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색 하늘 아래
시월 중순 화요일이다. 아침에 일어나면 일상에서 남긴 사진을 글감으로 시조를 써서 지기들에 보내면서 하루를 시작한다. 엊그제 창원천 천변으로 나간 산책에서 노랑어리연꽃 사진을 찍어왔다. 그 꽃 이름은 ‘노랑’과 ‘어리’와 ‘연꽃’의 세 개 보통명사가 결합이 된 합성어였다. ‘어리’가 닭 따위를 가두어 기르기 위하여 대나무로 채를 엮어 만든 물건임을 소개해주었다.
아침 식후 산책을 차림으로 현관을 나섰다. 엘리베이터를 나가 이웃 동 뜰로 가서 꽃밭을 살폈다. 꽃을 가꾸는 친구와 밀양댁 할머니는 보이질 않았다. 해가 점차 늦게 뜨고 아침 기온이 쌀쌀해지니 조금씩 늦게 내려오는가 싶다. 나는 꽃밭에 영그는 토마토가지와 계란가지를 폰 앵글에 담고 하늘고추도 찍었다. 지기들 카톡으로 사진을 넘기면서 꽃만큼 예쁜 열매라 전했다.
지기들에게 시조와 꽃밭에 영그는 열매 사진을 보내면서 하루를 시작했다. 아파트단지를 벗어나 동정동으로 나가 창원역을 출발해 낙동강 강가로 가는 1번 마을버스를 탔다. 출근 시간대가 되어선지 좌석 승객이 다 채워졌다. 동읍 일대와 대산 일반산업단지 회사로 출근하는 사람들이었다. 대산면 소재지 가술을 지나자 승객은 나 혼자였는데 운전기사가 여성임을 알았다.
제1 수산교와 일동초등학교롤 지난 신전 종점에 닿았다. 신전은 창원 시민들의 상수원인 대산 정수장이 가까운 곳이다. 그쪽으로 나가질 않고 옥정마을로 가는 들녘을 걸었다. 벼들이 익어 추수를 앞둔 논은 황금빛으로 펼쳐졌다. 일부 구역에는 연근을 경작했는데 이미 뿌리를 캐 거둔 자리였다. 거기에는 상품성이 떨어져 남겨진 연근이 보여 이삭으로 몇 가닥 주워 모았다.
지난여름 감자와 당근을 캔 이랑에서 못난이로 버려둔 감자와 당근을 주워 우리 집 찬거리로 삼았다. 들녘 농사는 작물을 가꾸는 현지 농민과 유통과 판매를 담당하는 외지 상인으로 나뉘었다. 여름 농사는 뒷그루 모내기가 바빠 감자와 당근 수확에 일손이 무척 바빴다. 비라도 오면 일의 진행이 더뎌 수집 업자들은 난감했는데 가을에는 날씨가 쾌청해 어려움 없을 듯했다.
이삭 연근을 주워 놓고 농수로에서 손을 씻다가 언덕에 자란 머위가 보였다. 머위는 봄날에 움이 돋을 때 순을 뜯으면 좋은 찬거리가 되었다. 이후 여름이나 초가을에도 예초기가 지나간 자리에 새움이 돋으면 한 번 더 뜯을 수도 있다. 거름기가 부족해서인지 머위 잎과 줄기가 야위고 쇠었지만 몇 줌 뜯어 보았다. 텃밭 농사를 짓지 않아 푸성귀가 귀한데 찬으로 삼을까 했다.
들녘으로 산책 나와 기대하지 않은 이삭 연근과 머위를 채집해 놓고 옥정 교차로를 지나 본포 수변공원으로 갔다. 쉼터 정자에서 가져간 고구마를 꺼내 먹으면서 강변 풍광을 바라봤다. 하늘은 구름 한 점 없이 맑아 박물관 청자가 저런 색일까 싶을 정도로 가을다운 본색을 드러냈다. 창녕함안보를 빠져나와 본포교 밑으로 흐르는 강물도 하늘색과 데칼코마니를 이루었다.
본포 수변공원 둔치는 군락을 이룬 물억새가 꽃이 피어 장관이었다. 정자 쉼터에 내려와 자전거 길을 따라 걸으니 일렁이는 물억새꽃의 열병을 혼자 받고 지나 황송했다. 봄날에 연초록 잎이 눈부시던 능수버들은 서리 오기 전까지는 푸른 잎줄기를 드리웠다. 본포나루에 이르니 내수면 어로작업을 하는 고깃배를 묶어둔 선착장은 요트나 수상 스키 계류장을 연상하게 했다.
본포교 아래에서 벼랑을 돌아가는 생태보도교를 따라 샛강 신천 천변을 걸어 북면 들녘으로 들어섰다. 넓은 들판은 벼농사와 함께 과수와 채소가 섞인 경작지였다. 들판 길을 걸으니 저 멀리 에워싼 산등선 너머 파란 하늘은 물결이 일지 않는 호수 같아 보였다. 깊이를 알 수 없는 호수를 머리 위에 이고도 누가 마법을 걸었는지 물세례를 받지 않고 들녘을 무념무상 걸었다. 23.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