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삼근과 김운태님이 걸어온길
1.전농9임원 경력
①.김삼근
전농9구역 추진위원회 부위원장 : 2015년 ~ 2016년
전농9구역 추진위원회 위원장 : 2017.9.16. 당선하여 현재까지 봉직
(김삼근 유효투표의 79%득표, 김운태님 유효투표의 21% 득표)
②.김운태님
2017. 9. 16. 추진위원장 후보로 김삼근과 경선
2020. 6. 10. 부터 감사로 당선하여 현재까지 봉직
2. 거주기간
김삼근 : 1985. 9.18. 38년간 전농동 103-167번지 거주
김운태님 : 지금까지 전농동에 거주한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음
3. 전농9에 대하여 추진하여 온 일들
김삼근
①.2016년 10월 26일 서울시에서 전농9구역 정비구역예정지역취소를 검토 하겠다는 통보가 왔을 때 당시 추진위원장이 최용현씨 이었는데 부위원장인 김삼근이 금 1,000만원을 내놓고 부족한 동의서를 받아서 11월 21일 동대문구청에 제출하여 취소를 막은 사람이 바로 김삼근이었습니다.
그후 김삼근은 2016,11.23. 금 1,000만원을 받았습니다
김삼근이 1,000만원을 내놓지 아니 하였으면 전농9구역구역지정동의서를 받지 못하고 정비구역에정지역이 취소 되었을 것입니다.
②..전농9구역에 빌라가 난립하여 재개발이 어려워지게 되어 김삼근이 동대문구청에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구역은 건축허가행위를 제한하여야 한다는 대법원 판례를 제시하고 강력하게 항의하였고 또 추운 겨울철에 주민들과 함께 동대문구청 광장에서 시위하여 2019.1.3. 동대문구청으로부터 빌라건축허가제한을 받아 낸 능력 있는 사람이 김 삼 근입니다.
그때 빌라신축허가제한을 받지 못하였으면 지금 재개발을 할 수가 없었을 것입니다.
③.. 2021. 9. 당시 전농9구역이 민간조합진행방식으로 진행하여야만 한다고 하며 공공재개발을 반대할 때 김삼근이 공공재개발방식을 주장하여 왔으며 2023.6.29. 서울시로부터 구역지정고시를 얻어 냈습니다.
김운태님 : 본인의 깊은 사정은 잘 모르겠습니다.
4. 주민대표회의 위원장선출하는데 있어서 애로점
동의서징구자수 예상
1.토지등소유자 ---713명 중 과반수 득표---357명 득표 하여야함
2.동의서징구 불가자 수 40명--- 행불자,상속 미처리자, 대표자 선임 불가
3. 동의자 징구 가능자 수 ---673명 (713-40)
4.현실적으로 동의자수 예측 가능자 수
①.징구 가능자 수 673명 × 70% 동의서 참여하는 경우 = 472명
472명 중에서 357명 (76%) 징구하여야 함
②. 징구 가능자 수 673명 × 80% 동의서 참여하는 경우 = 539명
539명 중에서 357명 (67%) 징구 하여야 함
5.이렇게 토지등 소유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얻기가 어려운 시점에서 김운태님께서 역시 전농9구역에도 2차로 도전 하셨습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선출되는 주민대표회의 위원장은 토지등소유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얻어야 하지만 다음 선거부터는 총회에서 다득표자를 당선자로 합니다.
조용히 그리고 빨리 가려면 이번에 단독후보가 되어서 단독후보자에게 동의서를 몰아 주어야 전농9구역이 빨리 진행되는데 김운태 후보님이 나와서 이렇게 시끄럽게 되었습니다.
김운태님이 김삼근이 물러나면 될거 아니냐고 하시겠지만
솔직히 말하면 지금까지 김삼근이 잘해 왔는데 김운태님이 나와서 김삼근 물러가라하면 김삼근이 순수히 물러나가겠습니까?
속담하나 인용하면 “밥상 차려 놓으니까 숟가락 가지고 달려든다”가 아니고 밥상전체를 달라는 것과 같습니다.
김운태님 전농 3-2구역에서 2차 도전하여 성공하셨고 또 전농9구역에서도 2차 도전하셨습니다.
대단히 죄송합니다만 토지등소유자의 과반수의 동의를 받는다는 것 그렇게 쉽지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너무나 긴 기간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진정 전농9구역조합원을 위하여 정당한 일인지 저는 모르겠습니다만 전농9조합원은 잘 알고 계시리라고 믿습니다.
토지등소유자님 여러분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 합니다.
감사 합니다.
2023. 7. 1.
전농9구역추진위원장 김삼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