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구 설계기준
1. 전력구 규모
. 다음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결정
가.GIS 변전소의 인출전력구
1) 최종 송배전 회선수, 주변압기 대수, 장래 지중화 전망을 고려하여 충분한 규모의 크기로 한다.
2) 격벽을 설치하여 송전 및 배전 구분
3) 인출 전력구가 양방향으로 인출 시는 별도 검토
4) 송전회선수가 복도체 규모일 경우에는 별도 검토
<예시>
○ 전회선 지중인출 변전소 송전 8회선
배전 36회선
통신 1단
○ 가공 및 지중 복합 인출 변전소
- 향후 지중화 전망 시 송전 8회선
배전 36회선
통신 1단
- 향후 지중화 전망 없을 시 송전 (총 인출 회선수 - 가공 T/L 인출수)
배전 36회선
통신 1단
나. 케이블이 분기 또는 교차가 예상되는 구간에는 최종 규모의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에서 순시 및 작업통로가 확보되는 구조로 한다.
다. 전력구의 최소 규모 (내폭*내고)
전압-------폭 * 높이
[송전]
345kV------- 2.3*2.1
154kV------- 2.2*2.1
[배전]
12회선 이하--- 1.5*2.1
18회선 이하--- 1.7*2.1
26회선 이하--- 1.8*2.1
33회선 이하--- 2.0*2.1
39회선 이하--- 2.2*2.1
..
2. 전력구의 단면기준
가. 높이
1) 최소높이 : 통로 바닥에서 천장까지 2.1M 이상. 소방설비 송수관의 설치를 위하여 별도 검토.
2) 유효높이 :
구형 : 통로바닥에서 천장까지
터널형 : 통로바닥에서 가상 구형단면과 아치교차점에 150mm 더한 높이
3) 최대유효 높이 : 3.0m이하. 3.0m를 초과할 경우 - 2련또는 2층구조
4) 케이블 행거 상하 간격
구 분---행거상하간격----최하단 행거와 바닥간 간격
345 kV----550----------------400
154 kV----400----------------300
66 kV-----400----------------300
기타------250----------------300
나. 폭
154kV : 2.2m
345kV : 2.3m
작업용 통로 : 800mm
다. 헌치 : 150mm * 150mm, 하부는 적용치 않음
3. 케이블 접속공간 설치기준 (맨홀)
가. 접속개소의 간격표준은 350m를 기준으로하고 최대 400m이내이어야 하며, 400m 초과시 관련사업소와 협의 후 결정한다.
-접속공간 설치의 적정성 (현장시공여건)
-케이블 시스에 유기되는 대지전압
-케이블의 제조능력, 운반 및 포설여건
-선로의 장래 계획 및 경제성
나. 규격
1) 표준접속공간
가) 길이 : 접속부 길이, 케이블 허용곡율반경 등
나) 폭 : 접속함과 벽면과의 이격거리, 케이블 허용곡율반경, 작업 및 순시통로 등.
2) 높이 : 접속부 표준 배치간격 ( 맨홀 -다항 참조)
3) 편측 송전2회선 초과배치시 접속개소
-2개의 접속공간을 직렬 또는 병렬로 배치하여 각각 2회선씩 접속
4) 접속공간 출입구 : 맨홀 출입구에 준한다.
4. 곡율반경
전력구 내측을 기준으로 최소 3m 이상으로 하되 곡면을 매끄럽게 처리한다.
5. 종단기울기
H / L ≤ 1 / 2, 통로 부분에 필요시 계단 설치
기울기 1/2 이상에서는 별도 검토
<참고>
- 최저구배 : 0.2%
- 계산은 경사도 1:8(12.5%)을 넘는 경우 설치
6. 기타시설 - 다음 시설들을 설치한다.
지지대(Angle Support)의 간격 : 1.5m
분기구, 환기구, 집수정, 작업원의 출입구, 급유설치공간 및 접지설비
조명, 환기, 배수, 소방, 승강기, 안전설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