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스퍼드 사전의 기록에 의하면 인도의 산스크리트어와 유럽어는 동일언어에 속한다고 밝혀 놓았습니다.
그리고 강상원박사님의 주장에 의하면 산스크리트어는 한국사투리라고 하였습니다.
그럼 결국에는 한국어와 인도어와 유럽어는 동일어군에 속하게 됩니다. 그럼 언어만 동일언어군에 속할까요?
필자가 분석한 바에 의하면 언어 뿐만 아니라 글자까지도 동일어군으로 나타났습니다.
필자의 추정에 의하면 환웅초기에 이미 언어와 기호가 넘어갔거나 아니면 단군시대 초반쯤에 언어와 기호가 넘어간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리스지역과 구리[환웅]지역을 비교해 보면 우선 신들의 이름이 한국어와 매우 유사하게 나옮니다.
포세이돈은 복희씨와 초성이 유사합니다. 제우스는 치우와 소리가 유사합니다. 그리고 제우스의 아들인 헤르모스는 해모수와 유사합니다.
가장 유명한 신들의 이름이 유사한 것입니다.
풍씨, 복희 --> 포세이돈
치우 --> 제우스
해모수 --> 해르모스
빛이 나오는 사람[성 : 星] --> 비나스 --> 비너스(금성)
해신 --> 핼리오스, 초성 [해]소리가 일치
새로운 터 --> 새터 --> 새턴(땅의 신)
(청동)오리가 올때 볼수 있는 별자리 --> 오리온(ㄹ처럼 생김)
뿐만 아니라 그리스는 구리사람의 소리와 유사합니다. 그리고 유럽에서 인기가 있는 산타크로스란 이름도 전해지는데 한국어로 풀면
산을 타고 넘어온 구리 사람으로 풀립니다.
한글의 다른이름이 녹도문[사슴글자]인데 산타크로스가 타고 다니는 동물이 사슴입니다. 이렇게 여러가지에서 유사함이 보이고 있습니다.
츄리의 소리는 한국어 수[樹]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 => 츄리
한[밝근]반도 --> 발칸반도
라마 --> 로마

그래서 이를 A부터 Z까지 가름토[한글]와 비교 분석하여 올려보겠습니다.

그럼 이 그리스문자는 어디에서 근원한 것일까요? 앞 시간에는 [ABCDEFGHl丁KLMNOPQRSTUV]가 가름토에서 유래된 것 같다고 소개를 드렸습니다.
오늘은 6번째 시간으로 [WXYZ]의 모양이 어떻게 가름토의 모양과 관련이 있는지 소개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 [W]
[W]기호는 후대에 만들어진 기호입니다. 떠불유로 불리는 기호인데 유[U]가 두개 있는 모양이라고 하여 떠불[2] 유[U]란 기호가 된 것입니다.
2개의 유 --> 떠불유 --> W
유[U]는 한국어로 유방과 연결 될 수 있다고 전시간에 설명드렸습니다. 유방모양과 유사하고 소리도 유소리가 나기 때문입니다.
[W]모양으로 재미난 이야기를 설명하여 보겠습니다.
우연인지 의도적인지는 모르겠지만 재미난 이야기 입니다.
유[U]가 유방모양이라고 설명드렸는데 실제로 유방으로 보면 딱 드러 맞는 소리가 있습니다.
Woman이라는 영어입니다.
남자을 뜻하는 Man과 비교하여 보면 더 재미남니다.

Man의 글자에서 첫소리 M의 모양은 남자의 꼬추모양이고 Woman의 글자에서 첫소리 W자는 여자의 유방모양이 됩니다.
이렇게 보면 W도 한국어 유방과 연결되기 때문에 W모양도 가름토와 연결이 될 수 있습니다.
유[乳] = ㅠ --> 내부[ㅜ]에서 있는 밝[ㅠ]은 것
※ [X]
[X]은 한글기호 [ㅅ]과 연결 될 수 있는 모양입니다. 우선 모양이 [ㅅ]과 유사하고 또 소리도 [ㅅ]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X] = [ㅅ]모양과 유사하고 [ㅅ]소리가 남 --> 가름토
※ [Y], 가름토와 연결이 안됨
※ [Z]
알파벳[Z]도 가림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 이유는 한글 [ㅈ]모양과 유사하고 소리까지도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어에서 종[終]은 마침의 뜻이 담기기 때문에 [ㅈ]모양과 유사한 [z]기호는 맨 마지막에 배치된 것 같습니다.
[W] = 가름토의 원리로 만들어진 한국어 유방과 연결됨
[X] = [ㅅ]모양과 유사하고 [ㅅ]소리가 남 --> 가름토
[Y] = 가름토기호와 연결이 되지 않음
[Z] = [ㅈ]모양과 유사하고 [ㅈ]소리가 남 --> 가름토
소리원리 카페지기
아나사마 올림
첫댓글 잘보고 갑니다 많은 연구를 하셨습니다.
한글에 대한 관심 감사드립니다. 사실은 영문도 한글의 자식글이니 사랑해야 하겠습니다.
단 주객을 바뀌어서 생각하면 안됩니다.
잘봤습니다~
올해는 호두까기님이 계셔서 큰 힘을 받았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인도와 유럽의 문명이 배달족의 영향을 받았으니
언어 또한 그렇게 보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봅니다.
잘 보았습니다 ^^
언어도 유사하지만 위 본문내용은 글자에 대한 내용이기 때문에 글자또한 유사한 것은 당연하다고 표현해야 정확한 표현이 됩니다. 많은 분들이 습관적으로 소리와 글자를 구분하지 않고 혼동하여 사용합니다.
그렇군요..
아나사마님 덕분에 제가 언어실력이 일취월장하는 중입니다 ^^
소리와 글자의 역사는 엄청나게 틀리지요.
당연히 구분해야 정확한 역사를 알 수 잇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