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스타민
혈액과 여러 조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물질. β-이미다졸에틸아민이라고도 한다.
조직 속에서는 비만세포, 혈액 속에서는 백혈구의 호염기구의 과립 속에 보인다.
혈관 확장과 막투과성 증대, 평활근(平滑筋) 수축을 일으킨다.
체내에 다량 존재하면 아나필락시스(알레르기의 일종, 즉시형과민증)를 일으킨다.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IgE 면역항체가 비만세포나 호염기구를 파괴하여
히스타민과 헤파린 등이 방출되는 것이다.
그 결과 발진(發疹)·구토·재채기·경련·설사·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상들은 디펜히드라민 등을 비롯한 수많은 항히스타민제의 길항작용으로 억제된다. 또 동물조직 중에는 히스타민의 산화 분해를 촉매하는 디아민옥시다아제가 존재한다. 세균은 단백질이 부패할 때 히스티딘에서 히스타민을 만들기 때문에 식중독에 걸리면 아나필락시스 증상을 나타낸다.
항히스타민제는 글자 그대로 히스타민에 대항하는 약제입니다.
히스타민은 우리 신체에서 면역현상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과민성 반응등에서 분비되는 물질로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이런 현상을 조절하는 약제입니다. 오심, 구토, 차멀미, 알레르기성 비염, 감기등에서 사용되는 약제인데 대부분의 약제가 어느 정도 부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 이상으로 부작용이 문제가 됩니다. 이런 부작용이 나타나는 이유는 이런 항히스타민이 인체내에 투여되었을 때 이를 받아들이는 수용체가 세포내에 존재하게 되는데 여러 조직에서 이런 수용체가 있으므로 우리가 목표로 삼지 않았던 장기에서도 항히스타민제가 작용함으로써 원치 않는 작용이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이런 현상을 부작용이라 합니다. 항히스타민제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뇌에 작용하여 졸리게 하고 항콜린성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항콜린성 부작용이라 함은 자율신경계의 명령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을 의미하는데 이는 자율신경이 분포되어 있는 전신에 걸쳐 즉 심혈관계, 소화기, 비뇨기 및 호흡기 등에 분포하므로 이런 장기의 작용에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음을 말합니다.
.........................................................................................................................
가려움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1)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히스타민을 세포<마스트세포>가 방출 시키지 못하도록 하는 것.
2) 히스타민이 나쁘게 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기본이다.
자주 사용되는 약물에는 히스타민이 마스트세포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 방출된 히스타민이 나쁜짓을 못하게 하는 항히스타민제가 있다.
강한 가려움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스테로이드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런 약물에 의한 치료는 증상을 억제하는 것일뿐 근본적인 치료는 아니다.
또 그 환자의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는 항원<알레르겐>을 테스트에 의해 찾아서
그 알레르겐을 줄이기위한 주사를 하여 발증을 없도록 하는 감 감작 요법도 있다.
이것은 서서히 항원에 몸을 익숙하게 하여 그 항원에 항체가 반응하지 않도록하는 요법이다.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수 년간> 의사로부터 지시받은
치료스케줄에 다르지 않으면 안된다. 상당한 인내가 필요하다.
- 스테로이드제로는 근본 치료는 불 가능.
아토피성 피부염은 물론 류마티스 교원병 등의 알레르기 질환에대하여 스테로이드제는 염증을 억제하고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등 매우 큰 효과를 발휘한다.
스테로이드제는 부신 피질 호르몬 중에서 당질 코리체코이드를 합성하여 만든 것이다. 이호르몬은 자연 치유력에 관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는
* 염증억제 면역 반응 억제.
* 혈액양, 수분양 유지.
* 당질 지방 단백질의 대사를 조절하는 역할입니다.
이 스테로이드제는 효력의 강 약에 따라
[매우 강한 것][꽤 강한 것][강한 것][중간 정도의 것][약한것]의 5단계로 분류된다.
가려움,짓무름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그것을 단시간에 개선시키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약제는 스테로이드제 밖에 없다.
그러므로 긴급 피난적으로 사용하고 증상이 개선됨에 따라 서서히 약한 것으로 바꾸고 최후에는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하지 않은 것으로 옮겨 가는 방법으로 사용한다. 의사는 환부의 장소(스테로이드제는 바르는 장소에 따라 경피 흡수율이 전혀 다르다. ) 증상의 경중 등에 따라 사용해야 하고, 환자가 어느 정도 바를까 몇 회나 양 등을 세밀하게 지도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스테로이드제는 증상을 완화시킬 뿐이고, 질병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치유시키는 약은 아니다. 이것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 스테로이드제의 장기 사용은 부작용을 초래
한편으로 스테로이드제는 폐해도 가지고 있다. 그것은 환자가 사용양과 횟수를 자신이 판단하여 사용하고, 또 장기간 사용하는 것으로부터 야기된다. 스테로이드제는 부신 피질 호르몬을 합성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본래 자신의 신체에서 만들어지는 부신피질 호르몬을 외부로부터 보충하게 함으로써, 부신 피질 호르몬을 만드는 부신이 자기가 할 역할이 없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고 만다. 그렇게 되면 더욱 더 강한 스테로이드제가 필요하게 되는 악 순환을 불러 일으킨다. 이것이 계속되면 밸런스가 무너지고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게된다. 이 부작용에는
oo피부가 딱딱하고 두껍게 되고, 금이가서 갈라지고,
oo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피부가 붉게 되고,
oo모세 혈관이 파괴되어 피부가 검게 되고,
oo얼굴이 부스럼으로 둘러쌓이게 되며,
oo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되기 쉽게 되고,
oo체력이 저하되고,
oo당뇨병이 나타나며,
oo부신기능부전 등의 여러 가지가 있다.
<외용 스테로이드연고의 흡수율>
가슴1 : 배1.7 : 머리6 : 얼굴13 : 서혜부42 : 손0.8 : 발0.2
첫댓글 예민님 정말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