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A 단자
통상 핀단자라고 부르고,RCA 단자라고 부른다.
이 단자의 영상 신호는 휘도 신호(Y)와 색 신호(C)그리고 동기 신호가 포함되고 있고, 그것들이 전부 복합된 형태로 전송되고 있다. 영상 신호의 분류로는 [Y/C 복합 타입]로 있다.단자의 색은 통상[황색]으로 있다.
장점:접속이 상당히 간단
단점:Y/C 복합하기 때문에,도트 방해·크로스 컬러가 일어난다.
S-VIDEO 단자
통상S 단자라고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고,세퍼레이트(Separate)단자의 약이다.
이 단자의 영상 신호에는 휘도 신호(Y)와 색 신호(C)가 각각 전송되고 있기 위해(때문에) RCA 단자로 일어나기 쉬운 도트 장애·크로스 컬러 장애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영상 신호의 분류로는 [Y/C 분리 타입]로 있다.색은 흑색이 대부분이다
통상의 S단자에 와이드 영상을 식별한 신호가 부가된 S1 단자 · S2 단자가 있습니다.
S1 영상:화면의 좌우를 압축한 스퀴즈 신호(세로길이 영상),와이드TV의 설정은 풀
S2 영상:화면의 상하가 검다한 레터박스 신호입니다.와이드 TV의 설정은 줌
장점:Y/C 분리하기 때문에,도트 방해·크로스 컬러가 일어나기 어렵다.
단점:525P,720P,1080i에는 사용불가.
컴퍼넌트 영상단자
컴포넌트 영상 단자는 색차입력 단자라고도 말하고,색신호(C)를 B-Y색차 신호 Cb(Pb)와 R-Y색차 신호 Cr(Pr)으로 나누어 전송한다.
통상 NTSC(480i)레벨의 신호의 단자를[Y/Cb/Cr]라고 표시하고,NTSC 레벨 이상의 영상 포맷이 사용할 수 있는 단자를[Y/Pb/Pr]라고 표시한다.
따라서[Y/Pb/Pr]컴포넌트 영상 단자는,고화질TV 단자라고 부른다.
일부의 고화질TV에서는 핀단자가 아니라 BNC 단자가 되고 있는 경우도 있기도한데 그러한 경우는 RCA-BNC 변환 접속기를 사용하면 된다.
영상 신호의 분류로는 [Y/B-Y/R-Y 타입]로 있다.
단자의 색은[Y(녹)]·[Cb/Pb(청)]·[Cr/Pr(적)]
장점:기본적으로 HDTV(720P,1080i등)까지 전송할 수 있다.
단점:영상포맷을 알 수 없다. 3개 케이블로 접속이 번거롭다
D 영상단자
통상D 단자라고 불리지만 D1 단자∼D5 단자까지 모양은 같지만 기능은 다르다.(아래와 같은표 참조)
영상 신호의 내용은 기본적으로 컴포넌트 단자와 동일하고 핀3개를 1개로 정리한 것이다.동시에[4:3]와[16:9]의 화상신호도 전송되고 있다.
단자의 색은 흑색이 많다.
D단자는 [DIGITAL]의 D, 왼쪽의 사진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단자의 모양이 D 모양이기 때문에 D단자라 이름이 붙였다.
장점:D1∼D5의 영상 포맷을 알기 쉽다.3개 케이블을 1개로 정리했기 때문에 접속이 간단,화각 신호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결점:가격이 고가이다.
영상 단자의 종류와 신호
영상 단자의 종류 |
Y(휘도 신호) |
B-Y(청색차 신호) |
R-Y(적색차 신호) |
RCA 단자 |
Y/C 복합 |
S-Video 단자 |
Y(휘도 신호) |
C(색 신호) |
컴포넌트 단자 |
Y(휘도 신호) |
Cb/Pb(청색차 신호) |
Cr/Pr(적색차 신호) |
D 단자 |
Y(휘도 신호) |
Cb/Pb(청색차 신호) |
Cr/Pr(적색차 신호) |
D 단자와 그 대응 영상 포맷
D 단자 규격 |
480i |
480p |
1080i |
720p |
1080p |
D1 단자 |
○ |
× |
× |
× |
× |
D2 단자 |
○ |
○ |
× |
× |
× |
D3 단자 |
○ |
○ |
○ |
× |
× |
D4 단자 |
○ |
○ |
○ |
○ |
× |
D5 단자 |
○ |
○ |
○ |
○ |
○ |
D 단자와 컴포넌트 단자의 영상신호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아래와 같은 케이블로 각각의 단자가 접속할 수 있으며, 기존 TV와 BS 디지털 튜너의 접속등에 사용이 가능하다.
 |
|
BS 디지털 화상 포맷 |
화상 포맷 |
주사선수 |
유효 주사선수 |
주사 방식 |
화면 비율 |
픽셀 수 |
480i(525I) |
525 L |
480 i |
인터레이스(히에쓰(飛越) 주사) |
16:9 |
720×480 |
480p(525P) |
프로그래시브(순차적으로 주사) |
16:9 |
720×480 |
1080i(1125I) |
1125 L |
1080 i |
인터레이스(히에쓰(飛越) 주사) |
16:9 |
1920×1080 |
720p(750P) |
750 L |
720 i |
프로그래시브(순차적으로 주사) |
16:9 |
1280×720 |
|
|
좋은 화질로 보기위한 방법 |
BS디지털튜너와 디지털TV의 연결은 D단자나 컴포넌트 단자로 접속하지 않는다면 고화질으로는 보실 수 없습니다.
BS디지털이 수신가능한 TV는 D단자 케이블로 연결하고, 아날로그TV는 컴포넌트 케이블로 연결하세요.
이는 부속품이 아니라 옵션 구입이기 때문에 설비전에 항상 체크해 주시기 바랍니다.
D단자의 「D」는 디지털의 D, 접속기의 형상이 D의 문자와 비슷하기 때문에 D단자라 합니다. |
D단자의 종류
종류 |
길이 |
모델 |

|
1.5m |
도시바(東芝) TSC-VX02 |
1.5m |
마쓰시타(松下) RP-CVDG15 |
3.0m |
마쓰시타(松下) RP-CVDG30 |
5.0m |
빅터 VX-DS150 |
10.0m |
마쓰시타(松下) TY-SC10DD |

|
1.5m |
도시바(東芝) TSC-VX01 |
3.0m |
마쓰시타(松下) RP-CVCDG30 |
10.0m |
마쓰시타(松下) TY-SC10DT |

|
1.0m |
마쓰시타(松下) RP-CVPCG10 |
2.0m |
마쓰시타(松下) RP-CVPCG20 |
5.0m |
마쓰시타(松下) RP-CVPCG50 |
10.0m |
마쓰시타(松下) TY-SC10CP |

|
1m |
빅터 VX-DS410 |
2m |
빅터 VX-DS420 |
3m |
빅터 VX-DS430 |
5m |
빅터 VX-DS450 |

|
D단자 중계기 |
빅터 VZ-DS100 | |
|
i-Link케이블(IEEE1394) |
BS 디지털방송이 시작되고 디지털TV의 화질을 그대로 녹화하고 싶은 분들이 늘어나고 있다.
녹화하기 위해서는 BS 디지털튜너와 D-VHS등의 HDTV기록 기기를 iLink 케이블로 접속해야 합니다.
기존의 디지털캠코더에는 iLink 단자(DV 단자)가 있는 기종이 요즘에 많이 나오고 있으며, 컴퓨터에도 iLink 단자(DV 단자 등)가 있다.
i Link의 케이블은 2종류의 type이 있는데 가 있는데, 가전제품에 많은 4핀타입(아래그림 왼쪽)과 컴퓨터에 많은 6핀타입(아래그림 오른쪽)이 있다.
케이블에는 4핀케이블, 6핀케이블, 4핀+6핀케이블의 세가지 종류가 있다.
Link(4pin) Type
Link(6pin) Type
i Link 케이블은 보통 4~5m 정도가 적당하다. 전송속도는 아래와 같이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종류 |
속도 |
용도 |
S100 |
100Mbps |
DV |
S200 |
200Mbps |
MPEG2/DV |
S400 |
400Mbps |
MPEG2/DV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