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흥청망청(興淸亡淸)
흥에 겨워 마음껏 즐기며 거드럭거림으로, 돈이나 물건 따위를 아끼지 않고 마구 쓰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興 : 일으킬 흥(興/0)
淸 : 맑을 청(氵/8)
亡 : 망할 망(亠/1)
淸 : 맑을 청(氵/8)
출전 : 조선왕조 실록(朝鮮王朝實錄), 한국의 인간상(人間像)
요즈음 대한민국은 돈이나 물건이 넘쳐나서 부족함을 모르고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불과 3, 40년 전만해도 경제적인 풍요는 일부 사업가나 권력자 외에는 생각해 볼 수 없는 시대를 살았다.
이제는 물질적면은 고사하고 정신력까지 해이해져 역경을 극복하거나 고난을 감내하는 인내심마저 상실된 듯하다. 그야말로 세대별로 좀 다르기는 하지만 모두가 흥청망청(興淸亡淸) 시대를 살고 있는 것 같다. 결국 이 흥청망청은 망(亡)하게 되는 근본이 되며, 모든 것을 잃게 되므로 크게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1494년 조선의 제 10대 왕이 된 연산군(燕山君)은 생모 폐비 윤씨(廢妃尹氏)가 사약(賜藥)을 받고 죽으며 마지막으로 남긴 피 묻은 적삼을 보고 타오르는 복수심에 그의 패악(悖惡)과 폭정(暴政)은 날이 갈수록 심해갔다.
몇 차례의 피보라가 조정 안팎을 휘몰아치고 나자 쾌락 중독에 젖어든 연산군에게 간신 임사홍(任士洪)과 그 아들 임숭재(任崇載)는 온갖 아부로 연산군의 기분 맞추기에 여념이 없었다.
임사홍 부자가 고심 중에 생각해 낸 묘안(妙案)이 바로 조선팔도의 미녀(美女)들을 징발하여 왕에게 바쳐 왕을 즐겁게 해주는 것을 계획하게 되었다.
드디어 계획이 완성되자 즉시 '채청(採靑), 채홍사(採紅使)'라는 특별 전담반을 구성하였는데 채홍사란 전국 각 지방에 파견되어 미색이 뛰어난 기생이나 여인들을 찾아 한양으로 데려오는 특명을 받은 벼슬아치들을 말한다.
거기에다 이들 채홍사 가운데 성적이 우수한 자는 벼슬은 물론 토지와 노비를 포상으로 주었다. 연산군일기에 '채홍사' 가운데 성적이 가장 으뜸인 자는 임사홍으로서 천여 명이 넘는 미녀를 찾아다 바치고 포상을 제일 많이 받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편 전국 각지에서 1차로 뽑힌 여인들을 '운평(運平)'이라 불렀으며 그렇게 선발되어 뽑혀온 여인이 무려 일만여 명에 달했다. 그리고 일만여 명의 여인들 중에서도 기예(技藝)와 미색(美色)이 가장 출중한 절세미녀(絶世美女) 50명을 연산군이 직접 심사하여 '흥청(興淸)'이라 불렀다.
거기에다 연산군은 백마(白馬)가 정력(精力)에 좋다고 믿고 말고기를 즐겨 먹었으며 혼인하지 않은 처녀를 '청녀(靑女)'라 칭하여 각 지방 양반가의 미혼 처녀까지 선발하여 데려오기 위해 '채청녀사(採靑女使)'를 8도에 파견시켰다.
특히 당시 행정구역상 전라도에 속했던 제주(濟州)에는 준마와 미녀가 많은 것으로 꼽혔는데 해안 도서지방의 여인들은 해산물 섭취량이 내륙인들보다 많아 혈색이 청정하여 귓볼이 늘어지지 않았으며 생리 활성이 뛰어났다고 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흥청(興淸)으로 선발된 여인들에게 방중술(房中術)을 통한 건강증진법(健康增進法)을 가르치는 내시부(內侍府) 교육담당 관리도 두었는데 이를 '채홍사'라고 불렀다.
당시 연산군이 연일 사치스러운 잔치와 행사로 탕진하여 소비되는 엄청난 비용을 공신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충당하려 하자 공신들과 관료들의 반감이 커지고 끝내는 박원종(朴元宗)이 중심이 된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나 연산군은 폐위되고 말았다.
수천 명의 절세 미녀들을 껴안고 재물을 물 쓰듯 하다가 신세 망친 연산군의 몰락을 지켜본 이들은 흥청(興淸)은 반드시 망(亡)하는 청(淸)이라는 뜻에서 '흥청망청(興淸亡淸)'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요즈음 민심을 잡기 위해 정부와 여당은 빚을 내어 '재난지원금'이라는 명목하에 마구 돈을 뿌리고 있다. 그야말로 흥청망청 뿌리는 것이다. 오죽하면 국가 곡간을 지키는 총책임자인 재정경제부총리가 "재정은 화수분(河水盆)이 아니다"고 말했겠는가!
국민이 내는 세금은 정말 한 푼이라도 함부로 쓰면 안 된다. 세금을 내기 위해 벌어야 하는 사람들의 고충과 노력을 한 번이라도 생각하면 흥청망청 쓸 수 없는 것이다.
일을 이루는 것은 하늘을 오르는 것처럼 어렵고, 일을 망치는 것은 터럭을 태우는 것처럼 쉽다고 한다(成立之難如登天, 失墜之易如燎毛).
동방의 작은 나라 대한민국이 오늘의 세계적인 위상에 이르기까지는 수많은 국민들의 피와 땀이 녹아있다. 그런데 고작 몇 사람의 권력 연장을 위해 그 위상이 순식간에 허물어지는 현상이 개탄스러울 뿐이다
국민 경제는 무척 어려운데 고관들은 봉급을 꼬박꼬박 타간다. 대통령 연봉이 2억4천만 원에 육박한다. 월급으로 치면 매월 2천만 원이다. 이 돈은 힘든 가장이 이끄는 10개 가정의 수입과 맞먹는다. 이에 대통령이 솔선하여 월급을 200만 원만 받고 그 나머지를 소상공인 돕는데 성금으로 낸다면 나머지 공무원들도 다들 동참할 텐데…
흥청망청! 오죽하면 교수들이 아시타비(我是他非; 나는 옳고 남은 그르다)라는 사자성어로 지적했겠는가!
▶️ 興(일 흥, 피 바를 흔)은 ❶회의문자로 同(동)과 舁(여)의 합자(合字)이다. 여럿이 들어 돌리다, 일으키다, 일어나다를 뜻한다. ❷회의문자로 興자는 ‘일으키다’나 ‘창성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興자는 舁(마주들 여)자와 同(한 가지 동)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舁자는 위아래로 손을 맞잡고 있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마주 들다’라는 뜻을 갖고 있다. 興자는 이렇게 무언가를 마주 드는 모습을 그린 舁자와 ‘함께’라는 뜻을 가진 同자를 결합한 것으로 ‘함께 마주 들다’라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興자의 갑골문을 보면 큰 그릇을 맞잡고 옮기는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고대에는 나라의 부흥과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제사를 지냈다. 興자는 그러한 의미가 담긴 것으로 ‘일으키다’나 ‘창성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興(흥, 흔)은 (1)재미나 즐거움을 느끼게 하는 감정 (2)성(姓)의 하나 등의 뜻으로 ①일다 ②일으키다 ③시작하다 ④창성(昌盛)하다⑤흥겹다 ⑥기뻐하다 ⑦성공하다 ⑧등용하다 ⑨다스리다 ⑩징발(徵發)하다 ⑪느끼다 ⑫유행하다 ⑬흥(興), 흥취(興趣) ⑭흥미(興味) ⑮취미(趣味) ⑯시(詩)의 한 체(體) ⑰혹시(或是: 그러할 리는 없지만 만일에) ⑱어조사(語助辭) 그리고 ⓐ희생의 피를 바르다(흔) ⓑ다툴 기미, 실마리(흔)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세울 건(建), 왕성할 왕(旺), 창성할 창(昌), 우거질 번(蕃), 필 발(發), 성할 성(盛), 설 립(立), 세울 수(竪), 일어날 기(起),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망할 망(亡), 폐할 폐(廢), 빠질 몰(沒), 패할 패(敗)이다. 용례로는 어떤 자극으로 감정이 북받쳐 일어남 또는 그 감정을 흥분(興奮), 어떠한 사물에 대한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는 감정을 흥미(興味), 잘 되어 일어남과 못 되어 없어짐이나 흥함과 망함을 흥망(興亡), 왕성하게 행해짐을 흥행(興行), 마음이 끌릴 만큼 좋은 멋이나 취미를 흥취(興趣), 재미있거나 신나는 느낌, 또는 그런 기분을 흥감(興感), 쇠퇴하던 것이 다시 일어나거나 일어나게 함을 흥복(興復), 감동되어 떨쳐 일어남을 흥기(興起), 침체된 상태에서 떨쳐 일으킴을 진흥(振興), 한 번 쇠퇴한 것이 다시 성하여 일어남 또는 일어나게 함을 부흥(復興), 세차게 일어남을 융흥(隆興), 새로 일어남을 신흥(新興), 멋있는 흥이나 좋은 흥취를 가흥(佳興), 흥취 있게 놂을 유흥(遊興), 술에 취하여 일어나는 흥취를 취흥(醉興), 마음에 깊이 감동되어 일어나는 흥취를 감흥(感興), 한창 흥겹게 일어나는 흥을 고흥(高興), 쇠퇴한 것이 중간에서 다시 일어남을 중흥(中興), 즐거운 일이 지나가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흥진비래(興盡悲來), 흥하고 망하고 성하고 쇠하는 일을 흥망성쇠(興亡盛衰), 흥미가 넘칠 만큼 많다는 흥미진진(興味津津), 있는 말 없는 말을 보태어 함부로 남을 비방함을 흥와주산(興訛做訕), 나라를 일으키고 군사를 강하게 함을 흥국강병(興國强兵), 흥미를 잃어 가는 모양을 이르는 말을 흥미삭연(興味索然) 등에 쓰인다.
▶️ 淸(맑을 청)은 ❶형성문자로 清(청)의 본자(本字)이다.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 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에 푸른 색깔이나 깨끗이 맑아져 있는 일의 뜻을 가진 靑이 합(合)하여 이루어졌다. 맑고 깨끗한 물(水)의 뜻이 합(合)하여 맑다를 뜻한다. 淸(청)은 물이 깨끗이 맑다, 맑은 물, 맑다, 깨끗이 하다, 상쾌하다 따위 여러 가지 뜻으로 쓰인다. ❷회의문자로 淸자는 '맑다', '깨끗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淸자는 水(물 수)자와 靑(푸를 청)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靑자는 우물가에 핀 푸른 초목을 그린 것으로 '푸르다'라는 뜻이 있다. 淸자는 이렇게 '푸르다'라는 뜻을 가진 靑자에 水자를 결합한 것으로 물이 푸를 정도로 맑다는 뜻을 표현하고 있다. 그래서 淸(청)은 ①맑다 ②깨끗하다 ③탐욕(貪慾)이 없다 ④빛이 선명(鮮明)하다 ⑤사념이 없다 ⑥분명(分明)하다 ⑦한가(閑暇)하다 ⑧고요하다(조용하고 잠잠하다) ⑨끝장을 내다 ⑩거스르다 ⑪차갑다 ⑫한랭(寒冷)하다 ⑬맑은 술 ⑭꿀 ⑮뒷간 ⑯청(淸)나라, 따위의 뜻이 있다. 같은 뜻을 가진 한자는 맑을 렬/열(洌), 맑을 담(淡), 맑을 숙(淑), 맑을 호(淏), 물 맑을 식(湜), 물 맑을 영(渶), 맑을 재(渽), 맑을 린/인(潾), 맑을 징(澄), 맑을 철(澈), 맑을 담(澹), 맑을 찬(澯) 맑을 정(瀞) 맑을 류/유(瀏), 물 맑을 형(瀅),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흐릴 탁(濁)이다. 용례로는 날씨가 맑고 밝음을 청명(淸明), 날씨가 맑고 따뜻하다는 청양(靑陽), 맑고 아름다움을 청아(淸雅), 부드럽고 맑게 부는 바람을 청풍(淸風), 청백하여 가난함을 청빈(淸貧), 청렴하고 결백함을 청백(淸白), 맑고 순박함을 청순(淸純), 맑고 깨끗함을 청결(淸潔), 맑고 깨끗함을 청정(淸淨), 맑고 바름을 청정(淸正), 깨끗한 정조를 청조(淸操), 성품이 고결하고 탐욕이 없음을 청렴(淸廉), 깨끗이 소제함을 청소(淸宵), 잘못이나 악인을 없애어 맑게 함을 숙청(肅淸), 성품이나 언행이 맑고 깨끗함을 숙청(淑淸), 날씨나 빛깔 따위가 산뜻하고 맑음을 경청(輕淸), 빛깔이 희고 품질이 썩 좋은 꿀을 백청(白淸), 벌집에서 떠낸 그대로의 꿀을 생청(生淸), 산 속에 있는 나무나 돌 사이에 석벌이 친 꿀을 석청(石淸), 물 같은 것이 몹시 맑고 깨끗함을 징청(澄淸), 매우 맑고 시원함을 여청(餘淸), 황하의 물이 맑아짐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하려고 해도 실현되지 않음을 비유하는 말을 하청(河淸), 마음이 맑고 깨끗하며 재물 욕심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청렴결백(淸廉潔白), 청렴결백하고 가난하게 사는 것을 옳은 것으로 여김을 일컫는 말을 청빈낙도(淸貧樂道), 마음을 깨끗이 하고 욕심을 적게 함을 이르는 말을 청심과욕(淸心寡欲), 맑은 것과 탁한 것을 함께 삼킨다는 뜻으로 선악을 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또는 도량이 큼을 이르는 말을 청탁병탄(淸濁倂呑), 어지럽지 않은 맑고 밝은 세상을 일컫는 말을 청명지세(淸明之世), 결백하고 허례허식이 없는 선비를 일컫는 말을 청소지사(淸素之士), 심경의 열을 풀어 화기를 내림을 일컫는 말을 청심강화(淸心降火), 맑고 평안한 세상을 일컫는 말을 청평세계(淸平世界), 조용하고 여유가 있는 즐거움을 일컫는 말을 청한지환(淸閑之歡),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이라는 뜻으로 결백하고 온건한 성격을 평하여 이르는 말을 청풍명월(淸風明月) 등에 쓰인다.
▶️ 亡(망할 망, 없을 무)은 ❶회의문자로 兦(망)이 본자(本字), 동자(同字)이다. 사람(人)이 망하고 도망해 와서 숨는다는 뜻이 합(合)하여 망하다를 뜻한다. ❷상형문자로 亡자는 '망하다'나 '도망가다', '잃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亡자는 亠(돼지해머리 두)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돼지머리와는 관계가 없다. 亡자의 갑골문을 보면 칼날 부분에 획이 하나 그어져 있는데, 이것은 칼날이 부러졌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칼날이 부러졌다는 것은 적과 싸움에서 패배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亡자는 전쟁에서 패배했다는 의미에서 '멸망하다'나 '도망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전쟁에서의 패배는 죽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亡자에는 '죽다'나 '잃다'라는 뜻도 파생되어 있다. 그래서 亡(망, 무)은 ①망하다, 멸망하다, 멸망시키다 ②도망하다, 달아나다 ③잃다, 없어지다 ④없애다 ⑤죽다 ⑥잊다 ⑦업신여기다, 경멸하다 ⑧죽은, 고인(故人)이 된 그리고 없을 무의 경우는 ⓐ없다(무) ⓑ가난하다(무) 따위의 뜻이 있다. 반대 뜻을 가진 한자는 있을 존(存), 이룰 성(成), 있을 유(有), 일 흥(興)이다. 용례로는 죽은 아버지를 망부(亡父), 망명해 온 사람을 망객(亡客), 아주 주책없는 사람의 낮은 말을 망골(亡骨), 패가망신할 못된 짓을 망덕(亡德), 죽은 며느리나 죽은 아내를 망부(亡婦), 망할 징조를 망조(亡兆), 죽은 뒤를 망후(亡後), 망할 조짐을 망괘(亡掛), 집안이 결딴남을 망가(亡家), 망하여 없어진 나라를 망국(亡國), 있는 것을 아주 없애 버림을 망살(亡殺), 사람의 목숨이 끊어져 죽는 때를 망종(亡終),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비는 일을 망축(亡祝), 무례한 언동을 망상(亡狀), 죽은 사람의 혼을 망혼(亡魂), 장사葬事를 치르는 동안에 죽은 사람을 일컫는 말을 망인(亡人), 손아래 사람의 죽은 날을 망일(亡日), 죽은 아이를 망아(亡兒), 체면이나 명망을 망침을 망신(亡身), 죽은 사람의 영혼을 망령(亡靈), 자기 나라의 정치적 탄압 따위를 피하여 남의 나라로 몸을 옮김을 망명(亡命), 피하여 달아남이나 쫓기어 달아남을 도망(逃亡), 망하여 없어짐을 멸망(滅亡), 꺼져 없어짐을 소망(消亡), 잘 되어 일어남과 못 되어 없어짐을 흥망(興亡), 잃어 버림이나 망하여 없어짐을 상망(喪亡), 싸움에 져서 망함을 패망(敗亡), 쇠퇴하여 멸망함을 쇠망(衰亡), 위태로워 망하려 함을 위망(危亡), 사냥이나 주색의 즐거움에 빠짐을 황망(荒亡), 양을 잃고서 그 우리를 고친다는 뜻으로 실패한 후에 일을 대비함 또는 이미 어떤 일을 실패한 뒤에 뉘우쳐도 소용이 없음을 일컫는 말을 망양보뢰(亡羊補牢), 달아난 양을 찾다가 여러 갈래 길에 이르러 길을 잃었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어 진리를 찾기 어려움 또는 방침이 많아 할 바를 모르게 됨을 일컫는 말을 망양지탄(亡羊之歎), 죽은 자식 나이 세기라는 뜻으로 이미 지나간 쓸데없는 일을 생각하며 애석하게 여김을 일컫는 말을 망자계치(亡子計齒), 죽을 죄를 저지른 사람이 몸을 감추어 멀리 도망함을 일컫는 말을 망명도주(亡命逃走), 물건을 얻거나 잃거나 함에 있어 그 이해를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다는 뜻의 말을 망극득모(亡戟得矛),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가까운 사이의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을 순망치한(脣亡齒寒), 달아난 양을 찾다가 여러 갈래 길에 이르러 길을 잃었다는 뜻으로 학문의 길이 여러 갈래로 나뉘어져 있어 진리를 찾기 어려움 또는 방침이 많아 할 바를 모르게 됨을 일컫는 말을 다기망양(多岐亡羊), 책을 읽느라 양을 잃어버렸다는 뜻으로 마음이 밖에 있어 도리를 잃어버리는 것 또는 다른 일에 정신을 뺏겨 중요한 일이 소홀하게 되는 것을 이르는 말을 독서망양(讀書亡羊) 등에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