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철원군농업기술센터
 
 
 
카페 게시글
◆──자유게시판──◆ 스크랩 재배ㆍ생리(담수직파): 무논골뿌림 직파재배기술
김종호 추천 0 조회 190 10.07.06 11:29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무논골뿌림 직파재배기술

 

기관 : 호남농업연구소

성명 : 김상수

전화 : 063-840-2172

 

1. 재배 적지

  표고로 본 재배적지는 중북부 100m, 남부 200m이하인 지역과 경사도 7%이하지역이며 2모작이와 한해상습지 및 염농도가 0.25% 이상인 간척지는 부적지로 제외하며 토성은 식질 토양의 배수 약간 불량 및 불량지, 미사 식질 양질의 배수 약간 불량 및 불량지이다.

 

2. 적응품종

  저온발아성과 초기 신장성이 좋은 단간 내도복 양질 품종으로 조생종은 소백벼, 오대벼, 운봉벼, 금오벼, 신운봉벼 등이며, 중생종은 화성벼, 화영벼, 간척벼 등이고 중만생종은 동진벼, 남평벼, 계화벼, 대야벼, 금남벼, 일미벼, 화남벼, 동안벼, 대산벼 등이다.

 

3. 파종시기

  ○조생종 : 5월 1일~6월 5일, 중생종: 5월 1일~5월 30일, 중만생종: 5월 1일~5 월25일

  ○일평균기온이 11~12℃ 이상이 되면 파종 가능하나 만파 지양하고 파종적기 준수

 

4. 파 종 량

  ○3~5㎏/10a (적정입모수 : 80~120개/㎡)

  ※ ㎡당 60개 이하시 재파종 검토(단, 균일시는 제외)

 

5. 본논경운 정지 및 논굳히기

  (경운 정지)

  ○가을갈이 또는 봄갈이 실시 : 석회, 규산질 비료 시용으로 볏짚 부숙 촉진

  ○논고르기 : 경운전에 높은 곳에서 흙을 골솎음하여 낮은 곳으로 옮김

  ※지나친 심경은 피하고 12cm정도로 얕게 경운하거나 로타리만 실시

  ※지나친 논고르기 작업(로타리)은 입모 불량함.

 

  (논굳히기)

  ○사질양토 : 써레질후 배수 → 논굳힘(1~2일) → 일시관수 → 파종

  ○점질양토 : 써레질 3~4일후 배수 → 논굳힘(5~6일) → 일시관수 → 파종

  ○건답상태 로타리할 경우 : 2~3일간 담수 → 2~3일간 낙수 → 파종

  ※논굳히기가 미흡한 논은 논굳힘 정도에 따라 물대는 시기 조절

 

6. 파종 방법

  ○까락제거, 소금물가리기, 종자소독 실시

  ○싹틔우기 : 1~2mm정도(싹이 너무 길면 모썩음병 발생증가)

     -싹틔우는 기계이용시 반드시 2일 이상 침종 후 실시로 입모율 향상

  ○파종골 깊이 : 3~4cm 깊이로 파종깊이 조절 파종

 

그림 1. 무논골뿌림직파

 

7. 파종후 물관리 및 입모율 향상

  ○논굳히기 잘된논 : 파종 - 일시물대기 - 눈그누기(2~3일) - 물대기 - 착근후 제초제 처리

  ○논굳히기 덜된논 : 파종 - 싹틀때까지 물안댐 - 물대기

  ○논굳히기 과다한논 파종기계에 종자유도 및 진압장치 부착 파종

  ○최아종자 산적토 분말 분의하거나 황토물에 침지후 파종 (종자4㎏+산적토분말 1㎏ 비율)

  ○불완전엽 출현시 눈그누기와 물걸러대기 실시

  ○중간낙수 : 담수 30일부터 10일 간격 2~3회 실시

 

8. 거름주기

  ○N - P2O5 - K2O = 11~13㎏ - 4.5㎏ - 5.7㎏/10a

  ○N분시 :밑거름 - 5잎때 - 이삭거름= 40-30-30% 또는 3잎때 - 5잎때 - 이삭거름 = 40-30- 30%

  ○P2O5○K2O 분시 : P2O5은 전량 밑거름, K2O는 밑거름 70%, 이삭거름 30%

  ○입모수 60개/㎡ 이하로 적을 경우 3잎때 질소비료 추비로 유효줄기수 조기 확보

  ○저인산○저칼리 복비○완효성 비료를 전층시비 또는 측조시비로 노력절감 및 이끼, 괴불발생 억제

그림 2. 파종 후 35일 작황

 

9. 이끼, 괴불 방지

  < 발생 원인 >

  ○논물중에 초산태 질소, 인산과다시 발생 증가

  ○온도 22℃ 부터 30℃까지 높을시 발생이 많음

  ○pH 8~9이상 알카리 토양에서 발생이 많음

  ○표층시비가 전층시비보다 5배 정도 더 발생

 

  ○로타리를 곱게 한 논에서 발생이 심함

※전국 이끼종류 : 29과 94종

  <피해발생 designtimesp=25469 designtimesp=29239>

  ○벼 뿌리내림과 새잎의 출현을 방해함 : 결주와 뜸모 증가

  ○수온과 지온을 낮춤 : 초기의 생육장해와 분얼수가 감소

  ○양분을 수탈함 : 생육이 늦어지고 분얼수가 감소

  ○제초제의 효과가 떨어짐 : 제초제가 땅에 떨어지지 않고 괴불위에 있음.

 

  <방제대책 designtimesp=25475 designtimesp=29245>

  ○질소비료를 밑거름으로 주지말고 웃거름에 40%-30-30 비율로 줌

  ○완효성복비, 저인산복비 전층시비, 완숙퇴비 사용 필수 실천

  ○인산질 비료를 밑거름으로 주지 말고 입모 후에 주어 발생 억제

  ○제초제 살포시 다소 방제효과가 있으나 약해 발생 주의

  ○물걸러대기 실시

 

10. 조류(새) 피해 경감대책

  ○종자 진압장치를 부착 파종하면 새 피해 예방 가능

  ○물새(도요새) 방지를 위해 논물을 3~5cm 대고 리젝스유제 원액을 10a당 3ℓ 정도 고루 살포

 

11. 잡초 방제

  ○이앙재배에 비하여 본논 기간 20~30일이 길어 잡초의 종류가 다양하고 발생량이 많음

  ○제초제 살포를 할 경우는 반드시 뿌리가 내린 후에 살포

 

  <제초제 사용적기 및 적용약제 designtimesp=25490 designtimesp=29260>

  ○써레질후 파종 5일전 : 사단(반드시 최아 파종하고 벼알 묻히지 않도록)

  ○파종후 10일경 : 두배논, 직파매, 노난매, 오로지, 손노리, 단도리 등

  ○파종후 15일경 : 암행어사, 수문장, 논지기, 논다매, 장손, 큰소리, 포도대장 등

  ○어린이삭이 생기기 전까지 : 정일품, 단골, 하이킬, 풀뚝, 피안커(피 4~5매까지 방제 가능) 밧사그란(광엽잡초)

※논두렁이나 수로의 잡초는 수시로 베어 주거나 제초제를 처리하여 잡초 종자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

 

12. 도복대책

  ○쓰러짐에 강한 품종 선택

  ○적량 균일 파종

  ○질소 비료 알맞게 주기

  ○규산질 비료주기 : 130ppm 이하논 10a당 200㎏

  ○중간물떼기 2~3회 실시 및 물걸러대기

  ○도복경감제 살포

    - 세리타드 입제 : 출수 40일전 10a당 3㎏

    - 키타진입제 : 출수 20~30일전 10a당 4㎏ 살포

 

13. 병해충방제 : 이앙재배에 준함

그림 3. 황숙기 작황 및 종합평가회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1997.농촌지도공무원 전문교육 교재(벼재배).

__________. 1997. 새해영농설계교육 교재(식량작물).

__________. 1997. 쌀생산 기술지도요령.

__________. 1995. 쌀 생산비 절감을 위한 직파재배기술.

__________. 1993. 벼 생력재배 (농촌지도공무원 전문교육교재).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