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공장들 잇단 리쇼어링…혼다 오토바이 자국 유턴
일본 제조업체들이 해외로 이전했던 생산라인을 다시 본국으로 옮겨오는 '리쇼어링'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혼다가 2012년부터 중국에서 생산하던 오토바이 '슈퍼커브'를 일본 구마모토현 공장에서 생산하기로 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중국 공장은 인건비 상승으로 비용 부담이 갈수록 커지는 반면 일본에서는 공장 자동화 등으로 원가 부담이 줄어 해외 생산 필요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아베 내각의 규제 완화와 무제한 양적완화에 따른 엔화 약세 등도 일본 기업들의 리쇼어링을 부채질하고 있다.
혼다는 이미 지난해부터 중국과 아시아 등에서 생산해오던 소형 오토바이 생산라인을 다시 일본으로 가져오고 있다. 혼다 외에도 이달 초 캐논이 미야자키현에 디지털카메라 신규 생산공장을 세우겠다고 밝히는 등 일본 기업들의 자국 내 생산이 날로 늘고 있다.
인건비 상승 등을 이유로 한국 기업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것과는 반대 분위기다. 일본무역진흥공사(JETRO)가 올해 초 일본 3000여 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공장을 중국에서 일본으로 옮기겠다는 기업이 8.5%에 달해 일본 공장을 중국으로 옮기겠다는 답변(6.8%)을 처음 넘어섰다.
일본 내 오토바이 판매는 지난해 37만여 대로 10년 새 절반가량 줄었다. 일본 내 판매량이 줄고 있음에도 생산라인을 옮기는 것은 해외 생산의 장점이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건비 측면에선 차이가 줄어들고 있는 데다 일본 공장의 경우 기술 유출에 대한 위험도 낮고 신제품 개발·생산에 있어서도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다.
여기에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제품들과의 차별화를 위해 고급화를 추진하는 상황에서는 '메이드 인 재팬'이 판매에 유리하다는 판단도 한몫했다.
혼다가 생산라인 이동을 밝힌 '슈퍼커브'는 창사 이래 생산해온 대표 소형(50~100㏄) 모델이다. 한국에서도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을 정도로 인기를 모으며 누적 판매대수가 1억대를 넘어선 모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