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mt.co.kr/mtview.php?no=2012070907550115614
"한국 부동산은 끝났다, 향후 10년은…" - 머니투데이
경제예측 연구소인 HS덴트를 운영하는 해리 덴트(사진)는 한국의 부동산 가격이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했다. 세계 경제가 2022~2023년까지 부진한 양상을 이어가는데다 이후 세계
news.mt.co.kr
첫댓글 인구구조분석학은 최고임.
인사이트가 소름입니다 역시 최고 기자 잘 보고 현금의 중요성을 또 한번 체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주식과 채권은 타격을 받지만 부동산이나 금은 수혜를 입는다. 하지만 디플레이션 시대에는 현금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가격이 떨어진다. 그러니 현금을 확보해두라. 지금은 자산을 늘릴 때가 아니라 보존해야 할 때다. 달러는 미국의 많은 부채 때문에 장기적으로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기축통화이니 만큼 디플레이션 때 가치가 오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달러 표시 국채를 사두는 것도 자산을 지키는 방법 중의 하나다. 2~3년 혹은 3~4년 뒤 자산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확보해둔 돈으로 그 때 자산 쇼핑에 나서라.13년 전 말씀이 현재화 되고 있네요.혜안이 탁월합니다.본디 역사는 반복되고, 세상에 새로운 것은 없다. 단지. 다른 모양,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첫댓글 인구구조분석학은 최고임.
인사이트가 소름입니다 역시 최고 기자 잘 보고 현금의 중요성을 또 한번 체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인플레이션 시대에는 주식과 채권은 타격을 받지만 부동산이나 금은 수혜를 입는다.
하지만 디플레이션 시대에는 현금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가격이 떨어진다.
그러니 현금을 확보해두라.
지금은 자산을 늘릴 때가 아니라 보존해야 할 때다.
달러는 미국의 많은 부채 때문에 장기적으로 떨어질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기축통화이니 만큼 디플레이션 때 가치가 오를 것이다.
이런 점에서 달러 표시 국채를 사두는 것도 자산을 지키는 방법 중의 하나다.
2~3년 혹은 3~4년 뒤 자산 가격이 많이 떨어지면 확보해둔 돈으로 그 때 자산 쇼핑에 나서라.
13년 전 말씀이 현재화 되고 있네요.
혜안이 탁월합니다.
본디 역사는 반복되고, 세상에 새로운 것은 없다. 단지. 다른 모양,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