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5월23일(목)_이론_원예식물 이야기_서윤경(힐링팜, 원예연구소 소장)
★ 원예식물생리 및 유지관리
1.원예식물의 분류
2.원예식물의 생리학
1) 광 : 적당한 빛이 실내식물 배치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베란다>거실>부억>화장실 순으로 광도가 낮다)
_관엽식물 : 큰나무 밑에서 생장하므로 광 요구도가 낮음, 수박/딸기/허브 : 광 요구도가 크다
(일장/해길이가 길어야 한다, 허브는 반드시 외부에 둔다)
2) 광 순화 : 화원 등에서 구입한 식물을 일정기간 실내의 창가 등에서 순화 후 배치하는 것이 좋다
3) 햇빛이 많이 들거나 부족할 경우 : 블라인드 치고 환기 시킴(많을 경우)
형광등, 백열등 켜줌(부족할 경우)
4) 광도에 따른 식물 반응 : 광량이 지속적으로 부족할 경우에는 아래 잎이 황화되어 떨아지는
생육이 멈춤
5) 실내식물 환경 조건 : 온도(12도 ~ 15도 적정) 및
습도(습도가 많이 높으면 곰팡이병이 발생 - 탄저병/역병/흰가루병 등)
★ 실내식물의 기능에 따른 배치리학
3.원예 배양토 특징 및 종류
1)배양토의 기능
_식물에 양분과 수분을 공급할뿐만 아니라 식물체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_전에는 밭흙,모래,퇴비를 혼합하여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피트모스,펄라이트 등이 적절히
혼합된 인공배양토의 사용이 일반적이다.
2)배양토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_수분조건
_통기조건
_배양토의 산도
_보비력
3)배양토의 종류별 특징
4)배양토 조제 방법
_구성물질은 대부분이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무큘라이트로 구성
5)분갈이 시기
_화분 밑으로 뿌리가 빠져 나올 때, 식물이 지나치게 크거나 하엽이 변색이 올 때, 화분내 영양분 이 소진했을 경우, 배수 및 통기가 안 될때
6)분갈이 방법
4.식물에서 발생하는 해충
1) 해충의 구분 (입 모양) : 빨아먹는 모양(흡즙성)과 갈가먹는 모양
_깍지벌레류/점박이 응애/차먼지 응애/꽃노랑총채벌레/작은뿌리파리/온실가루이/담배가루이/ 진딧물류 등
2) PLS 제도 : 해당 작물에 등록되지 않은 농약은 원칙적으로 사용을 금지하는 제도
_농약 허용기준 강화제도
3) 농약이란 : 농작물을 해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등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의 방제에 사용되는 약제와 농작물의 생기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약제를 말한다
5.올바른 농약 사용하기
_병해충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_보호장비 착용하기
_농약 사용횟수, 사용시기, 사용방법 확인하기
_안전한 농약 선별하기
★ 유기농업자재(자연친화적 병해충관리제) : 환경보전, 건강한 농산물 생산 등을 위하여 일반 화학농약을 대산하여 쓸 수 있는 자재 (유기농업자재 병 뚜껑은 흰색으로 구분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