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동(山東) 백제의 군사(軍事)및 문화 지리
1. “송준희 선생님은 산동 백제 (거발성)의 두 왕성(王城)을 다 찾으셨다.”
좌계가 이 싸이트(site) ‘우리역사’ 칼럼 ‘백제’에 관한 글을 전부 읽어보고 놀란 점은 운영자이신 “송준희 선생께서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거발성(居拔城) 즉 산동 백제의 두 왕성(王城)을 다 찾으셨다.”는 것입니다.
왜냐?
백제의 수도는 일수도(一首都) 이왕성(二王城)의 원칙아래 건립되고 있는데, 삼국사기에서 말하는 사비성(泗泌城)
은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거발성(居拔城) - 이는 수도(首都)의 명칭이고, 오늘날 산동(山東)임 -의 두 왕성이 호수
(湖水)를 끼고 있는 것이 바로, 사성(泗城)이고, 육지에 있으면서, 왕권(王權)과 군사지휘권이 있는 곳의 성(城)이
비성(泌城)의 합성어로 보아야하기 때문입니다.
산동성(山東省)은 하남성(河南省)의 오른 쪽으로 줄지어 이어지는 호수(湖水)를 경계(境界)로 하고 있습니다.
치우 천자의 묘가 있는 동평(東平) 에 자리잡은 동평호(東平湖) 그리고, 이어서 남남동(南南東) 방향으로
남양호(南陽湖)-소양호(昭陽湖)-독산호(獨山湖)-미산호(微山湖)가 연이어 있어서 하남(河南)과의 자연스런 경계가
됩니다. 그런데 이런 연이은 호수들이 그 방향이 남북 방향이기 때문에, 그야말로 저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도성의
크기가 동서 450리, 남북 900여리되는 조건을 가지고 있게 되는 것입니다.
더욱이 동평호(東平湖)와 남1양호(南陽湖)사이에 오늘날 운하(運河)로 되어 있지만,
고대에는 이곳에서 태산(泰山)과 몽산(蒙山)에서 흘러들어오는 문수(汶水)와 중국 4대강의 하나인 제수(濟水)가
흘러 들어와서 수호지(水湖志)로 유명한 양산박(梁山泊) - 고대 표현으로 거야택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감안하면,
우리는 놀라운 사실을 알 수가 있습니다.
즉 동평호(東平湖) - 거야택(鋸野澤) - 남양호-소양호-독산호-미산호가 줄을 이어서 ‘호수(湖水)로 된 긴 경계’를
지니고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정확히 남북 900여리, 동서 450리가 되는 백제 도성의 조건을 지니고 있는 것이지요.
가. 사성(泗城)의 위치
문제는 그럼 “주성(主城)인 사성(泗城)은 어디인가?”
산동에서 제일 큰 산은 중국 황제들이 제천(祭天)을 하는 태산(泰山)과 또 연이어져 있는 호수들과 병행해서 달리는
몽산(蒙山)이 있습니다.
몽산산맥(蒙山山脈) 중간에서 흘러나오는 물이 사수(泗水)인데, 이 사수(泗水)가 공자의 사당이 있는 곡부 위를
감싸고 훌러 내려와서 독산호(獨山湖)로 들어가는데, 마치 물로 해자를 두르듯이 백마하가 이 사수(泗水) 남쪽에
흘러들어오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사이에 사성(泗城)이 있을 수밖에 없고, 백제가 멸망할 때, 등장하는 백강(白江)이 바로 이 백마하(白馬河)
인 것이지요.
이 사수(泗水)와 백마하(白馬河) 가운데 두 도시가 바로 곡부(曲阜)와 그 밑에 사성(泗城)이 있는 것이지요.
이는 줄줄이 이어져 있는 동평호(東平湖), 소양호(昭陽湖)-독산호(獨山湖)-미산호(微山湖)
을 통해서 박달(泊達)화백 즉 배달화백을 할 수 있는 곳이지요.
특히 이런 호수들 오른쪽 지명이 연주(兗州)인데, 이 연(兗)이란 글짜가 ‘대(大)+태(兌)’의 합성어로 볼수 있고,
태(兌)는 배달화백 때 타고 나가는 ‘수상(水上)연단(演壇)’이기 때문에 그 깊은 관련성을 아직도 지명이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비성(肥城)의 위치
그런데, 동평(東平)호가 황하(黃河)로 들어가는 입구 오른쪽에는 계백장군께서 결사대를 조직해서 나당(羅唐)연합
군을 마지막으로 막은 황산(黃山)이 있고, 그 주변에 바로 비성(肥城)이 있습니다.
계백장군께서는 나당연합군이 황하(黃河)로부터 산동 백제로 들어오는 입구 동평호(東平湖)가 황하로 빠지는 곳도
- 따라서 나당 연합군이 수군(水軍)으로 황하를 타고 들어올 수 있다.
- 막으면서, 왕성인 비성(泌城 -혹은 肥城)을 습격하는 적(敵)들을 5000명의 결사대로써 기동타격대를 만들어서
필요한 곳에 그때마다 공급할수 있는 ‘최후의 저항’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아뭏든 산동백제 -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백제의 거발성(居拔城)이 일수도(一首都) 이왕성(二王城)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면, 송준희 님께서 결국 거발성의 두 왕성 사성(泗城)과 비성(肥城)을 모두 찾으신 것으로 좌계는 생각합
니다.
2. 놀라운 산동(山東)의 군사및 문화 지리
좌계가 이 산동성의 지명과 지리(地理)을 살펴보고 몹시 놀란 것은 그 지명이 문화적 사상적으로 몹시 의미가
있으며, 또 군사학적으로도 놀라운 가치가 있다는 점입니다.
가. 예(禮)와 악(樂)의 완벽한 조화를 추구한 백제의 거발성
(1) 곡부(曲阜)와 사성(泗城)
일단 사수(泗水)와 백마하(白馬河)로 둘러쌓인 곳에 공자의 사당인 곡부(曲阜) 밑에 사성(泗城)이 있었다고 할수
있는데, 이는 ‘백제(百濟)- 북사(北史)에 의하면, 고구리와 신라와 실질적으로 삼위일체의 나라이다.
-가 세계경영을 하기 위해서 고대 아시아에서 절대적인 권위를 지니는 공자의 사당 - 곡부(曲阜) 따라서 예(禮)의
상징을 업고, 연이어 이어져 있는 호수(湖水)들을통한 낙랑(樂浪) - 즉 박달화백 내지 배달화백을 하여 ’악(樂)의
상징‘이 그 밑인 사성(泗城)에 있어서 예와 악의 완벽한 조화를 아시아인들에게 각인시키기 안성맞춤인 지리-배치
(配置)라는 것이지요.
(2) ‘황제의 제천(祭天)의 터’인 태산(泰山)과 천독(天毒)들의 제천의 터인 호수(湖水)들
또한 놀라운 것은 중국 역대 황제들이 제천(祭天)하는 태산과 동시에 천독(天毒)들이 제천(祭天)하는 호수들이
나란히 있다는 것입니다.
북사에 의하면, 일반 백성 즉 천독들이 지내는 제천이 그들이 주권자(主權者)로써의 능력을 발휘하는 호수(湖水)가
임이 들어납니다.
其王每以四仲月祭天及五帝之神. 立其始祖<仇台>之廟於國城, 歲四祠之.
“백제왕은 (중국의 황제가 태산(泰山)에서 제천을 독점적(獨占的)으로 함에 비하여, 전혀 다른 세계경영의 축인
‘악(樂)으로써의 제천(祭天)’을 행하는데), 그것은 사시사철 가운데 달인 2월, 5월,8월에 천독(天毒: 백성을 뜻함)과
이들이 주권(主權)행위 함을 도운 전설적인 오제(五帝)들과 신예한인의 ‘새로운 시조’인 구태(仇台)를 모시고 한 달
동안 내내 축제를 지내는 전혀 다른 방법이었다.”
이런 묘사는 그들이 배달화백을 하는 장소인 호수(湖水)가에서 제천함이 전제되어 있는 것이지요.
또 배달화백이 ‘중국 황제가 예(禮)의 한계선’ 밖인 한반도, 일본, 필리핀 등등의 배달화백에서 ‘말발’들이 ‘마땅히
멀리 있어야하는 파트너(partner - 이를 의료나(宜遼那)라고 최치원 선생이 고증(考證)한 표현이다.)’를 통해서
몰려들기 때문에, 연(連)이어져 있는 5대호의 제천행사는 계절마다 그 중간 달에 늘 있는 무척 성대한 것일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산동백제는 이런 천독(天毒)들의 연(連)이은 5대호가 있기 때문에, 일체의 제천이 모두 산동백제에서 이루어짐을
뜻합니다.
이 역시 두 가지 제천(祭天)을 거발성 백제 - 산동 백제에서 완벽한 조화감을 지니게 하는 요소가 되는 것입니다.
백가제해(百家濟海) - “백가지 나라들이 연합하여 바다를 구제한다.”는 이 이야기는 바다가 사해(四海) 즉 천하를
뜻한다는 면에서 “‘백나라가 첨로(담로라고도 함)로 연합하여 천하를 구제하자”는 뜻이어서 여지없이 국제기구급
국가의 위상을 들어내고, 이러한 예(禮)와 악(樂)의 완벽한 조화를 들어내도록 지명과 성곽도시를 배치한 것은
’문화스런 세계경영‘을 하는 백제에게는 아주 걸맞는 지역으로 보입니다.
나. ‘봉선(封禪)의 교류’를 하는 또 다른 산택통기(山澤通氣)
그런데, 제천(祭天)을 한학(漢學)에서 말할 때, 봉선제(封禪祭), 줄여서 봉선(封禪)이라고 합니다.
문제는 “ 이 봉선(封禪)의 정확한 어원(語源)이 무언가?”하는 점입니다.
(1) 동한(東漢) 반고(班固)의 ‘봉선(封禪)’에 대한 개념은 문제가 있다.
(가) 반고의 봉선(封禪)에 대한 설명
동한(東漢)의 반고(班固)는 백호통(白虎通) 권삼(卷三)에서 《封禪에 대해서 다음과 갈이 말합니다.
▲원문 : 王者易姓而起, 必升封泰山, 何? 報告之義也. 始受命之日, 改制應天, 天下太平, 功成封禪, 以告太平也.
△번역 : 왕자가 역성(易性) (혁명을 일으켜) 일어나면 반드시 태산에 올라 봉(封)을 행하니, 그 까닭은 무엇인가?
보답하여 아뢴다(報告)는 뜻다.
천명(天命)을 처음으로 받은 날에 개제(改制)하고 하늘에 응하니, 천하가 태평하고, 공이 이루어져 봉선(封禪)을
행하니 그럼으로써 태평(太平)을 고하게 된다.
▲원문 : 所以必於泰山, 何? 萬物之始, 交代之處也. 必於其上, 何? 因高告高, 順其類也. 故升封者, 增高也.
△번역 : 반드시 태산에서 해야 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태산은) 만물의 처음이요 (만물이) 교대하는 곳이기 때문
이다. 반드시 그(태산) 정상에서 (봉선)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높음으로써 높음에 고하니, 비슷한 부류를 따르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올라 봉을 행하는 일은 그 높음을 더욱 높이는 일이다.
▲下禪梁甫之基, 廣厚也. 皆刻石紀號者, 著己之功跡以自效也. 封者, 廣也. 言禪者, 明以成功相傳也.
△번역 : (태산) 아래로 내려와 양보(梁甫) 기슭에서 선(禪) 제사를 지내는 것은 두터움을 더욱 두텁게 하는 일이다.
(태산 꼭대기에서 지내는 封이건 태산 아래 양보 기슭에서 지내는 禪이건) 모두 돌을 새겨 號를 기록하는 일은 자기
의 공적을 드러냄으로써 스스로 본받기 위함이다. 封이란 넓다는 뜻이다. 禪이란 밝음으로써 서로 전(傳)하는 일이다.
(- 이하 봉선(封禪)에 대한 반고의 저술은 계속됨 -)
(나) 봉(封)과 선(禪)의 어원(語源)
반고의 이러한 봉선(封禪)에 대한 개념 정리는 그 명확한 어원(語源)과 유래(由來)가 들어나지 않는데 그 문제가
있습니다.
선(禪)은 명상(冥想)이란 개념이고, 이는 인도어 ‘디야나(dhyana)’를 음차(音借)한 용어입니다.
그런데 ‘화백’을 ‘사회적 명상’이라고 정의(定義)내릴 수 있는데, ‘물’에서 하는 배달화백의 경우에는 태(兌)라는 수상
(水上) 연단(演壇)을 타고서 호수 가에 있는 천독(天毒)들의 말발을 받아서 회의를 진행시킵니다.
그런데, 이런 수상 연단(演壇)의 모습을 태(兌)로도 나타내지만, 단(單)으로도 나타냅니다.
이 글자는 금문(金文)으로 보면 ‘수레를 끌고 나가는 모습’인데, 태(兌)와 똑같이 ‘끄는 고리’를 묶을 수 있는 것이
연단(演壇) 머리 양쪽에 있습니다. 즉 태(兌)는 팔(八)자 모양이 그것이고, 단(單)은 입 구(口)가 두 개 있는 것이
지요. 태(兌)라는 1인용 평저선(平底船) 밑에 수레 받침을 놓은 것이 바로 단(單)인 것이지요.
따라서 수많은 단(單)들을 보이면서 배달화백을 진행하는 것을 선(禪)이라고 할수 있는 것이지요.
왜냐면 ‘선(禪)=시(示)+단(單)’이니깐요.
아무튼 이런 과정을 진행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여러 나라를 통합할 때, 수상 연단을 탄 사람들끼리 점차 ‘정견(政見)
에 대한 의견차이’를 좁혀지면서 ‘정책 통합’과 동시에 ‘권력의 양보’가 진행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선양(禪讓)인 것이지요.
그런데 이 진행과정은 천독(天毒)들이 호수(湖水)가에서 ‘말발’을 옮기는 것에 의해 일어나기 때문에, 서로의 아이
디어(Idea)와 공덕(功德)이 상호 해치는 작용 - 경쟁적 피해가 일어나지 않고, 오늘날 말로 윈(win)-윈(win)하게
하는 특이한 효과가 있습니다.
따라서 선양(禪讓)은 박달(泊達)화백, 혹은 배달화백 안에서 ‘만’ 일어나는 것이지요.
(다) ‘눈가리고 아웅’식의 선양(禪讓)
그러다가 중국대륙에서 이런 선양(禪讓) 방법 - 다시 말하면 배달화백을 하는 방법을 잃어 버린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체적인 진행방법은 모르고 “선(禪)이란 것은 서로의 공덕(功德)을 이루게 하면서도 그 공덕을 서로
전(傳)하는 것이다. (言禪者, 明以成功相傳也.)”라는 추상적인 개념만이 남아있었던 것이지요.
그리고 이런 ‘추상성’ 때문에, 역대 중국의 황제가 선양(禪讓)을 받을 때는 소위 “천자(天子)를 끼고, 천하(天下)를
호령한다.(挾天子 號令天下)”는 식으로 천자(天子)를 존중과 동시에 협박하는 과정을 거쳐서 양위(讓位)를 받는데
3-4 번 반드시 양보(讓步)하는 척하는 ‘눈가리고 아웅’식의 선양(禪讓)으로 변모해 간 것입니다.
따라서 원래는 호수(湖水)에서 해야 하는 선(禪) 혹은 선양(禪讓)이 이상하게 산(山) - 태산(泰山) 옆에 있는 양보의
기슭(梁甫之基)으로 올라가 버린 것이지요.
(3) 당지(唐池)와 마이크(mic, microphone)에 불과한 중국 천자(天子)와 제(帝)
(가) 당지(唐池), 장당경(藏唐京), 대문구(大汶口) 문화
우리는 저 연(連)이어져 있는 다섯 개의 호수 동평호(東平湖)-미산호(微山湖)-독산호(獨山湖)-소양호(昭陽湖)-
남양호(南陽湖)에서 천독(天毒)들이 모여 ‘진정한 선양(禪讓)이 일어나는
배달화백‘이 일어났다면, 이 호수(湖水)의 명칭을 새롭게 부를 필요가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중요한 인식이 배달화백을 하는 주체가 일반 백성인 하느님, 천독(天毒) 그 자체임에 비하여 천자
(天子)는 단지 이를 공표(公表)하는 대변인(代辯人)에 불과하다는 인식입니다.
말하자면, 중국 천자는 ‘마이크 (mic, microphone)’에 불과하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고조선(古朝鮮)에는 장당경(藏唐京)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당(唐)이란
글자입니다. 이는 ‘경(庚)과 구(口)’가 합성되어 있는 모양인데, 경(庚)이란 글자는 ‘나팔’같은 확성기를 손(-수(手))
으로 잡고 있는 모양입니다. 따라서 당(唐)의 원래의 뜻은 “큰 소리로 말하다.”는 것입니다.
당(唐)에 이런 뜻이 있기 때문에, 당산(唐山)은 ‘제천(祭天) 하는 성산(聖山)’이란 의미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우리는 저 산동(山東)의 오대호의 이름을 ‘제천(祭天)하는 호수(湖水)’라는 뜻에서 당지(唐池)라고
이름짓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아무튼 이런 당지(唐池)에서 일반 백성 즉 하느님, 천독(天毒) 자체의 의견을 저 태산(泰山)에서 ‘마이크’에 불과한
천자(天子)가 공표권을 지니고 발표하는 것이 합당한 것이지요.
그런데 “고조선 혹은 그 이전인 환국(桓國) 때부터 장당경(藏唐京)들이 있었다.”고 한단고기(桓檀古記)에서는
말하고 있습니다.
그 많은 장당경 가운데, 이 산동(山東)의 당지(唐池)가 장당경(藏唐京)일 가능성이 있다는 점입니다.
좌계가 굳이 이런 이야기를 하는 것은 산동(山東)에 중요한 고대문화 - 이른바 대문구(大汶口) 문화가 있고,
이 곳에 있는 물 - 문수(汶水)가 당지(唐池)인 ‘동평호(東平湖)’와소양호(昭陽湖)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문(汶)이란 글자가 물 수(水)에 “표현을 하다.”는 뜻의 문(文)이 합성되어 있어서 더욱더 그 개연성을 크게 해줍니다.
(나) 봉선(封禪)의 교류를 이루는 또 다른 산택통기(山澤通氣)의 개념.
따라서 원래의 봉선(封禪)의 개념은 저 산동 당지(唐池)에서 일반 백성인 하느님, 천독(天毒)들이 배달화백을 하면서
제천(祭天)의식인 선제(禪祭)를 축제로써 지내고, 그 결과를 마이크(mic)역할을 하는 천자(天子)가 태산(泰山)에서
봉제(封祭)를 지내는 그런 개념이었다고 봅니다.
좌계는 주역(周易)의 산택통기(山澤通氣)의 개념을 “영산화백과 배달화백의 교류”라는 차원의 의미도 있지만,
이처럼 “봉선(封禪)의 교류”를 위해서 태산(泰山)과 당지(唐池)가 교류하는 개념도 있었다고 봅니다.
이런 개념 파악이 중요한 것은 현실적으로 “중국대륙의 모든 일반 백성을 천독(天毒)으로 뫼시고, 이른바 악(樂)이란
‘배달화백’으로 통치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 이는 환국(桓國), 고조선(古朝鮮)으로 이어지는 ‘악(樂)’-주도 문명의
뼈아픈 역사적 경험이기도 하다 -이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화하(華夏) 사람들이 골수(骨髓) 깊게 자리잡은 예(禮)의 - 거창한 제례(祭禮), 의식(儀式)을 통한 세계정치를
뜻함 - 부분의 정점(頂点)인 천자(天子)를 악(樂) 주도문명의 천독(天毒)들의 ‘마이크(mic)로 쓰자! 는 세계정치의
혁신이 일어난 것이 바로 두 동명성왕(東明聖王) - 해모수 동명성왕과 고주몽 동명성왕이 이끄는 대륙 삼국의 재투입
사건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다) 결론
산동 백제는 문화지리적 조건 자체가 ‘세계 경영’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장소가 모두 갖추어져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곳에 백제가 들어서는 것은 백가제해(百家濟海) - 이는 “백나라가 결합해서 사해(四海)를 구제하자!”는
뜻임. 오늘날 유.엔(U.N) 과 그 실질적 내용이 같은데, 훨씬 발달한 세계정치의 개념이 있었다는 것이지요.
공자의 사당이 있는 곡부(曲阜) 바로 밑의 사성(泗城), 저 천자(天子)의 제천을 지내는 태산(泰山)과 천독(天毒)들이
제천하는 당지(唐池)가 다 있는 곳이니, 이를 껴안고, 중국대륙에서 700 여년간 백가제해(百家濟海)할만한 땅이
었던 것입니다.
나. 박산(博山)과 치수(淄水)로 본 ‘탄현(炭峴)과 기벌포(伎伐浦)’의 문제
(1) 탄현의 위치
그런데, “백제의 사비성이 어디인가?”하는 문제와 직결되어 있는 것이 바로 백제 멸망시에 충신(忠臣) 성충(成忠)이
의자왕에게 “만약 다른나라의 군사가 쳐들어오면, 육로(陸路)로는 탄현(炭峴)을 지나지 말도록 하고, 수군(水軍)은
기벌포(伎伐浦)의 언덕으로 돌아오지 못하도록하는 것이 옳겠습니다.”고 간곡히 당부한 그 위치인 탄현(炭峴)과
기벌포(伎伐浦)의 위치가 밝혀지면 사비백제 즉 산동백제의 설은 더욱 굳건해지겠지요.
그런데 태산(泰山) 동북향으로 보면 박산(博山)이란 산(山)이 있고, 또한 치수(淄水)라는 물이 있습니다.
현 산동성은 이 치수(淄水)와 박산(博山)을 합하여 ‘쯔뽀(=치박(淄博)시’가 들어서 있습니다.
‘백제 금동 대향로’와 같은 향로들에 보면 ‘연꽃잎이 하나의 산(山)으로 되어 있는 모양’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흔히들 박산(博山)-향로(香爐)라고 하지요.
아무튼 백제의 상징 자체가 이런 박산(博山)이고 박산(博山)-향로인데, 중요한 것은 이 박산이 결국 향(香)이 불타
는 불(=화(火))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실제 산동성 박산(博山)은 산동성 최대의 석탄(石炭) - 매장지입니다.
석탄이 채굴되는 곳의 강물은 탄(炭)의 영향으로 그 강물이 ‘검습니다.’
그런데 치수(淄水)의 치(淄)란 글자는 ‘검다’라는 뜻이지요.
결국 이 박산(博山)의 석탄을 깬 영향으로 물이 검어서 치수(淄水)가 형성되었다고 보면 됩니다.
중요한 것은 박산(博山)의 석탄을 하도 깊게 파서 산 가운데가 인공적으로 ‘깊게 가라앉아서 (=심(沈)) 깊은 골짜기’
가 이미 백제말기시대 때 형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탄현(炭峴)의 이름이 삼국사기 의자왕 조에 의하면 심현(沈峴)으로 되어 있는 것이지요.
백제 충신 성충(成忠)이 육로(陸路)로 들어오는 적군(敵軍)을 이 “탄현(炭峴) 혹은 심현(沈峴)에서 막으라! ”고 한
것은 화공(火攻)을 쓰면, 아무리 대군(大軍)이라도 몰살시킬 수 있다는 말과 다름이 아닙니다.
아무튼 이 박산(博山), 치수(淄水)에 의해서 또한번 “백제 수도 있는 곳에 대규모 연료 매장지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입니다.
(2) 기벌포(伎伐浦)의 위치
그렇다면, 기벌포(伎伐浦)는 어디인가?
(가) 오대호(五大湖)와 강물들의 흐름
산동의 연이은 오대호(五大湖) - 동평호(東平湖), 남양호(南陽湖)-소양호(昭陽湖)-독산호(獨山湖)-미산호(微山湖)
에는 주위로부터 다양한 강물들이 흘러들어 옵니다.
태산(泰山)과 몽산(蒙山)으로부터 다양한 문수(汶水)가 모여들어 중국의 고대문화 발상지의 하나인 대문구(大汶口)
에서 합쳐져서 황화 쪽에 있는 동평호(東平湖)에 한가닥, 그리고 중간에 운하(運河)가 있지만 - 고대에는 문수(汶水)
와 하남(河南)의 제수(濟水)가 합해진 호수 , 수호지(水湖志)의 양산박(梁山泊), 고대명칭인 거야택(鋸野澤)이 있는
곳이 있고, - 이 운하(運河) 지역에서 연이어 있는 사대호(四大湖)의 첫 호수인 남양호(南陽湖)로 들어가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미 말씀드렸다시피, 사수(泗水)와 백마하(白馬河)가 독산호(獨山湖)로 들어가는 것이지요.
그런데 한자(漢字)에서 양(陽)은 수지북(水之北)을 가르키는데, 이로써 미루어 보면, 소양호(昭陽湖)는 소수(昭水)가,
또 남양호(南陽湖)는 남수(南水)가 각각 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들어온다고 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처럼 줄지어 있는 산동 호수는 그 수량이 어마어마할 수 밖에 없고, 호수(湖水)와 강의 깊이가 깊을 수밖에
없습니다.
(나) ‘기몽(沂蒙) -모친호(母親湖)’ - 비주(邳州)-대기수(大沂水)-낙마호(駱馬湖)-신기하(新沂河) - 연미(燕尾)
산동(山東)의 지리를 알아야만, “왜 백제는 이곳에 거발성(居拔城) - 즉 중요한 수도를 두었나?!”를 이해할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계속 산동 지리를 살펴보도록 합시다.
아뭏든 연(連)이은 4대호와 나란히 길고 긴 몽산산맥(蒙山山脈)이 펼쳐지는데, 이 몽산산맥 중간 지점의 동쪽에는 아주 묘한 명칭의 호수가 있습니다.
이름하여 ‘기몽(沂蒙)- 모친호(母親湖)’!
이는 몽산산맥 오른쪽 중턱에 있는 호수인데, 왼편에 있는 몽수(蒙水)가 흘러들고, 또한 기수(基數)가 흘러들어오기
때문에 기몽(沂蒙)-모친호(母親湖)입니다.
그런데 기수(沂水)의 원천(源泉)은 이 호수의 동북방에 있는 기원(沂源)이라는 도시에 따로 있습니다.
결국 기원(沂源)과 기몽-모친호에 있는 물들이 합해져서 연(連)이어져 있는 4대호의 끝에서 흘러나오는 강물과
비주(邳州)라는 산동성 남쪽 끝의 도시 앞에서 만나게 됩니다.
이것이 대기수(大沂水)가 되어 산동성과 강소성을 구분짓는 애산(艾山) - 이는 연개소문과 설인귀가 전쟁을 했다는
장소로 이 싸이트에 소개되 어있음 -을 지나 강소성의 호수인 낙마호(駱馬湖)로 들어갑니다.
이 낙마호(駱馬湖)로부터 강물이 동류(東流)해서 신기하(新沂河)로 그 이름을 바꾸어 으로 동류(東流), 동해로
들어가는데, 이 하구(河口)를 연미(燕尾)라고 합니다.
말하자면 이 연미(燕尾)가 삼국사기에서 말하는 기벌포(伎伐浦)인 것이지요.
(다) 심강(沈江)
삼국사기에는 백강(白江)을 또다른 명칭으로 심강(沈江)이라고 하는데, 이는 위에서 보다시피 워낙 많은 강물들이
몰려들어서 그 깊이가 깊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런데 강물이 바다로 빠져 들어가는 하구(河口)는 대부분이 넓게 퍼져있습니다.
그 가운데 갈대 숲으로 유명한 하구(河口) 섬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신라와 당의 연합군이 들어올 때 “이 기벌포의 갈대를 잘라서 진흙길을 깔면서 행군했다.”는 기록을 보면 말입니다.
백제 충신 성충(成忠)께서는 “수군(水軍)은 이 기벌포(伎伐浦)에서 막아라.”라고 한 것은 강하구가 깊었다가 갑자기
낳아지는가 하면, 돌연 갈대숲이 되는등 변화무쌍하는 지역이 이 하구(河口)이어서, 현장지리를 모르는 적군(敵軍)
은 배를 몰기도 힘들거니와, 갈대 숲 속에 ‘쾌속선(快速船)’을 숨겨서 공격하기 좋은은 물론, 갈대밭 자체가 화공
(火攻)하기도 좋은 장소이기 때문입니다.
(라) 기벌포(伎伐浦)라는 명칭에 대해
문제는 기벌포(伎伐浦)라는 명칭입니다.
여기서 기(伎)는 ‘연극인, 무용 및 음악인’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이들이 이 하구(河口)에서 엄청나는 ‘갈대’를 늘 벌초(伐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백제는 4대호에서 늘 천독(天毒)들을 위한 계절마다 한달을 잡아 늘 제천(祭天)을 했고 따라서
기(伎) - 연극인, 음악인 무용수들이 늘 4대호에 살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들이 기벌포의 갈대를 벌초(伐草)하기 위해 배를 타고 자주 들렸기 때문에, ‘기(伎)들이 벌초(伐草)하는
포구(浦口)’라는 이름이 지어졌으리라 추정됩니다.
아무튼 이런 지형적인 조건을 보면, 사비성은 바로 산동백제를 뜻하며, 이는 바로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거발성
(居拔城)이 이곳임이 분명해지는 곳이지요.
3. 작명(作名)으로 이상하기 짝이 없는 - ‘기몽(沂蒙)-모친호(母親湖)
가. “원래는 소서노호(召西弩湖)였을 것이다”라고 추정
그런데 산동(山東)의 최대 명산은 황제가 제천(祭天)하는 태산(泰山)이겠지만, 이 몽산(蒙山) 산맥 역시 아주 유명
합니다.
공자(孔子)께서는 이 “몽산(蒙山)의 정상에 올라서 노(魯)나라가 작음을 알고, 또 태산(泰山)에 올라 천하(天下)가
작음을 알았다.”는 논어(論語)의 유명한 구절이 바로 이 몽산 산맥의 정산인 1156미터의 구몽정(龜蒙頂)이라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이 구몽정 부근에는 우리 민족이 좋아하는 산정(山頂)호수인 구룡담(九龍潭)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몽산산맥을 넘어서 황해(黃海)쪽의 산맥 중앙 산턱에 아주 큰 호수(湖水)가 있습니다.
그 이름이 ‘기몽(沂蒙)-모친호(母親湖)’입니다.
이는 한문(漢文)으로 된 작명치곤 좀 괴상한 명칭입니다.
“기수(沂水)와 몽수(蒙水)의 모친(母親)?? ” 참 이상한 표현입니다.
좌계는 이것이 원래 ‘소서노호(召西弩湖)’가 아니였겠는가 하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습니다.
고구리(高句麗)와 백제(百濟)를 만든 여왕중 여왕이신 소서노(召西奴) 어라하(於羅瑕) 그분의 이름을 붙인 호수
였는데, “ 고구리와 백제가 망하자, 이 호수 명칭이 바뀐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입니다.
이 호수가 자리잡은 곳은 행정적으로 기수현(沂水縣)인데, 도시의 서북(西北)쪽으로 15키로 미터에 이르를 정도로
큰 호수입니다.
나. 백제-열기구 비행장인 소서노호(召西弩湖)
좌계는 늘 삼국유사에서 “백제 전성기에 신인(神人)들이 (용(龍), 붕새 봉황등으로 모습을 한 ‘헬륨 가스(gas) 열기
구’를 타고 오산(吳山: 회계산), 일산(日山: 울릉도),, 부산(浮山: 바이칼)로 날어다녔다.”는 그 출발지가 어디인가?“
에 대해서 궁금했습니다.
그런데, 이 열기구-비행장은 착륙(着陸)의 안전성 때문에, 반드시 호수(湖水)가 필요하지만, 일반인의 눈에 안띠는
그런 장소여야하는 조건이 자연히 붙게 됩니다.
이런 면에서 좌계가 볼때에는 ‘백제의 열기구-비행장’이 바로 이곳 소서노호(召西弩湖)라고 봅니다.
말하자면, 영봉자(寧封子)의 용교비행(龍蹻飛行)의 도(道) - 고대의 열기구가 나는 비행장이 이곳에 있었던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좌계가 “청성산(靑城山)의 용교비행(龍蹻飛行) 수수께끼 -영봉자(寧封子)와 황제(黃帝)”라는 제목
으로 이미 상세한 내용을 올려 놓았습니다. 참조하시기를 바랍니다.)
이런 몽산(蒙山) 산맥 한 가운데서 용(龍)이나 붕새, 그리고 봉황새가 날라가는 모습을 혹 등산객이 보아도 “참으로
상서(祥瑞)로운 것을 성산(聖山)에서 보았기 때문에, 대단한 길조(吉兆)다.!”하고 더 이상 궁금증을 발휘하지 않게
하는 위치이기 때문입니다.
다. 은작산(銀雀山)
또 하나 우리의 주의를 끄는 것은 이 몽산 산맥 가운데 은작산(銀雀山)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여기에서 손빈병법등등의 각종 병서(兵書)들이 발견이 되었다는 사실이 중요합니다.
이는 이 “은작산(銀雀山) - 나아가 몽산 산맥 전체를 무(武)의 성산(聖山)으로 생각했다.”는 것이 들어나는 것입니다.
백제 이전에 이미 - 무(武)의 성산(聖山)으로 인식이 되었기에, 이곳에 전략가들이 많이 배출된 것이라고 보고,
또 명전략가들이 이곳에 묻히기를 바랐던 성산(聖山)임이 들어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태공망 여상(呂尙)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는 세계정치와 정치전략, 군사전략을 톱합하는 ‘정치전략가’로써 주(周)의 역성혁명을 이루게 한 사람인데,
이 산동(山東)에 제(齊)라는 봉지(封地)를 받았기 때문입니다.
그의 전략 사상은 오늘날도 육도(六韜 - 화살(책략을 뜻함)을 넣어두는 여섯가지의 화살 주머니(전략 분야를 뜻함)
라는 책이 내려오고 있을 정도입니다.
따라서 이런 태공망의 병법을 흠모하는 사람들이 소서노호(召西弩湖) 주변의 몽산(蒙山)에 몰려들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 사실 제갈량도 기수(沂水) 주변이 그 고향인데, 제갈공명의 천재적인 전략은 모두 “백제에 기생하자”로 압축할수
있다고 봄, 즉 서촉(西蜀)으로 들어간 것 등등이 그것임.)
이 말이 중요한 것은 백제 전성기 때일수록 이곳에서 무(武)의 성산(聖山) 답게 철통같은 어떤 수비가 있지 않았는가
하는 점입니다.
이는 전부 저 소서노호(召西弩湖)에서 뜨는 백제의 열기구를 보호하기 위함이었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4. 5방향- 위성 외곽도시의 배정
이제 이 거발성 백제(산동 백제)의 사성(泗城)이라는 주택성(主澤城)과 비성(肥城)이라는 보조 왕성(王城)인 비성
(肥城)을 송준희 선생께서 찾으셨기 때문에, 우리는 북사(北史)에서 묘사하고 있는 5방향의 - 위성 외곽도시를
배치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 동방(東方) 득안성(得安城) - 백마관(白馬關)과 래(萊)
산동백제 즉 거발성(居拔城)의 주왕성(主王城)이 독산호(獨山湖)로 들어가는 백마하와 사수(泗水) 사이에 있는
사성(泗城)이기 때문에, 외곽 위성도시의 동방(東方)은 이 사성(泗城)의 동방입니다.
그런데, 운영자이신 송준희 님이 올리신 지도를 보니깐, 동방에 백마관(白馬關)이 있습니다.
좌계는 이것이 몽산(蒙山)을 지키는 관문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산동성 동쪽에 래주(萊州)가 있습니다.
좌계가 이 싸이트(site)에 와서 처음 글을 쓴 것이 “비류(沸流)의 미추홀은 래(萊)인 듯”이란 글이었습니다.
이는 양 직공도에 “백제는 래이(萊夷)이다.”란 개념이 반영되어 있는 것이지만, 사천(史穿) 김성겸 님의 ‘한반도
대한국(大漢國 = 대왜(大倭) ) 설’을 읽고 나서는 “이 래(萊)가 한반도에 사는 대한국 혹은 대왜와의 접속을 위한
항구가 아닌가?“는 생각이 강해졌습니다.
대한국(大漢國)이 중국의 ‘대륙 삼국’을 튼튼하게 백-업(back-up)시키고 있는 것이 지정학적으로 자명하기 때문
입니다.
그래서 래(萊)는 삼한관경(三韓管境)을 득안(得安) -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래(萊)는 국제 공용 도시로써 백제가 관리한 것이지요.
나. 서방(西方) 도선성(刀先城)은 동명(東明)
황하는 궤(几)자 모양으로 흐르다가, 수평(水平)으로 잠시 흐르고, 이윽고 북동(北東)을 향해서 흐릅니다.
그런데 송준희 님께서 올려놓은 지도를 보니깐 막 북동(北東) 쪽으로 황하가 방향을 꺽어서 가는 지역에 동명(東明)
이라는 지명이 있더군요.
좌계는 이 도시가 두 분의 동명성왕(東明聖王) 즉 해모수-동명성왕과 고주몽-동명성왕의 신사(神社)가 있는 곳이
라고 생각합니다.
(1)
동명(東明)은 일반적으로 ‘태양(太陽)’을 뜻합니다.
그런데 동(東)의 금문(金文)에는 매우 특이한 글자가 나옵니다. 그것은 사람이 어떤 짐을 허리 위에 ‘동여매고’있는
모습입니다. 굳이 글자를 만들자면 ‘(身+東)’의 뜻이 되지요.
이는 자유롭게 국경 없이 “소도(蘇塗)-큰길(健吉)을 돌아다니는 것‘을 뜻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고구리 왕들은 서토(西土)의 왕에 대해서 “동주(東主)”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자유이민의 주인”이란 뜻이 강하다고
좌계는 봅니다.
또 부여의 동맹(東盟)도 “국경없이 천독(天毒)들이 이동하는 것‘을 보호(保護)하자”는 맹서로 봅니다.
아무튼 두 분의 동명성왕(東明聖王)께서는 중국대륙의 ‘세계정치’인 예(禮)의 치명적인 약점을 악(樂) 다시 말하면
배달화백으로 치유할수 있는 ‘세계체제의 혁신’을 이룬 성인(聖人)인 것이지요.
이런 성인의 신사(神社)를 황하(黃河) 한 가운데 차려놓는 것은 당연합니다.
이 동명(東明) 신사(神社)는 결국 이렇게 말하는 것이지요.
“황하(黃河)가 키워낸 화하(華夏)-한족들이여! 너희들은 왜 진(秦)과 같은 이민족(異民族)의 혹독한 폭정 앞에서만
겨우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냐?! 또 너희들이 직접 ‘중국대륙’을 다스릴때는 왜 그다지도 민족-희석화 작업을 하면
서도 창조성의 원천인 다양성을 죽이면서도 빈부(貧富)의 격차가 벌어지게 하는가? 우리는 모든 종족의 문화와
그 그릇인 모국어를 유지시키면서도 천독(天毒)으로 모셔 백가제해(百家濟海)를 이루지 않는가?
왜 ‘이동하는 밝음(=동명)의 빛’을 잃었는가? 너희들이 이 빛을 받아들일 때까지 황하가 푸르러지는 것은 백년하청
(百年河淸)이 아니겠는가?!“
하고 반성(反省)의 원점(原點)을 상기시킨 것이 바로 이 서쪽 외곽도시인 도선성(刀先城)인 동명(東明)인 것입니다ㅣ.
그리고 이 성지(聖地)이 조금이라도 불온한 훼손(毁損) 행위가 있게 되면, “먼저 칼을 쓸수 있는 도선성(刀先城)”을
세운 것이지요.
나중에 다시 검토하겠지만, 이는 하남 위례성(尉禮城)에서 보면, 동방(東方)의 외곽-위성도시가 됩니다.
중국대륙 - 당시 사해(四海) 천하(天下)의 안정성을 이 동명(東明) 신사가 보장하는 이른바 득안(得安)게 하는
득안성(得安城)이기도 한 것이지요.
다. 남방(南方) 구지하성(久知下城)은 낙마호(駱馬湖)가 있는 현 숙우시(宿迂市)이다.
백제의 수도 남방에는 다양한 민족들이 흘러들어올때, 구지하(久知下) 즉‘굿’을 하면서 축제를 벌리는 도시가 있는데,
그 장소 자체가 낙마호(駱馬湖)로 보여집니다.
왜냐?
낙마(駱馬)는 낙타(駱駝)를 뜻하는데, 유목민들이 천상(天上)의 동물로 가장 존귀하게 치는 동물인 것이지요.
낙타는 코는 신기하게 구불 구불하게 되어 있어서 열사(熱沙)의 사막을 가거나, 혹한의 빙하(憑河)를 가거나 상관
없이 외부의 찬공기를 그 구불구불한 코를 통해 들어오기 때문에, 찬 공기든지 더운 공기든지 식히고, 덥혀서 들어
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눈의 각막(角膜)이 두터워서 모랫가루, 빙하(氷河) 가루가 눈을 때려도, 멀쩡히 뜬채로 갈수 있는 동물입니다.
뿐만 아니라, 육봉(肉峰)에 비축한 기름으로 장거리 여행을 할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낙타(駱駝)가 신기하게도 좋은 음악(音樂)을 들으면, 눈물을 흘리는 습관이 있습니다.
이런 면에서 유목민들은 낙타를 성(聖)스런 동물로 알고 있는 것이지요.
특이 먼 곳에서 항해(航海)나, 또 사막을 건너온 사람들에게는 낙마(駱馬), 낙타가 자신들의 처지(處地)와 너무나
흡사한 것이지요.
따라서 이 낙마호(駱馬湖)는 산동백제로 몰려드는 다양한 종족들에게 ‘굿’을 해주기 위한 최고의 명칭이 된 것이
지요.
이 낙마호 근처의 도시 이름이 바로 숙우시(宿迂市)인데, 여기서 우(迂)는 우회(迂廻)에서 보다시피 ‘꺽어들다’라는
개념입니다.
이는 저 사대호(四大湖)로 몰려든 강들과 소서노호(召西弩湖)의 기수(沂水)가 비주(邳州)근처에서 합쳐져서 낙마호
(駱馬湖)로 흘러들어와서 잠시 숙박(宿泊)하다가 갑자기 ‘꺽어져서’ 동류(東流)하기 때문에 숙우시(宿迂市)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이지요.
흥미있는 것은 우리가 ‘잠을 자는 것‘을 숙박(宿泊)이라고 표현하는데, 엄밀히 문자(文字)로 보면 ’박(泊)인 호수
에서 잠자는 것‘을 뜻합니다.
이는 수상(水上)생활, 혹은 선박을 타고 오래 항해 하는 사람들이 바다나 강이 아닌 호수(湖水)에서 잠을 자는 생활
습관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곳 낙마호(駱馬湖)가 있는 숙우시(宿迂市)가 바로 구지하성(久知下城)이 되는 것이지요.
마. 중방(中方) 고사성(古沙城)- 신기하(新沂河) 주변의 모래
아무튼 이 낙마호(駱馬湖)에 있던 강물은 숙우시(宿迂市)에서 방향을 꺽어서 동류(東流) - 신기하(新沂河)로 바뀝
니다.
그런데 백제의 외곽도시의 중방(中方)은 ‘강물의 흐름이 흐르는 방향’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신기하(新沂河) 주변에 고대에는 모래들이 있었다고 봅니다.
이 고사성(古沙城)이 왜 “군사학적으로 위력이 있는가?!”를 일단 알아야할 듯 합니다.
인마(人馬)는 기본적으로 모래에서는 일반 육지에서보다 잘 달리지 못합니다.
특히 인공적으로 ‘모래 방죽’을 만드면 더욱더 그러합니다.
모래 방죽 사이에 흘르들어오는 하천(河川)을 만들고, 이 사이에 쾌속정(快速艇)을 깔아드면, 적군(敵軍)은 난공불락
(難攻不落)의 요새지로 알게 되는 것이지요.
실질적으로 백제(百濟)와 삼위일체의 나라인 고구리는 비사성(卑沙城)이란 난공불락의 성(城)이 있었는데, 이 비사성
(卑沙城)의 뜻은 ‘낮은 모래 성’입니다.
바로 거발성-백제 즉 산동백제의 고사성(古沙城)과 똑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었지요.
따라서 인마(人馬)가 겹겹이 쌓여진 ‘모래방북’ 때문에 시야(視野)가 가림은 물론, 쾌속하게 공격할 수가 없고,
수많은 쾌속정에 의한 기동부대를 숨길수 있는 곳이지요.
따라서 백제 충신 성충(成忠)이 “기벌포를 막으라”는 것은 기벌포 뿐만 아니라, 이 신기하 주변의 모래성까지 포함
되어 있다고 좌계는 봅니다.
기벌포(伎伐浦)와 신기하 주변의 고사성(古沙城)의 결합은 군사(軍事)-지리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것이지요.
바. 북방(北方) 웅진(熊津)
그런데, 이 산동(山東) 백제에는 고대 중국의 사대강이라고 치는 제수(濟水)가 흘러들어옵니다.
황하(黃河)는 홍수 때문에 수없이 방향을 바꾸는데, 제수(濟水)의 원천(源泉)을 뜻하는 제원(濟源) 시(市)가 현
하남성에 있긴 하지만, 제원시(濟源市) 자체는 황하 북쪽 - 말하자면, 하남 위례성의 좌측에 있는 소림사가 있는
숭산(崇山)에서 황하를 건넌 그 위치에 있습니다.
이곳 왕옥산(王玉山 혹은 王屋山)에서 발현하여 길게 내려가다가 산동의 문수(汶水)와 만나, 수호지(水湖志)에서
유명한 양산박(梁山泊)을 이루는데 - 옛날 명칭이 거야택(鋸野澤) 임. - 이 강이 산동성의 현 제남시(濟南市) 북쪽을
흘러갔기 때문에, 제남시란 명칭이 생간 것입니다.
따라서 산동 백제의 웅진(熊津)은 현재의 제남시(濟南市)로 보는 것이 합당할 것입니다.
그런데 백제가 산동에 있을 때에는 “이 제수(濟水)가 오늘날 래주(萊州)- 만(灣)의 동영시 쪽으로 흘렀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좌계는 하고 있습니다.
즉 홍수에 의해서 격(激)하게 그 물길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흐름을 하고, 깊고 안정되게 흘렀던 것이지요,
이렇게 보면, 저 산동 최대의 석탄 생산지인 박산(博山)에서 연원하는 치수(淄水)와도 만날 수 있는 것입니다.
“웅진(熊津)이 서북부에 있었다.”는 것은 결국 오늘날 제남시(濟南市)가 태산의 북서 쪽에 있기 때문입니다.
다양한 외국 사람들이 와서 결승(結繩)으로써 ‘모국어를 유지한 채’ 타국의 언어를 배웠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배달 - 화백회의가 필요하면, 더욱더 제수(濟水)를 타고 서쪽 으로 이동 - 양산박(梁山泊)과 동평호(東平湖)
를 통해서 수상연단을 타면서 하면 되는 것이지요.
사. 결론(結論)
우리는 산동백제, 즉 북사(北史)에서 말하는 거발성(居拔城)의 외곽도시들을 재배치해 보았는데, 백제가 ‘세계경영
- 이른바 백가제해(百家濟海) 하기 위해서는 이런 외곽도시의 배치가 분명히 필요함을 느낄수 있기 때문에,
다시한번 시비성이 곧 산동백제 임을 알게 되는 것입니다.
5. 소서노(召西奴) 어라하(於羅瑕)의 세(3)-백제수도 동시(同時) 건설의 가능성
좌계가 북사(北史)를 바탕으로 백제의 세 수도의 위치를 가늠하면서, 가장 놀란 것이 외곽- 위성도시의 타당성입니다.
아직까지 하남- 위례성 즉 하남(河南) 몽양시의 다섯 외곽-위성도시에 대해서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역시 백제(-이는 고구리, 신라가 자연 포함된다.)가 백가제해(百家濟海)를 - 이는 세계경영이라는 고대적 표현이다.
- 함에 반드시 필요한 외곽도시를 하남 위례성에 사방에 걸쳐서 두루고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런데, 오방향 위성 외곽도시의 명칭이 맨 처음, 하남 위례성을 개발할 때, 적절한 포진(布陣)이었는데,
그 다음 고마성-백제(사천-백제)를 개척할때에도 우연히 적절한 포진이 되고, 나중에 거발성-백제(산동 백제)를
개척할때에도 오비이락(烏飛梨落) 격으로 또한번 잘 들어맞았다고 과연 할 수가 있겠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좌계가 생각할 때에는 이는 우연치고는 지나친 우연이라고 봅니다.
다시 말해서, 소서노(召西奴) 어라하(於羅瑕)께서 처음부터 사천(四川) 백제, 하남 위례성 백제, 산동 백제(百濟)의
문화지리, 군사지리, 경제지리를 보고, 공통의 특징을 잡아내서 다섯 외곽도시를 두지 않으면, 우연의 일치로 다섯
외곽도시가 정확하게 들어맞기가 힘들다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미리 동시에 백제의 세 수도(首都)가 계획 된 것이 틀림없다고 좌계는 생각합니다.
이런 면에서 보면,
각각 세 수도의 개척자들의 이름이 들어납니다.
하남 위례성 : 개척자 온조(溫祖)
산동 백제(거발성) : 개척자 비류(沸流)
사천 백제(고마성) : 개척자 오리진(吳理眞)
이 세분이 소서노(召西奴) 어라하가 고주몽 동명성왕과 결혼생활을 할때부터, 이미 세 수도에 대한 총괄적인 백제
건설 계획 - 따라서 당연히 세 수도의 다섯 외곽 위성도시가 있게 된다. -에 따라 세 개척자가 각각 맡은 수도를
개척하고 나서, 유리왕과 예씨가 오자, 이미 세워진 하남 위례성에 집결했다고 봅니다.
비류 왕자께서는 계속 산동 백제에 왕래하면서 혼신의 힘을 기울려 다섯 위성도시를 건설하였겠지요.
그 기점은 물론 동방(東方)의 위성도시인 득안성(得安城)인 래주(萊州)였겠지요.
이것이 밑(의)의 연음(延音)인 ‘미추’이고, 미추홀이었으리라고 보는 것입니다.
백제(百濟)의 전신(前身)인 마한(馬韓)에 대한 심층(深層)-이해(理解)
좌계가 “백제의 수도(首都)가 일수도(一首都) 이왕성(二王城)가 되어 있다.”
나아가 “이런 백제가 결국 고구리, 신라와 함께 삼위일체의 나라이기 때문에, 고구리-신라에 확장 적용해도 된다.”
라는 생각을 품게 되기까지에는 여러 가지 추론-과정이 있었습니다.
그 중 하나는 ‘삼국지(三國志) 권(卷)30-위서(魏書)30-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의 마한(馬韓)에 들어나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최근 인터-넷(inter-net)의 여러 해석본을 보고, 적잖이 놀란것은 “아...강단(講壇) - 사학자(史學者)들도
이렇게 해석하니깐, 마한(馬韓) 나아가 삼한(三韓)의 계승 발전국가인 고구리, 백제, 신라에 대해서 전혀 엉뚱하게
생각하고 있구나.!”하는 생각을 품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전문(全文)보다는 ‘잘못 해석하고 있는 중요한 대목’을 집중적으로 발췌해서 재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마한(馬韓)은 백제의 전신(前身)이고, 이와 삼한관경(三韓管境)으로 맺어져 있는 고구리, 백제, 신라
역시 똑같은 연합 - 계승체이기 때문입니다.
1. 언어(言語)와 국제성(國際性)
먼저 거론하여야 할 것이 바로 ‘마한(馬韓)과 관련된 언어(言語)’입니다.
이 이야기는 좌계가 “‘백잔(百殘)=백제 아잔(阿殘)의 줄임말?’ - 광개토태왕의 인품과 관련”의 제목으로 쓴 글에
사천(史穿) 김성겸 님께서 ‘댓글’로 올린 글을 좌계가 해설을 하고, 사천 선생님께서 “해석, 해설에 무리가 없다.”고
한 그 내용입니다.
그대로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그런데 이 이야기가 중요한 것이 ‘마한이 진한(辰韓)에게 땅을 떼어주어서 들어선 자리’가 오늘날 중국의 강소성
(江蘇省) 지역임을 나타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좌계가 원문(原文)의 해석을 그대로 옮깁니다 만, 워낙 중요한 이야기가 숨어있기 때문에 보주(補注)를 점가 하고,
그 앞에 별표를 붙이겠습니다.
즉 ‘(*) 보주(補注)’하는 형식이 되겠습니다.
가. 원문(原文)과 해석
#三國志卷30-魏書30-烏丸鮮卑東夷傳第30-韓(辰韓)-07/05
삼국지 위서 오환선비동이전 제30 한(韓) 진한(辰韓) 조(條)
(1) <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 <馬韓>割其東界地與之.
진한(辰韓)은 마한(馬韓)의 동쪽에 있었다. 그곳의 늙은이(=기로(耆老))들이 세대를 넘어 전(傳)하되, “옛날 진역
(秦役 : 진(秦)에 의한 통일전쟁을 뜻함)을 피해 망명(亡命)하여 ‘스며들듯이 차츰 한국(韓國)에 왔다(=래적(來適))고”
스스로 말했다. 마한(馬韓)은 그 동쪽 땅(=동계(東界))을 떼어내 주었다.
(*) 보주(補注) 1. 영토(領土)의 무상(無償) 대여(貸與) 현상에 대해...
이 구절에서 우리를 경악케 하는 것은 마한(馬韓)이란 나라가 망명자들에게 “영토(領土)를 무상으로 떼어주었다.”
라는 사실입니다.
대부분 영토를 ‘인계’받을 때에는 전쟁을 해서, 피아(彼我) 간(間)에 살상(殺傷)을 한 이후에, 강제적으로 땅을 뺐는
것이 역사의 항례(恒例)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한(馬韓)이 무상으로 땅을 떼어 주었다.”고 하는 것은
그러한 “할기동계지여지(割其東界地與之.)”- “그 동쪽 땅을 떼어서 주었다.”는 행위를 해도 되는 내부 경제-씨스템
이 있었음을 뜻합니다.
격렬한 경쟁관계나 전쟁의 경험이 없는 환상적인 문명지대가- 예를 들면 저 북-아메리카의 인디언의 경우 - 아니라,
춘추전국, 진(秦)의 통일전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그랬다는 것이 더욱 우리를 경악케 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북한에서 난민(難民)이 발생하여 내려올 때, 과연 남한(南韓)에서 ‘땅을 떼어 줄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마한(馬韓)이 “떼어주어도 내부 씨스템(system)이 충격을 받지 않는 그 무엇이 있음을 뜻합니다.”
또한 이를 사서(史書)에 기록하는 사람 역시 - “환상적인 사회상을 예찬(禮讚)하는 것이 싫어서 ”그곳의 늙은이
(=기로(耆老))들이 세대를 넘어 전(傳)하되,....“라고 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중국의 황제를 예찬하는 봉건-씨스템(system) 이외의 차원에서 봉지(封地)를 떼어 주는 것이 있었다.”고 상세히
이야기하면, 이는 반체제 운동이고, 잘못하면 궁형(宮刑)을 당하는 사례까지 있으니깐 말입니다.
- 사마천(司馬遷)이 그 사례임.
有城柵. 其言語不與<馬韓>同.
(이 진한(辰韓)은) 성책(城柵)이 있었으며, 그 언어(言語)는 마한(馬韓)과 같지 않았다.
(*) 보주(補注) 2. 책(柵)에 배(拜)에 대해서.
여기서 우리가 유의해서 봐야할 점이 바로, 언어(言語) 이야기를 하기 직전에 “성책(城柵)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맥락(脈絡)입니다.
성책(城柵)이든 책성(柵城)이든 중요한 것은 모두 “책(柵)”이란 용어가 들어간다는 점입니다.
흔히들 이를 ‘나무 울타리로 된 성(城)’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크게 잘못 아는 것입니다. 책(柵)은 기본적으로 ‘외부의 군사적 공격에 대비한 성(城)’의 개념과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왜냐? 재료가 나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화공(火攻)에 견딜 수 없는 것이지요.
이 책(柵)은 두 가지 경우에 그 빛을 보는 구조물입니다.
부두의 접안시설이 주로 나무로 되어 있습니다.
또 하나는 결승(結繩)하기 위해, ‘꼰끈(blade)의 판(板)’을 종횡무진(縱橫無盡)하게 움직일때, 이들이 잘 흐르도록
하는 활강(滑降)하는 특수 목벽(木壁)을 책(柵)이라고 합니다.
아시아 고대에는 이런 ‘활강(滑降)하는 책(柵)’을 만나면, 모국어(母國語)를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언어소통이 가능
해지게 하기 때문에, 합장(合掌)하고 절을 하는 습관이 있었습니다.
그것을 한자로 배(拜)라고 합니다.
이 ‘배(拜)’란 글자는 손 수(手) 변(邊) 옆에 오른 편에 있는 옆으로 네 개 금이 가있고, 이를 수직(垂直)으로 관통하고
있는 글자가 있습니다.
이를 ‘신속(迅速)히 흐를 (후)’라고 읽는데, 말하자면, 이런 (후)가 줄줄이 이어져 있는 것이 책성(柵城)인 셈이지요.
이 (후)자는 대단한 벽자(僻字)여서 아주 큰 자전(字典)이 아니면, 잘 안나오는 글자입니다.
아무튼 이런 책성(柵城)이 있은 다음에, 언어 이야기가 나오는 것이 주의해야할 점입니다.
삼국사기를 읽어보면, 우리민족이 성(城)을 쌓을때에는 특별한 주적(主敵)이 없는데도, 어마어마한 길이의 책성
(柵城)을 쌓는 것이 가끔 등장합니다.
이는 적(敵)의 공격에 대비한 성(城)이 아니라, 즉 언어가 안맞는 이민족(異民族)의 대량유입지역에 그 소통을
위해서 쌓은 성(城)이었던 것이지요.
그래서 이 ‘유입통로로 들어오는 이민족(異民族)들이 모두 배(拜) 했겠지요...
名<國>爲<邦>, <弓>爲<弧>, <賊>爲<寇>, <行酒>爲<行觴>.
(그래서 국(國)을 일컬어 방(邦), 궁(弓)을 일컬어 호(弧: ‘활’과 발음이 유사함에 유의)라 했고, 적(賊)을 구(寇)라고
했다. ‘술을 돌리는 행주(行酒)’를 ‘잔(盞)을 돌리는 행상(行觴)’이라고 했다.
相呼<皆>爲<徒>,
서로 ‘여럿’을 부르는 것을 ‘도(徒) - ’두레‘혹은 ’화랑도(花郞徒)의 도(徒)와 같음에 유의 - 라고 했다.
有似<秦>人, 非但<燕>·<齊>之名<物>也.
(이러한 진한(辰韓)의 언어는 전체적으로) 진(秦)나라 사람의 말과 그 인근(隣近)에 있는 연(燕)나라, 제(齊)나라와도
비슷했다. 단 진(秦)나라와 연(燕)및 제(齊)는 사물(事物)에 대한 명칭이 서로 달랐을 뿐이다.
(비단(非但)이라는 용어는 부분(部分) 제외(除外)를 나타내는 접속사(接續詞)임)
名<樂浪人>爲<阿殘>; 東方人名<我>爲<阿>,
낙랑인(樂浪人 - 강길운 선생은 이를 ‘박달’의 향찰(鄕札)이라함 즉 ‘박달’ 사람을) (진한(辰韓)사람들은 아잔(阿殘 :
아잠 - 즉 계레 혹은 일가친척)라고 했다.
동방사람들은(=동방인(東方人), - 이는 진(秦)의 동쪽에 있는 제(齊), 연(燕)을 포괄해서 칭하는 것임)
‘나’를 뜻하는 아(我)를 ‘아(阿)’라고 하였는데,
- 참고) 아잔(阿殘)이 ‘겨레’혹은 일가친척이므로 ‘아잠(=아잔(阿殘)’과 관련해서 보면 잔(殘: ‘잠’)이 ‘연대(連帶)’의
뜻이 있다고 할수 있음. 왜냐하면 아(阿)가 소아(小我)이면 ‘잠’이란 말에 의해서 대아(大我)가 되기 때문임 -
謂<樂浪人>本其殘餘人.
따라서 진한(辰韓)사람들이 ‘낙랑인(박달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은 (진역(秦役)의 화(禍)가 미치는 곳에서 - 당시
연(燕), 제(齊)지역, 오늘날 화북과 산동을 뜻함 - 피란(避亂)오지 않고) 본래(本來)대로 남아있는 사람을 뜻한.
今有名之爲<秦韓>者. 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오늘날 진한(辰韓)이라고 일컫는 자들은 처음 여섯 나라로부터 시작되었는데, 분파(分派)되어 12개 나라로 퍼져나
갔다.
나. 향찰(鄕札)의 신비(神秘): ‘아(阿)와 잠(殘) - 매금(寐錦)’의 연관관계에 대해서
아무튼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에 들어난, 마한(馬韓)과 진한(辰韓)이 자리잡은 것은 나중에 다시 검토하겠지만,
오늘날 중국 동해안인 것은 분명합니다.
문제는 이들이 “‘나(=아(我)’라는 말을 ‘아(阿)’라고 발음했다.”는 사실이 무척 중요합니다.
이는 고대에 ‘고래와 대화를 해서 고래가 볼 때, ’어미(=모(母)‘로 생각되는 여자를 ’아미부인‘, 또 고래가 볼때 친구
같은 사람을 ’아니 부인‘, 또 고래가 볼 때, ’아이‘로 보이는 여자를 ’아이 부인‘이라 칭하고, 이를 통칭 ’아-씨‘라고
부르고,
’아씨‘가 아닌 이상 “왕비(王妃)가 될수 없다.”는 북방 유목민의 오래된 전통과 직결되는 어소(語素)가 ’아‘이기 때문
입니다.
좌계는 “이런 ‘아-씨’들이 주로 결승(結繩)을 책성(柵城)에서 꼬으면서, 순수한 표음문자(表音文字: 이것이 가림토
라고 생각함)를 시각화시켜 보여주는 원천(源泉)이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 ‘아-씨’들이 ‘결승(結繩)-가림토’의 확산을 가르켰던 것으로 보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들이 배달화백과 관련해서, 사회통합을 할때, 각기 맡은 역할에 따라, 범(=虎) 역할이니 곰(=熊) 역할이니
하는 임무가 갈라진다고 봅니다.
여와와 복희가 용신(龍身: 뱀모양을 뜻함)이 서로 얽혀 들면서 꼬여있고, 이 사이에 어린아이가 그려져 있는 벽화가
있는데, 이 그림을 설명하는 곳에 “이는 결승(結繩)을 뜻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또 은(殷)나라때 벽화를 보면, 두 호랑이 입(=구(口))사이로 어린아이 얼굴이 그려져 있는그림이 발견이 되는데,
이를 ‘어린아이’를 잡아먹는 도철(饕餮)의 형상을 그린 것이라고 문화-인류학자들은 말하고 있지만,
좌계 생각에는 천부당 만부당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왜냐?
인류는 ‘자신의 어린아이’를 잡아먹는 괴수(怪獸)를 절대로 숭배(崇拜)하지 않으니깐 말입니다.
이 이상한 그림을 이해하려면, 입(=구(口)으로 들어가는 것은 ‘음식’이지만, 입에서 나오는 것은 ‘말(언어(言語)’라는
역발상이 필요하리라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결승-가림토’체계 즉 ‘순수 표음문자를 시각화시키는 체계’에서 “범-언어가 ‘국제인’을 만들어낸다.”는 것을
벽화로 그린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 말은 진한어(辰韓語)의 ‘아(阿)’가 오늘날로 하자면, ‘국제인(國際人) 혹은 세계인(世界人)의 개체(個體), 개인
(個人)’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솔본 님’께서 규명한 ‘아잔(阿殘)=아잠’의 뜻에는 ‘잠(殘)’이란 뜻이 이런 ‘국제인의 개체’들이 서로 호흡을
나누는 사이 즉 ‘겨레’로써 ‘친척화’되는 것이라면 ‘연대, 소통가능’등의 뜻이 있다고 보는 것입니다.
이런 면에서 볼 때, 좌계는 우리 고대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신라(新羅)의 매금(寐錦)을 향찰(鄕札)로 봅니다.
즉 앞글자 매(寐)를 훈(訓)으로 읽어 ‘잠자다(sleep)’의 ‘잠’으로 보는 것이지요.
그렇게 되면 매금(寐錦)의 뜻은 결국 “이 문(門)으로 들어오라. 말아라.”라는 개폐(開閉)의 권리를 뜻하는 ‘잠금’이
된다고 보는 것입니다.
좌계는 비록 고언어학, 비교언어학의 문외한(門外漢)이긴 하지만, 배달화백을 오래 연구해온 경험으로 신라왕의
역할이 북두칠성으로 비교되는 ‘7개의 영성문(靈星門)’에서 “너는 들어와도 좋다. 너는 들어오면 안된다.”고 하는
문을 열고 닫는 개폐권을 지니고 있음을 압니다.
이런 7개의 영성문은 배달화백에 참여한 그 당시의 세계인, 국제인이 사회적 위기에 봉착했을 때, ‘이 위기를 해결
하는 ’말발‘을 보상받는 체계를 뜻합니다.
국제사회에 기여 못한 사람은 문(門)늘 신라 매금(寐錦) 즉 ‘잠금’왕이 문자 그대로 문을 잠그어서 “너는 국제사회에
기여한 바가 없으니, 위기가 와도 보상(報償)받을 자격이 없다.”라고 ‘말발’을 첨가적으로 주는 것을 막고,
국제사회에 기여한 사람은 문을 ‘열어’주어 기여에 비례한 ‘말발’로써 보상해 주는 것이지요.
아무튼, 왜 삼한(三韓)이 중국에 있었다면, 그들이 한자(漢字)를 읽는데 불편함이 없을터인데, “굳이 향찰(鄕札)을
쓰는가?”하는 것을 생각해 봅니다.
좌계는 그것이 삼한(三韓) 사람과 한족(漢族)을 구분해내는 ‘자연스러운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낙랑(樂浪)이란 글자를 읽어나갈 때, 한족(漢族)은 ‘낙랑’이라고 읽고, 삼한(三韓) 사람들을 ‘박달’ 혹은
‘배달’로 읽겠지요.
만약 ‘박달’이렇게 읽으면 당시대 삼한(三韓) 사람들은 “흠 저사람은 우리의 아잔(阿殘: 친척겨레) 즉 국제인, 세계인
이구나...”라고 생각하겠지요.
그리고 ‘낙랑’ 이렇게 읽으면, “흠...중화우월주의에 갇혀사는 한족(漢族)이구만...”이렇게 생각하겠지요.
이처럼 한족(漢族)과 삼한인(三韓人)을 자연스럽게 구분하는 장치로써 향찰(鄕札)이 발달되었다고 보는 것입니다.
다. 연소자(年少者)가 항상적으로 담당하였던 ‘결승(結繩)-가림토’ - 운영(運營) - 연(鳶)
그런데, 이런 마한(馬韓)에 대한 특이한 구절이 나옵니다.
원문(原文)은 다음과 같습니다.
1) 其國中有所爲及官家使築城郭,
2) 諸年少勇健者,
3) 皆鑿脊皮, 以大繩貫之, 又以丈許木敠之,
4) 通日糰呼作力, 不以爲痛,
5) 旣以勸作, 且以爲健.
이 해석은 무척 까다롭기 때문에, 별도로 해석을 [참고]로 [답글]로 빼돌리도록 하겠습니다.
요컨대 마한(馬韓)의 소년, 소녀들은 “‘일인용 - 결승(結繩)을 조작하는 - 연(鳶 : 비행기)를 탓다.”는 것입니다.
위 글을 해석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 (마한(馬韓)은) 국가적인 행사로써 일반 천독(天毒: 백성)들이 자체적으로 일꺼리를 하거나, 혹은 관가(官家)
에서 성곽 등의 축조행사를 할때에,”.
2) 모든 ‘용기있고 건강한 연소자(年少者)들에게
3) “(이런 소년(少年), 소녀(少女)들) 모두에게 척추-피부 쪽을 향하여, 수많은 마디로 된 (구명-조끼 같은) 어떤
물체에 구멍을 뚫었는데, 이는 이 (마디 사이로) 큰 밧줄을 일관(一貫)하여 걸고, 또한 이 밧줄 사이에 약 3미터
가량의 나무를 (끼우는 것을) 허용키 위함이었는데, (결과적으로 ‘헬륨 가스(gas)가 채워진 연(鳶)에 매달아,
지상(地上)에서 끌기 위한 장치였다.)
4) “(그래서) 하루종일 단란(團欒)하게 (서로 순차적(順次的)으로 듣고 합창(合唱)하듯) 소리치면서 (어린 소년,
소녀들이) 힘을 쓰는데, 고통을 전혀 느끼지 않았다.”.
5) (한쪽이 자신의 모국어를 결승(結繩)으로 만드는 작업이) 끝나면, 다른 쪽에 (“이번에는 너희들이”하는 식으로)
권(勸)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는데, 서로 “어.!..튼튼하이 !”하고 추임새를 넣는 방식이었다.
결국 마한(馬韓) - 나아가서 삼한(三韓)은 소년, 소녀들의 언어 습득 능력을 ‘어른’들에게도 확산하는 ‘일인용 결승
(結繩) 조작(造作) 연(鳶 : 비행기)가 있었고, 이를 운영할때에는 마한(馬韓)의 모든 소년, 소녀를 총동원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놀라운 이야기를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조(條)는 하고 있는 것입니다.
2. 마한(馬韓)의 ‘삶의 스타일(style)’과 소도(蘇塗)의 위치는?
좌계가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 조(條)’를 읽어보고
몹시 놀라는 것은 결정적으로 중요한 몇가지의 뜻을 ‘두루 뭉시리’ 모호하게 넘어감으로써, 전혀 엉뚱하게 해석
한다는 점입니다.
가) 마한(馬韓)은 수운(水運), 해운(海運)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다.
그것이 위 ‘청소년들이 나라의 큰일이나 큰 공사가 있을때마다, 일인용-결승(結繩) 조작 연(鳶)을 타면서, 어른들의
집단적 언어 소통과 아울러 습득 능력을 점고(漸高)시키는 사회적 역할을 담당했다.“는 기록과
그 다음 기록인 소도(蘇塗)에 대한 문단(文段) 앞 뒤에 나오는 짧은 다음과 같은 기록들입니다.
A 문구:
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死.
B 문구 :
其遠處直如囚徒奴婢相聚
이 기록은 마한 사람들의 ‘삶의 스타일(style)’과 ‘이에 따른 소도(蘇塗)라는 제도가 왜 그렇게 형성되었는가?“를 해명
할수 있는 매우 중요한 구절이기 때문입니다.
가. 마한(馬韓)의 삶의 스타일(style)
(1) 마한(馬韓)은 수운(水運)및 해운(海運)을 하는 삶의 스타일(style)을 지닌다.
먼저 부지승마우(不知乘馬牛)의 뜻을 “우마(牛馬)를 탈줄 몰랐다.”로 해석하는 걱은 오역(誤譯)입니다.
‘승마복우(乘馬服牛)’라는 관용어(慣用語)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말은 관자(管子)가 그의 경제학을 쓴 ‘관자(管子)’라는 책에서 비유로 쓸 정도로 당시대에는 관용어(慣用語)입니다.
여기서 승마(乘馬) 의 개념 즉 ‘말을 타고 달리는’ - 이른바 기마(騎馬)를 뜻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마차(馬車)를 끄는”의 개념입니다.
따라서 부지승마우(不知乘馬牛)는 “마차(馬車)와 ‘소(=우(牛))가 끄는 수레’를 끌줄 몰랐다.”라는 말이며,
이는 결국 마한(馬韓)이라는 나라가 철저히 수운(水運), 해운(海運)을 통한 삶을 살았음을 뜻하는 말입니다.
(2) ‘이승’에서 뿐만 아니라,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 때에도 역시 ‘배달화백’을 한다는 고대 아시아의 광범위한
신앙체계
그 다음에 ‘우마진어송사(牛馬盡於送死)’의 뜻을 “우마(牛馬)는- 이는 우차(牛車)와 마차(馬車)를 뜻함. - 는 사람이
죽었을 때, (=진(盡)) 이 장례(葬禮)에 쓰기만 했다.”는 것은 맞는 해석이지만, 이 또한 지나친 직역(直譯)입니다.
왜냐하면, 고대 아시아에는 광범위하게 “인간이 죽으면 하늘의 별(=성(星))이 되고, 별이 다시 인간으로 환생(還生)
한다.”는 종교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별에서 인간으로 환생할 때, 별들끼리 완벽한 합의로써 배달화백을 통해, 인간으로 태어나고, 또한 죽었을 때,
하늘에 가서 별이 되는 것도 “살아있는 사람이 그들이 어떤 별에 배치할 것인가?”를 박달(泊達)화백, 혹은 배달화백
으로써 뒷받침해 주어야한다.“고 믿었던 것이지요.
이를 거란 즉 요(遼)나, ‘투르크’역시 똑같은 생각을 품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장례(葬禮) 풍습이 ‘백마청우(白馬靑牛)’ 백마적우(白馬赤牛)란 이름으로 행해지는 제천(祭天)의식
- 즉 배달화백(倍達和白)과 똑같이 치루어 집니다.
태(兌) 혹은 단(單)이란 이름의 ‘수레’를 끄는 것이 수많은 백마(白馬)들이며, 이들의 ‘수레’안에 ‘솥’ 혹은 ‘냄비’에
‘말발’을 지켜보는 살아있는 사람들이 실어주는 ‘그릇’이 있고, 이 백마들이 묶여 있는 수많은 열석(列石)이 있는
것이지요.
또한 “저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들의 결론 역시 청우(靑牛), 혹은 적우(赤牛)로 ‘말발’을 태우기 위해서 온다.”고
믿고 있었던 것입니다.
따라서 A문구는 해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문구 해석)
不知乘牛馬, 牛馬盡於送死.
“마한(馬韓)사람들은 (수운(水運)및 해운(海運)을 했기 때문에) 우차(牛車), 마차(馬車)로써 운송하는 일은 안한다.
마차(馬車),우차(牛車)를 사용하는 것은
(그들이 ‘이승’은 물론 ‘이승’과 ‘저승’을 넘나드는 것도 동일한 공동체들의 합의를 이끌어 내는 배달화백(倍達和白)
에 동원되는) 우마차(牛馬車)에 의해서 장례(葬禮)를 치룬다.”가 정확한 해석이 됩니다.
(3) ‘못신’의 함의
좌계는 이 마한(馬韓)에 관련된 위지 동이전을 해석하면서, ‘결승(結繩)-가림토’의 연계성을 말했는데,
결승(結繩) - 다시 말하면, ‘꼰-끈’을 엮을려면, ‘끈’ 사이로 뚫고 나가서 잠시 멈출 필요가 있습니다.
이럴때 ‘꼰-끈’ 뒤에 책성(柵城)에 ‘멍석’ 같은 것을 부착(附着)하고, ‘못 신’을 신고 잠시 ‘멈추었다가’ ‘끈을 뒤트는 식’
으로 운영을 하면 잘 진행이 될 것입니다.
실제 고구려의 벽화나, 혹은 한반도(韓半島)에서도 ‘무덤’ 속에서는 신기하게도 ‘황금 못 신’이 발견이 됩니다
이는 언어가 다른 세계 - 즉 이민족(異民族)들과 ‘서로 쌍방향으로 언어를 배워가면서 즉 소통하면서 화백회의로써
안전한 컴뮤니케이션(communication) 할수 있음을 뜻합니다.
고구리 벽화 가운데, 못신을 신고 적군(敵軍)을 처형(處刑)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는 “모국어(母國語)로써 대화
하게 하는 사법(司法)-민주주의가 실시되는 가운데 베풀어지는 법정(法庭)에 의해서 처단(處斷)했다.”는 표시
이기도 합니다.
또 상대방이 적(敵)이지만, 훌륭한 인간일 경우, 반드시 ‘못-신’을 신겨서 장례(葬禮)를 치루는 것이지요.
“죽어서도 자신의 모국어를 쌍방향으로 하면서, 당당하게 화백회의로써 자신의 자리를 마련하라.”는 의미인 것이
지요.
나) “소도(蘇塗)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결정적으로 보여주는 ‘B 문구’
‘B문구’는 이미 보아왔듯이 ‘其遠處直如囚徒奴婢相聚’입니다.
이 문구(文句)의 해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직(直)의 뜻입니다.
(1) 직(直)에는 당번(當番), 즉 숙직(宿直)의 뜻이 있다.
마한(馬韓)은 나중에 보겠지만, 중국대륙에 사는 사람들이 볼 때에는 상상을 초월하는 해운(海運)능력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중국대륙의 여러 호수(湖水)들, 양자강의 모든 지류(支流), 황하(黃河)와 그 모든 지류(支流)는 물론,
한반도, 일본 열도 등에 퍼져있었던 것이지요.
“‘최대의 수운(水運)및 해운(海運)-네트워크(network)’가 마한(馬韓)이다.”라고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을 쓰는
사람은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먼곳(=원처(遠處))에는 ‘죄수(罪囚)의 무리(=수도(囚徒))와 노비(奴婢)들이 섞여 살았다.”는 것이
지요.
그렇다면, 이런 “먼 수운(水運)-네트워크(network)를 마한(馬韓) 사람들은 어떻게 관리했겠는가?”하는 점입니다.
여기에 노비(奴婢)가 아니고, 수인(囚人)이 아닌 사람을 당번(當番)을 세워 숙직(宿直)시키면서, 그들을 관리하게
만든 것입니다.
한자(漢字)의 “~여(如)”가 붙으면, ‘그런 모양으로’, ‘그런 식으로’하는 부사(副詞)가 됩니다.
따라서 위 문장을 해석하자면 이렇게 됩니다.
“마한(馬韓) 사람들은 자신들의 수운(水運)-네트워크(network)의 먼곳에 죄수(罪囚)들과 노비(奴婢)들을 함께 살게
하면서, 당번을 파견하는 식으로 관리했다.”가 됩니다.
(2) 소도(蘇塗)는 호수(湖水)나 포구(浦口)에 있었다.
(가) 숙박(宿泊)이라는 말.
좌계가 굳이 이런 이야기를 상세히 규명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것은 이런 “마한(馬韓)에 소도(蘇塗)라는 특이한 제도가 있었다.”라고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
조(條)에 나오는데, 도대체 그들이 어디에 소도(蘇塗)란 “왕권(王權)이 미치지 않는 성지(聖地)를 설립했는가?”하는
점을 명쾌히 하기 위해서입니다.
자연이 호수(湖水)가 된다는 것이지요.
우리는 수운(水運) 생활을 하는 사람들이 호수(湖水)에서 선박(船泊)을 타고 잠을 자는 것을 까마득하게 잊어버렸
습니다. 바다 가운데서는 풍랑(風浪)이 있어서 위험한 것이지요.
숙박(宿泊)이라는 말에 박(泊)은 바로 양산박(梁山泊)의 박(泊)에서 보다시피, 호수(湖水)입니다.
(나) 한국어의 ‘배’에 선(船)과 복(腹)의 두 가지 뜻이 있는 이유.
이런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 조(條)의 이야기는 대단히 중요한 숨어있는 뜻이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호수(湖水)에 기본적으로 죄수(罪囚)들과 노비(奴婢)들이 살고 있었는데, 그들은 배 즉 선박(船泊)이 없었
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그들은 “하역(下役) 작업을 하면서 살 수밖에 없었음.”을 의미하고 있는 것입니다.
때로는 폭동(暴動)을 일으켜 숙직(宿直)을 하고 있는 배들을 공격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연히 이런 소도(蘇塗)에 있는 수장(首長)인 천군(天君)은 ‘독립된 무장세력’을 - 물론 수군(水軍)
이겠지만,- 지닐 수 밖에 없는 것이지요.
이런 마한(馬韓)의 기본적인 성격은 다른 삼한(三韓)에도 똑같고, 또 이런 삼한(三韓)에서 발전된 관경삼국(管境
三國)은 반드시 호수(湖水)나 포구(浦口) 주변에 수도(首都)를 설치할 수밖에 없는 특징이 있는 것이지요.
그래서 삼국의 수도(首都)는 무조건 호수(湖水) - 하다 못해 인공적으로 호수(湖水)를 만들어서라도 호수(湖水)가
있어야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런 호수(湖水)에 자리잡고 있는 천군(天君)이 나중에, 고구리(高句麗), 백제(百濟), 신라(新羅)에서는
대로(大盧) 혹은 대대로(大對盧)로 그 명칭이 바뀌게 되는데, 이 들이 王에게서 독립된 군사력(軍事力)을 지니는
것은 당연하다는 것입니다.
왜냐?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 조(條)에 의하면, 이런 소도(蘇塗)에 죄수(罪囚)들이 들어가더라도 왕(王)
이라 하더라도 ‘못 잡는 민간 성지(聖地)’이고, 이 죄수(罪囚)들과 노비(奴婢)들이 섞여 산다고 했으므로,
이들이 반란을 일으켜서 배(船)를 탈취해서 도망갈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좌계가 볼 때에는 한국어의 ‘배’에 복(腹)과 선(船)의 뜻이 동시에 있는 것과 이는 무관하지 않습니다.
왜냐?
수운(水運)및 해운(海運)하는 사람들에게 “배가 없으면 배가 고픈 고통”이 늘 뒤따르기 때문입니다.
3. 소도(蘇塗) 관련 부분의 심층적 해석.
“소도(蘇塗)가 결국 호수(湖水)에 있을 수밖에 없다.”라는 것과 “삼한(三韓) 사람들의 삶의 스타일(style)이 기본적
으로 수운(水運)및 해운(海運)이었다.”라는 기본적인 인식을 지니고,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 마한(馬韓) 조(條)를 읽어 보면 우리는 놀라운 사실을 알수가 있습니다.
원문(原文)을 적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그런데 이 원문(原文)을 해석함에 있어서, 해석의 편의상 먼저해야할 곳부터, 이름을 붇일 필요가 있어서
다음과 같이 붙여보았습니다.
- 아래 -
2)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 塋聚歌舞, 飮酒晝夜無休. 其舞, 數十人俱起相隨, 踏地低椱, 手足相應, 節奏有似鐸舞.
3)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4) 信鬼神, 國邑各立一人主祭天神, 名之天君. 又諸國各有別邑,
名之爲蘇塗.
5) 立大木, 縣鈴鼓, 事鬼神.
1) 諸亡逃至其中, 皆不還之, 好作賊.
6)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而所行善惡有異.
7) 其北方近郡諸國差曉禮俗,
가) 도망자(逃亡者)의 자유 특구
1) 諸亡逃至其中, 皆不還之, 好作賊.
주(注) 1 : 호작적(好作賊)의 이중적 함의
한자(漢字)의 적(賊)의 개념은 도(盜)와는 다릅니다.
도(盜)는 ‘재화를 훔치지 것’을 뜻하는데, 적(賊)은 폭력을 수반한 범죄활동을 뜻함.
또 하나의 적(賊)의 개념은 이 마한(馬韓) 조(條)를 쓸 때의 중국의 일반적인 정치행태에 의하면, 정부(政府)를
인정하는 것은 황제(皇帝)가 봉지(封地)를 주고, 자율권을 인정할때에 한(限)해서만 가능한 것임.
그런데, 어떤 민주적인 방법으로 - 물론 화백회의겠지만 - 일반 백성이 정부의 조직을 마음대로 하였을 경우라
할지라도 - 당시대 사람들의 눈(=안(眼))에는 역적(逆賊)으로 보인다는 점임.
주(注) 2 제망도(諸亡逃)의 뜻
제(諸)의 뜻은 ‘일반적’ 혹은 ‘망라(網羅)하여’ ‘무차별적’인 것을 뜻함.
따라서 그 어떠한 살인(殺人), 봉건제도에 대한 반역(叛逆)도 다 수용하는 것을 뜻함.
결국 호작적(好作賊)은 내부 수인(囚人)과 노비들의 폭등과 민주적 회의가 모두 적(賊)으로 들어나는 이중적 함의가
있음.
대의(大義) :
아무튼,
소도(蘇塗)가 “포구(浦口)나 호수(湖水)에 있었다.”는 것을 전제(前提)로 할때 우리는 놀라운 사실을 알수가 있습니다.
이는 삼한(三韓)의 법규(法規)에 따라서 노비(奴婢)나 수인(囚人)으로 그 신분(身分)이 격하(格下)가 된 사람이
이 호수(湖水) 주변에 있게 되고, 공식적인 숙직(宿直)하는 관리가 감시하는 정도가 아니라, 숫제 도망(逃亡)하러 온
사람 - 물론 삼한(三韓)의 왕권(王權)에 의해서 범죄인(犯罪人)으로 판정받은 사람들이 와도, 잡을 수 없는 신기한
장소였다는 점입니다.
뿐만 아니라, 먼 외부에서 ‘쿠테타’를 일으키려다가 호수(湖水)가 있는 소도(蘇塗)에 들어오면, 삼한(三韓)의 왕(王)
이라고 할지라도 되잡아 못 감을 뜻하는 것입니다.
해석(解釋) -
일체의 범죄자들이 국경(國境)을 불문(不問)하고, 호수(湖水)가 있는 소도(蘇塗)에 들어서면, 삼한(三韓)의 왕(王)
이라 할지라도 ‘되잡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이 호수(湖水)안에는 폭력을 수반한 선박(船泊)탈활이나, 나아가 삼한(三韓)에 대한 (화백민주적인 방법에
의해) 정부의 새로운 수립도 가능한 작적(作賊)의 천국(天國)이었다.
2) 常以五月下種訖, 祭鬼神, 塋聚歌舞, 飮酒晝夜無休. 其舞, 數十人俱起相隨, 踏地低椱, 手足相應, 節奏有似鐸舞.
주(注) 1 : 하종글(下種訖)
하종(下種)은 ‘씨 뿌림’을 뜻함. 흘(訖)은 “이르다(=지(至)”의 뜻일때는 ‘흘’로 읽고, ‘마쳤다.’할때에는 ‘글’로 읽음.
따라서 ‘오월(五月)에 씨부리는 것을 마치면,’이란 뜻임.
주(注)2 : 영취(塋聚)
영(塋)의 원래의 뜻은 ‘산소, 죽음’을 뜻함. 선영(先塋)이란 말에 그 용례(用例)가 있음.
따라서 영취(塋聚)는 ‘하종(下種)한 씨앗-무리(=취(聚))에 대한 상례(喪禮)를 뜻함.
‘씨앗’은 ‘뿌릴때’까지 그 생명력을 숨기고 있는데, 이런 상례(喪禮)를 통해 “더이상 씨앗으로써 하종(下種)될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축제를 뜻함.
주(注)3 : 절주(節奏)
단체(團體)로 무용과 노래를 할때, ‘전반적인 리듬’을 맞추는 것을 뜻함.
해석(解釋) -
“늘 오월(五月)에 씨부리는 것을 마치면, 신(神)을 모시는 축제가 였였는데, (= 제귀신(祭鬼神)) 이는 ‘씨앗-무리들의
상제(喪祭)였는데,’(=영취(塋聚)) 가무 음주를 주야(晝夜)로 쉬지 않는 것이었는데, 그 춤은 수십인들이 ‘물결치듯’
서로 일어나는 것이었는데 (=구기상수(俱起相隨)), 땅을 밟아나감에 있어 상대방이 만든 복도(複道)들 고개 숙여
나가며 (=답지저복(踏地低椱), 수족(手足)이 서로 상응(相應)케 하는 것이어서
(=수족상응(手足相應))이어서 이 단제적인 가무(歌舞)의 리듬은 꼭 탁무(鐸舞)와 같았다.”가 될 것입니다.
글 내용으로 보아서는 꼭 ‘강강 수월래’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런데 이 것이 “수운(水運) 생활을 하는 마한(馬韓)의 호수(湖水)가에서 이루어졌다.”은 것이 놀라운 것입니다.
대의(大義) -
이는 호수(湖水) 주변의 비옥한 농토(農土)를 사실은 소도(蘇塗)의 관할 영역으로 하고 있었으며, 농사(農事)를 짓던
사람들이 이리로 도망(逃亡)와서 ‘전답(田畓)을 무상(無償)으로 대여받고 ’씨를 뿌리고‘ “드디어 우리가 지은 농사
(農事)는 왕권(王權)을 지닌 사람들이 함부로 빼앗아 갈수 없다.” “씨앗들이여! 더 이상 때를 기다리는 고생을 하지
말라!”라는 신기한 축제임을 밑바닥의 가정으로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3) 十月農功畢, 亦復如之.
해석(解釋) -
“이러한 (기이한 축제(祝祭)는) 10월에 농사(農事)가 끝났을때에도 역시 똑같이 베풀어졌다.”가 됩니다.
대의(大義) -
이 두 번의 농번기(農繁期)가 끝났을 때, 도망(逃亡)쳐 호수(湖水)가 주변으로 온 사람들이 “왜 이런 축제를 하는가?”
또 “마한(馬韓) - 내지 삼한(三韓) 전체에서 죄수(罪囚)가 된 사람이거나, 혹은 노비(奴婢)들이 이 축제(祝祭)에 참여
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좌계가 볼 때에는 참여했다고 봅니다.
왜냐? 그들은 삼한(三韓)의 왕권이 상징하는 일체의 징세(徵稅)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열심히 일을 하면 전부 자기
자신의 ‘수확물’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는 고대의 화폐(貨幣)의 역할 가운데 “지불(支拂) 수단(手段)”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오늘날 지불(支拂)이라고 하면 ‘돈(=money)을 주는 것’을 뜻하지만, 경제학, 내지 경제인류학에서 ‘화폐의 기능’으
로써 지불(支拂)이라고 하면, 죄(罪)의 탕감과 신분회복을 경제적인 재화(財貨)로써 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소도(蘇塗)에서 행해지는 축제는 사실상 당시 중국사회에서는 파격적인 해방(解放)의 뉴스(news)였던
것이지요.“열심히 일하면 노비(奴婢)나 죄(罪)를 면(勉)할수 있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마한(馬韓) - 나아가 삼한(三韓)은 ‘몰려드는 노비(奴婢)들과 죄인(罪人)들에게 열심히 일하고, 경제적 생산
물로 신분상승을 지불(支拂)로써 할수 있다.“는 대자유, 대평등의 해방구였던 것이지요.
이들이 이런 농산물(農産物)을 빼돌리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왜냐?
이미 말했듯이 우마차(牛馬車)를 사용하지 않고, 호수(湖水)와 수운(水運)으로써 만이 농산물을 옮길수가 있었거
든요.
그들이 신분상승이 되면, 결국 하는 것은 배(船)를 사는 것이 되겠지요.
왜냐? 배(船)는 자유인, 화백민주주의를 상징하는 것이니깐 말입니다.
4) 信鬼神, 國邑各立一人主祭天神, 名之天君. 又諸國各有別邑, 名之爲蘇塗.
주(注) 1 : 귀신(鬼神)과 천신(天神)
여기서 천신(天神)의 개념은 천독(天毒) 즉 화백 민주주의에서 주권행사를 할수 있는 일반 백성을 뜻함.
그리고 귀신(鬼神)은 삼한 사람들이 믿는 민주주의-신(神)들을 뜻함. 가령 북두칠성을 낳은 ‘가우리’여신이라든가,
북두칠성의 각각의 신(神)들이ㅣ 그것임.
주(注) 2 : 천군(天君)
천군(天君)은 중국어 발음으로는 ‘뗀군’ 혹은 ‘첸군’등이 되어서 기본적으로 단군(檀君)의 발음을 음차(音借)한 것
으로 보여짐.
주(注) 3 : 별읍(別邑)
읍(邑)은 삼한(三韓)의 왕권(王權)이 미치는 육지(陸地)의 성(城) 주변의 마을이고, 이런 읍(邑) 안에 호수(湖水)
주변에 소도(蘇塗)가 있고, 중국 각지로부터 도망온 수인(囚人)과 노비(奴婢)들이 ‘신분회복’하게 하는 해방구의
농토(農土)가 있었던 것임.
해석(解釋) -
(화백민주주의를 일으킨) 신(神)을 신앙하였는데, 모든 ‘나라의 읍(邑)’에는 한사람을 세워서 (일반백성을) 천독
(天毒) 내지 천신(天神)으로 모시는 사람을 세웠는데, 이름하기를 단군(檀君)이라 하있다.
또한 이 마한(馬韓) 제국(諸國)은 모두 (호수(湖水)가에 왕권(王權)이 미치지 않는) 별읍(別邑)들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름하여 소도(蘇塗)라고 하였다.
5) 立大木, 縣鈴鼓, 事鬼神.
주(注) 1 : 입대목(入大木)
이는 문자(文字) 그대로 보면 ‘큰 나무’를 세움을 뜻함.
문제는 마한(馬韓) 사람들이 수운(水運)과 해운(海運)을 담당하는 삶을 살았고, 또 소도(蘇塗)가 호수(湖水) 주변에
자리잡았다면, “도대체 이 입대목(入大木)한 위치가 어디냐?!”하는 것임.
좌계의 생각에는 호심(湖心)에 섬(=도(島))이거나, 어떤 마음의 구심점(求心點)이 되는 신성(神聖)스런 선박(船泊)
위에 세워진 나무로 보여짐.
“왜 이처럼 입대목(入大木)한 장소(場所)를 호심(湖心) 가운데 있는 섬이나 배로 보는 가?”는 것은 뒤에 나오는 설명
(說明)에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而所行善惡有異.’라는 구절이 있는데, 그 뜻은 “소도(蘇塗)를 세운 뜻은 부도
(浮屠)와 유사(類似)하다”고 되어 있기 때문임.
즉 불교(佛敎)와 유사하다는 것인데, 불교(佛敎)에는 이상의 세계를 ‘열반의 섬’으로 나타내고, 이를 닥아가는 것을
방편(方便)으로 항상 비유하기를 강(江)을 건너는 것, 물을 건너는 것으로 비유하기 때문임.
또 가장 신성(神聖)스런 장소를 죄인(罪人)들과 폭력을 휘드룰 수 있는 호수(湖水) 주변의 사람들이 접근할수 있는
곳에 두기 힘들기 때문임.
주(注) 2 : 현영고(縣鈴鼓)
이는 호심(湖心) 가운데의 신성(神聖)한 나무 가운데에 ‘울림’이 있는 마령(馬鈴)등과 ‘소고(小鼓)’등을 걸어둠을 뜻함.
그런데, 결국 수인(囚人)들과 노비(奴婢)들이 열심히 농사(農事)를 지어서 신분상승하는 지불(支拂) 행위를 하는
것이 걸려있기 때문에, 이는 고대의 ‘지불(支拂) 화폐’라고 보아야함.
그런데 실제 마령(馬鈴), 마탁(馬鐸)등 고대 마한(馬韓)인들이 해운(海運) 지역에는 고고학적으로 ‘울림이 있는 화폐’가
발견이 됨.
따라서 이를 화폐로 치자면, ‘울리는 화폐’ 명전(鳴錢)이라고 할수 있겠음.
해석(解釋) -
(이 소도(蘇塗)의 호수(湖水)에는 호심(湖心)의 섬이나 신성한 배 위에) 큰 나무를 세워두고, 그곳에 마령(馬鈴)
소고(小鼓)등의 (죄(罪)와 신분을 탕감할수 있는 지불(支拂)화폐인 명전(鳴錢)을 걸어두었는데,
이러한 것은 결국) 이들이 믿는 (민주주의 ) 신(神)들을 모시기 위함이었다.
6) 其立蘇塗之義, 有似浮屠, 而所行善惡有異.
주(注) 1 : 부도(浮屠)‘탑(塔)’혹은 ‘불교’를 뜻함.
주(注) 2 : 선악유이(善惡有異)‘착하고 악함’ 즉 도덕적 평가및 기치관이 다름을 뜻함.
해석(解釋) -
소도(蘇塗)를 세운 뜻은 불교에서 불탑을 세운 것과 유사한데, 그곳에서 실제 행동하는 것의 도덕적 평가와 가치
관은 서로 상이(相異)했다.
7) 其北方近郡諸國差曉禮俗,
주(注) 1 : 차효예속(差曉禮俗)예속(禮俗)의 ‘빛날 정도로 차이(差異)가 있음’을 뜻함.
해석(解釋) -
“이러한 마한(馬韓)과 진한(辰韓), 변한(弁韓)등의 사회질서와 예속(禮俗)은 그 북방에 있는 인근(隣近) 군(郡)과
비교할 때, ‘빛날 정도로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로 됩니다.
4. 백제(百濟)은 마한(馬韓)을 계승하고 한차례 더욱더 혁신(革新) 을 이룬 나라이다.
좌계가 굳이 마한(馬韓)에 대해서 상세히 주석(註釋)을 하는 이유(理由)는 이 백제가 분명 마한(馬韓)의 연장선
상에 있고, 더욱이 한차례 혁신(革新)을 한 것이 백제이기 때문에, 그 마한(馬韓)의 기본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입
니다.
즉 마한의 소도(蘇塗)가 호수(湖水)에 있고, 마한(馬韓) 자체가 왕권(王權)과 천군(天君) 즉 단군(檀君)의 영역을
엄격히 구분하고, 각기 별읍(別邑)과 읍(邑)을 네트워킹(networking)시켜 별도로 관리한 그 ‘틀’을 유지하였다고
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일수도(一首都) 이왕성(二王城)의 원칙은 고구리, 백제, 신라가 나타나기 이전에, 미리 삼한(三韓)에 의해서
예비되었던 것입니다.
또한 이 삼한 자체가 수운(水雲)및 해운(海運) 국가이기 때문에, 백제뿐만 아니라, 고구리및 신라의 수도는 반드시
호수(湖水)가 - 없으면 인공적(人工的)으로 만들어서라도 - 있어야 함이 들어난다 하겠습니다.
(좌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