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 전 자 승 (母 傳 子 承)
훌륭한 아버지 밑에는 훌륭한 자식이 나오는것을 부전자전
(父傳子傳)이라 하고.
또한 엄격하면서도 자애로운 어머니 밑에서 훌륭한 자식이 나오는 것을. 모전자승(母傳子承) 이라 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화폐에 모자(母子)의 사진이 들어 있음을 볼 수 있다.
한분은 오천원권 지폐에 율곡(栗谷) 이이(李珥) 선생의 사진이고.
오만원권에 나오는 사임당(師任堂)신씨(申氏)는 율곡(栗谷)의
어머니다.
사임당 신씨는 그의 당호(堂號)와 인선(仁善)이란 명(名)자 만큼이나 어질고 선(善)하며 훌륭했다고 한다.
두분이 얼마나 훌륭했으면 모자(母子)가
한 국가의 화폐에 등재 되었을까?
그래서 두분이 남긴
시(詩)를 읊어 본다.
먼저 사임당의 시(詩)다.
늙으신 어머님을 고향에 두고 외로이 한양 길로 가는 이마음
돌아보니 북평(北坪)은
아득도 한데
흰 구름만 저문 산을
날아 내리네.
산 첩첩 내 고향
천리 건마는 자나 깨나 꿈속에서도 돌아가고파
한송정(寒松亭) 가에는 외로히 뜬 달
경포대 앞에는
한 줄기 바람
갈매기는 모래톱에 헤어젔다 모이고
고깃배들 바다 길을 동서로 오가네
언제나 고향땅에 다시 돌아가 색동옷 입고 앉아 바느질 할꼬.
이 시(詩)는 율곡의 어머니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가 강릉 오죽헌(烏竹軒) 친정에서 그의 모친(母親)인 용인이씨(龍仁 李氏)를 모시고 자식 오남매를 키우며 살다가 시가(媤家)인 파주 율곡리에 사시는 시모(媤母) 홍씨(洪氏)부인이 노쇄(老衰) 하여 살림을 할 수 가 없자 시가(媤家)로 가는길에 대관령 고개에서 오죽헌 을 바라보며 친정어머니 생각을 하면서 읊은 시(詩)다.
사임당(師任堂)이란 당호(堂號)는 고대 중국의 주문왕(周文王) 의 어머니인 태임(太任) 부인(夫人)의 이름 에서 따와 지은 것이라고 한다.
다음은 율곡선생의
시(詩)다
숲속 정자에 가을이 깊어 나그네의 가슴에
물결이 이네
멀리 하늘과 강이 맞닿아 푸르르고 찬바람 속 단풍은 어이 이리 붉을꼬!
산은 둥근 달을 토해 내는데 가을은 먼데서 부는 바람 머금었구나
변방의 기러기 떼는
어딜 가는지 울음소리
방울 방울 구름에 잠기네.
어느 가을날 사임당이 자녀들을 데리고 율곡선생의 5대조인 이지돈이 지은 임진강가에 있는화석정 에 올라 주변을 살펴보니 울긋 불긋한 낙엽이 바람에 딩굴고 사임당이 언덕 넘어 유유히 흐르는. 임진강을 바라보며 생각에 잠길때
주변을 둘러보던 아들인 율곡이 지어읊은 시(詩)다.
훗날 율곡이 왜적의 침략을 예견(豫見)하고 임금에게 10만 양병설(養兵說)을 주장하고 전쟁에 대비(對備)할것을 간곡히 건의하였으나
반대하는 신하들로 관철되지 못했다.
그러나 혜안을 갖인 율곡은 틈만 나면 오대조부(五代祖父)가 지은 화석정(花石亭) 에다 기름통을 가지고 올라가 기름칠을 했다고 한다.
그후 율곡이 사망하고 임진년에 왜란이 일어나 불과 몇일만에 한양 도성 까지 함락되어 선조임금은 북으로 몽진을 간다.
선조와 함께한 대신들이 임진강을 건너려니 때마침 비는 오고 어둠이 드리워 강을 건널수가 없었다.
하는 수 없이 화석정
(花石亭)을 불태워 그 불빛으로 강을 무사히 건넜다고 전(傳)한다.
이처럼 예지(睿智)의 혜안(慧眼)은 어린시절 부터 훌륭한 어머니의 가르침이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현세(現世)에는
이런 훌륭한 어머니의 가정교육이 없어진지 오래이고.
국민의 사고(思考)와 수준은 무식하며 위정자(爲政者)들은 썩어빠진 쓰레기 전과자 들로 나라를 망치는 사회가 되고
인간의 근본인 가정마져 파탄나는 서글프고 안타까운 이나라의 현실을 어찌 하리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