찍기를 하고...

솔향을 맡으며 다소 된비알을 치고 오른다.

헬기장을 만나면서...

앞서간 사람들이 잔인하리만치 모가지를 다 끊은 두릅나무에 일부러 남겨둔 듯 새 순이 남았다.

거대한 바위 봉우리인 관기봉에 닿았다. 직등도 가능하지만 좌로 에두르면...

훨씬 수월케 오를 수 있다.

가슴이 뻥 뚫린다. 비슬산의 풍광을 오롯이 볼 수 있다니... (참고: 천왕봉은 예전의 대견봉이고 지금의 대견봉은 사료에 의해 새로 명명된 것임)
우리는 대견봉 앞으로 쏟아지는 능선으로 내려왔다.
비슬산 유가사 호암 스님은 “조선시대에 제작된 여지도(1789~1795)에 비슬산의 주봉은 천왕봉이고 그 밑에 유가사와 도성암이 표시돼 그려져 있다”며
“지도 상에는 물론 여러 불교사적 자료에서도 유가사가 천왕봉 아래에 자리 잡은 사찰로 기록되고 있다”고 했다.

뒷쪽으론 비실산 비들산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진행방향으로 조화봉 못미쳐서 우로 비슬지맥이 갈리지는 능선이 보인다.

내리 뻗어가는 비슬지맥.

주위 조망에 넋을 놓고 있다가...

감정을 추스르고...

인증샷을 서두른다. 관기봉은 관기성사(觀機聖士)가 수도를 하였다고 붙여진 이름.
한눈에 뚫리는 비슬산 조망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해 전원이 의기투합하여 대견사까지 쭈욱 뽑기로 하였다.

그리고는 관기봉을 내려선다.

금수암전망대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관기봉에서 주위조망을 마쳤으니 생략. *이정표의 석검봉(石劍)은 칼바위를 의미하는 듯.

대구(달성)와 경북(청도)과 경남(창녕)을 구분하는 경계점.

능선 좌측 아래론 임도가 계속 따라간다.

돌아보니 관기봉이 저만치 멀어져 있다.


잡목에 걸음이 더뎌져 그만 임도로 내려섰다.

돌아보니 좌측 도드라진 관기봉의 암봉이 우뚝하고 우로 흘러내린 능선에 금수암(巖)전망대가 보인다. 
금수암전망대를 살짝 당겨보니 '리틀 관기봉'이네.

가끔 용무가 있는 승용차가 다니기도 한다.

.

오른쪽 골프공(강우 레이더 관측소)이 있는 봉이 조화봉이고 왼쪽으로 대견사가 한창 중건 중이다.

살짝 당겨보니...

조금 더 당겨보면 절묘한 곳에 터를 잡았음을 알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폐사되었다가 100년 만에 중창되는 대견사(예전엔 그저 대견사지로 기록되어 있었다.) 좌측으로 3층석탑도 보인다.

두 개의 석주엔 '천하제일해동가람' '비슬산대견사법계'라 씌여있다.

추노 드라마가 촬영된 곳이라는 안내판이 있고...

강우레이더 관측소가 흡사 골프공을 올려놓은 것 같다. 힘껏 내리치면...

..

..

칼바위 안내판을 확인하고 임도를 벗어나...

한 무리의 바위더미들이 밀집한 이 곳이 칼바위가 있는 석검봉(石劍峰)이겠다.

좀 더 가까이...

하늘을 향하여 날 선 칼이 곧추 서 있다.

우측 능선으론 월광봉과 천왕봉이 뻗어있다.

석검봉은 조화봉 조금 못미쳐서이다.


임도로 되내려오면 보이는 안내 이정표.

마지막 꽃닢을 차마 떨쿨 수 없었던 듯 진달래의 핏빛 울음은 계속되고 있다.

위에서 내려다 보는 대견사의 풍광.

.

아직 불사가 진행 중이다.
고려 보각국사 일연스님이 22세이던 1227년 승과 선불장에 장원 급제해 초임 주지로 22년간 머물며 참선에 몰두해 삼국유사 집필을 구상한 사찰로도 유명하다.
이 후 일제강점기에 대견사 대웅전이 대마도를 끌어당기고 일본의 기를 꺾는다고 1917년 강제로 폐사되었다.

천상의 화원엔 가는 봄날이 아쉬운 듯 진한 핏빛 울음을 토해내고 있다. (보이는 봉우리는 월광봉과 천왕봉)

.

능선에서 내려다 보는 대견사 3층석탑<시도 유형문화재>.
높은 벼랑 끝에 서 있는 이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절내의 여러 석재들과 더불어 쓰러져 있던 것을, 1988년에 겨우 복원한 것이다. 일반적인 탑과 달리 절벽의 높은 바위를 바닥돌 삼아 그 위로 기단과 탑신을 올려놓았다.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의 조각을 둔 것 외에는 거의 꾸밈을 하지 않아 소박하다.
만들어진 시기는 절의 창건과 때를 같이하는 9세기 통일신라시대로 추측된다.
오랜 세월 무너져 있었으면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고 오히려 주변 산세를 다스리고 있는 듯한 위엄이 우러난다.<자료>

........
해와 달이 보탑을 가로지르고,
밤낮 없이 별들이 무수히 맴돌아 간다.
등대! 삼층석탑은 銀海의 등대다.
별들은 대견사 삼층석탑에 의지하여
은빛바다를 찬란히 항해한다.
<하 략>
-사진작가 허경순-

선홍색 핏빛으로 수놓아진 진달래를 두견화라고도 불린다. <두견화 피는 언덕에 누워 풀피리 맞춰 불던 내 동무여.♬>
두견새가 울 때 피어난다고 붙여진 이름인 모양.

능선엔 무엇무엇을 닮았다고 친절하게 안내판을 붙여놨다. 사진의 중간에 백곰을 닮은 바위가 있네.

이 넘은 뽀뽀바위이고...

지나온 능선이 한눈에 들어온다. 관기봉에서 창녕 비들산으로 이어지는 마루금이 헌걸차다.

안내판

.

팔각정자에서 잠깐 쉬다가...(정자 아래로 내려가면 유가사)

새로 이름을 얻은 대견봉에 오른다.

관기봉과 금수암전망대와 달성용봉석불입상을 아래의 사진과 비교해 보시라.

사진은 비들산으로 뻗어가는 마루금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

새 이름을 얻은 대견봉.

이제 하산을 해야 하는데...
가만 있자,길이 보이지 않는다. 염불암터로 이어지는 능선인데 대견봉에서 내려서는 길이 보이지 않으니...

좌로 살짝 돌아보니 바위 틈새로 산짐승들이 다닐 법한 길이 숨어 있다.

길이 없다고 포기한 회원들을 불러서...

좌로 내려오라고 하였더니 암릉길이 재밌다고...

돌아본 조화봉.

돌아본 대견봉.

염불암(念佛庵)터 3층석탑에 내려섰다.
적막한 절터엔 축대만 남아있을 뿐 석탑만 덩그렇다. 2중기단위에 자연석을 깎아 만들었고 누군가 위에 돌덩이 세 개를 얹어놨다.

합장을 하고 문외한의 시각으로 둘러본다.

10분도 채 걸리지 않아 쉼터 삼거리에 내려선다.


비슬산 쉼터에선 온갖 요깃꺼리를 다 팔고 있다.

쉼터 앞의 Y로.

좌측은 비슬산과 대견사 방향으로 중간에 금수암(庵)3층석탑이 있고 우측은 금수암(岩)전망대와 관기봉 그리고 용봉석불입상으로 가는 임도이다.

쉼터를 바라보면 좌측으로 산책등산로라 표시되어 있는 곳이 염불암터 올라가는 길이다.

염불암터(산책등산로)로 올라가는 이정표.

.

.

휴양림의 철쭉은 너무 붉다.

시설 사용료만 표시되어있고 입장료는 따로 받지 않는 듯.

안내판에서 다시 확인해 보는 우리가 내려온 길(정자-염불암지석탑)

소재사(消災寺)를 들린다. 절 이름은 모든 재앙을 싸그리 없엔다는 뜻이다.
신라시대에 창건되었으나 확실한 기록은 없고 이후 몇 차례 중수하였다.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과 명부전,삼성각 그리고 요사채 등이 있다.

안내문.

석가탄신일이 몇일 남지않았다. 

명부전엔 아직 단청이 되어있지 않다.

명부전의 목조지장보살좌상<문화재자료>
재질은 적송으로 전체적인 모습은 머리를 앞으로 숙이고 중생을 굽어 살치는 듯한 자세로 결과부좌를 하고 있다.
단정하면서도 균형이 잘 잡혀있고 위엄과 자비를 갖춘 자세로 머리는 소발이며 튀어나온 눈, 메부리 모양의 코, 약간 짧은 목을 하였으며 법의는 통견(通肩)으로
부드럽게 흘러내린 어깨선의 옷 주름과 목의 삼도와 손바닥의 손금까지 표현할 정도로 사실적이며 하품중생인(下品中生印)의 수인을 취하고 있다.
목조금칠지장보살좌상으로는 매우 장대하며 조선 중기에 조성된 불상임에도 조선 전기의 양식도 일부 간직하고 있어 불상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최초 창건 시기는 신라 시대로 전해지고 있다.
2000년 대웅전 보수시 확인된 상량문의 내용에는 1673년에 명부전과 함께 지었으며, 1857년(철종 8년)에 법로(法盧) 화상이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전하고 있다.
한때 상주했던 대중이 산내 암자와 더불어 300여 명에 이를 정도로 그 규모가 큰 사찰이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사역이 대단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대웅전은 정면 세 칸, 측면 세 칸의 다포계 맞배 지붕건물이다. <문화재자료>

대웅전엔 삼존불을 모셨는데 본존불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약사불(藥師佛)과 연등불(煙燈佛)이다. 또한 지장보살의 벽화를 모셨다.

.

명부전의 안내문.

대웅전의 안내문

절문을 나서면 잘 가꿔진 휴양림이...

하산 후 생탁의 시원한 목넘김을 온몸으로 두어 번 연거푸 느낀다.
울릉도~독도를 운항하던 돌핀호가 엔진고장을 일으켜 도중 회항하였다고 한다.
거제도 외도보타니아 인근에선 유람선이 역시 엔진고장을 일으켜 회항을 하여 놀란 가슴을 쓸어 내렸고,
급기야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상왕십리 부근에서 추돌사고를 일으켜 많은 사람이 다쳤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전부 네탓이라고 성토를 하고 난리다.
모두들 진정을 해야할 시점이다.
오바마는 한국교육을 입이 닳도록 칭찬하였고 더 나아가 교사들을 국가 건설자(nation builder)로 칭송하였다.
미국에서도 뉴욕지하철이 탈선하여 많은 사람들이 다치지 않았는가?
인도의 시성 타고르의 '동방의 등불'이란 시를 큰소리로 낭독하며 한국인들이여!
'캄 다운(calm down)'
'동방의 등불'
일찍이 아시아의 황금 시기에
빛나던 등불의 하나였던 코리아,
그 등불 다시 한 번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마음에는 두려움이 없고
머리는 높이 쳐들린 곳,
지식은 자유롭고
좁다란 담벽으로 세계가 조각조각 갈라지지 않는 곳,
진실의 깊은 속에서 말씀이 솟아나는 곳,
끊임없는 노력이 완성을 향해 팔을 벌 리는 곳,
지성의 맑은 흐름이
굳어진 습관의 모래 벌판에 길 잃지 않는 곳,
무한히 퍼져 나가는 생각과 행동으로
우리들의 마음이 인도되는 곳,
그러한 자유의 천국으로
내 마음의 조국 코리아여 깨어 나거라.
<라빈드라나드 타고르(1861~1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