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탠리 라우스 6대 피파회장이 1,000번째 골 달성 기념패를 펠레에게 주는 장면
펠레의 단일 클럽 통산 최다골. 언론들이 공식경기라 말하는건 클럽 친선경기 뺀 것.
그게 펠레가 656경기 643골, 메시가 아마 778경기 672골
메시의 클럽 친선경기 골기록은 58경기 37골(2010년에 k리그 올스타전 와서 넣은 2골 그런거 포함입니다)포함 시 836경기 709골
일단 피파에선 펠레의 1281경기 1091골 저 기록을 인정하네요.
이제 불멸의 기록이 될려나
첫댓글 1281게임을 뛰었다는게 대단하네
단일 클럽 최다 득점 기록은 메시 맞아요. 이거 깼을 때 언론들도 보도하고 펠레 본인도 인스타에 메시에게 축하메시지 올렸었음.
이런 기록들은 보통 명확하지 않은 친선을 제외하고 공식 기록으로 순위를 구분합니다.
언론과 별개로 피파는 펠레 기록 인정하더라구요.
@브라질가린샤 인정한다는게 친선기록도 공식기록으로 쳐준다는게 아니라 말 그대로 친선기록도 친선기록대로 인정을 해준다는거죠. 그리고 저거는 피파 공식입장이 아니라 소속 기자가 작성한 뉴스인거 같은데요?
@라시현 스탠리 라우스 피파 회장이 1,000번째 골 기념패 주는 사진입니다.
@브라질가린샤 ? 그니까 공식경기 1000골이 아니라 친선경기 포함 1000골 기념패 주는거잖아요. 그런데 기록은 공식으로 구분하는거고요.
@라시현 저때는 클럽 친선전도 공식으로 쳤습니다. 피파도 그래서 증정한 것이고요.
@브라질가린샤 그쵸 근데 지금은 공식으로 안치고요. 그래서 메시가 643골 넘겼을 때 펠레가 직접 자신의 기록을 경신한걸 축하한다고 한거고요.
@oxygen 일부는 맞습니다만 꼭 그런것도 아닙니다. 유에파 컵위너스컵의 경우 지금은 사라진 대회이지만 그 당시의 기록들은 여전히 공식 기록으로 남아있고 그보다 더 과거인 유로피언컵의 전신 느낌의 대회였던 라틴컵에서의 골 기록 등 역시 여전히 공식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친선은 빼야 맞죠
친선득점은 최근에 있던 레알 vs 밀란 그런 경기에서 득점했다는걸텐데 그런건 공식으로 인정 안해주죠
옛날기록은 신뢰가 안감
친선은 빼는게 맞다고 봄
글은 단일 클럽 통산 최다골인데
위에 캡쳐해오신건 한해 최다골 기록 얘긴디,,
결국 메시가 대단하구나ㄷㄷ
친선은 빼야죠 ㅋㅋ메시 대단
골의 1/3이 친선이라
친선은 빼야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