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Heracleum moellendorffii
분류 미나리과
분포지역 한국 ·일본 ·중국
서식장소 산과 들
크기 높이 70∼150cm
산과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70∼150cm이며 속이 빈 원기둥 모양이고 세로로 줄이
있으며 거친 털이 있고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3∼5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며
털이 있고 줄기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지며 밑 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끝에 달린 작은잎은 심장 모양이고 3개로 갈라지며, 옆에 달린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길이가 7∼20cm이며 2∼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흰색으로 피고 가지와 줄기 끝에 복산형꽃차례을 이루며 달린다.
꽃차례는 20∼30개의
꽃자루가 다시 작은꽃자루로 갈라져서 각각 25∼30개의 꽃이 달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달린 꽃이 가운데에 달린 꽃보다 크다.
꽃잎은 6개이고 크기가 서로 다른데, 바깥쪽의 꽃잎이 안쪽 꽃잎보다 크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7mm의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윗부분에 독특한 무늬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길이 7mm의 편평한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윗부분에 독특한 무늬가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독활(獨活)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바람과 추위 또는
습기 때문에 생긴 근육통·관절염·요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가려움증·종기·두통·오한·발열 등에 사용한다.
한국·일본·중국에 분포한다.
민간에서는 위장병, 피부병, 열내림약, 진정약, 아픔멎이약, 통경약으로 쓴다.
어수리가 없을 땐 '독활'의 뿌리를 대용으로 약용한다.
당뇨, 노화방지, 진통, 살균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왕삼이라고도 부른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독활(獨活)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바람과 추위 또는
습기 때문에 생긴 근육통·관절염·요통에 효과가 있고,
피부가려움증·종기·두통·오한·발열 등에 사용한다.
향과 맛이 좋아 옛날 임금님 수랏상에도 올랐다고 한다.
특히 삼겹살을 구워 먹을때 쌈으로 싸서 먹으면 너무나 좋다.
속명 : 단모백지. 단모독활. 백지. 토당귀
약성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성분 :전초와 열매에 쿠마린, 잎 꽃 열매에 사포닌, 꽃이삭에 플라보노이드, 뿌리에 스폰딘, 움벨리페론, 이소베르갑텐, 베르갑텐, 안겔리신 등 10가지 성분의 쿠마린이 있다.
약효 :진정(鎭靜), 진통(鎭痛), 통경(痛痙), 배농(排膿), 루출(淚出), 생기(生肌)의 효능이 있다. 중풍, 신경통, 요통, 두통, 어지럼증, 미용(美容) 의 치료에 쓰인다. 거풍습, 지통, 해독의 효능이 있어 근육통, 관절염, 요통, 무릎하지동통, 피부가려움증, 발열, 오한 두통, 사지통, 종기, 진정, 최면, 진통, 항염증, 고혈압, 항경련, 항궤양, 피부염, 만성기관지염, 불면증, 은설병에 효험이 있다.
채취기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건조
성미 : 차며, 맵고 쓰다.
독성여부 : 없음
1회 사용량 : 뿌리 4~5g
염증 :어수리의 전초 4∼5g(1회분)을 3∼6회 달여 먹는다.
감기(感氣)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식 2~3일 복용한다.
두통(頭痛)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신경통(神經痛)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요통(腰痛)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中風)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위장병에.잎의 즙액을 피부병에 써 왔다.
그런데 어수리의 즙액을 바른 피부를 햇볕에 오래 쬐면 색소침착이라고 하는
증상이 나타난다는 기록이 있다.
어수리는 해열 진통 통경 진정 두통약으로 쓰인다.
일부 지방에서는 구릿대 대용으로 감기 두통 관절염에 쓰곤 했다.
어수리잎은 맛과 향이 짙어서 과식하지 않아야 하며 별미정도로 즐겼으면 한다.
식물에 들어 있는 지나친 성분은 해로울수 있으며.
그렇더라도 어수리는 고급 음식으로 내놓을 가치가 있다
떫고 쓴 맛은 없으나 데쳐서 잠시 우려낸후 조리해야 안전하다.
봄의 연한 순은 그냥 생식해도 된다.
그러나 여름의 성숙한 잎은 성분이 너무 짙으므로 줄기 위쪽에서 새로이 자라나는 어린 잎만을 골라 따서
먹도록 한다.
여름에 한창 성장할때는 위쪽으로 새 잎이 계속 자라나 온다.
어수리의 모양새를 터득하고 나면 숲속에 훤칠한 키로 자생하는 것을 발견 할수 있다.
향기가 그윽하여 여린 것을 조리하여 식단에 내놓으면 누구든지 특이한 맛에 매료된다.
아래쪽의 묵은 잎은 식용의 가치가 떨어진다.
잎의 향이 너무 진하다.싶을 경우 잠시 데쳐 흐르는 물에 우려내면 은은한 향미가
식욕을 증진시킨다.
생식은 물론 녹즙을 내어 마셔도 특이한 향이 감칠맛 있게 풍긴다.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가 1.5m까지 자라서 장관을 이루는 모습을 보인다.
줄기는 굵고 속이 비어 있으며 약간의 굵은 가지를 치고 온 몸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여름에 줄기 밑에 새잎이 자라나오는 성질이 있다.
잎이 서로 어긋나게 자리하는데. 매우 크고 넓적하며 깃털 모양을 이루며 3~5개의 잎 조각으로 구성된다.
잎 조각은 계란꼴로서 갈래나 다섯 갈래로 깊이 갈라지거나 또는 결각 모양으로 얕게 갈라진다.
잎줄기의 밑둥은 칼집 모양으로 변하여 줄기를 감싼다.
가지 끝에 깊이 갈라진 네 장의 꽃잎으로 구성된 아주 작은 흰 꽃들이 무수히 뭉쳐서 피어나
지름이 20cm나 되는 시원스러운 우산꼴의 꽃차례를 형성한다.
7~8월에 개화의 절정을 이룬다.
전국 각지의 산이나 들판의 풀밭에 나며 꽃 차례가 크고 아름답기 떄문에 눈에 잘 뜨인다.
이와 비슷한 꽃을 피우는 종류가 있으므로 잎의 모양을 익히고 다음에는 잎을 씹어 보아
특유의 향을 감지하게 되면 이것이 바로 어수리(왕삼)이다.
금계산 옆산에 엄청나게 자라나고 잇었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