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와 ‘부’를 상징하는 부엉이<OWI / 묘두응(猫头鹰)>
부엉이의 부엉~부엉~하는 울음소리가 “부흥부흥”과 유사하게 들린다고 해서 강원도에서는 부엉이를 “부흥이” 라고 부르기도 한다.
부엉이는 밤에 사냥을 나가면 무엇이든 잡아다 저장해, 놓는 습성이 있어
예로 부터 ‘부엉이 둥지에는 없는 것이 없다’는 말이 있어서 행운을 얻은 사람을
일컬어 “부엉이 집을 건드렸느냐 ?”
또는 “부엉이 곳간, 부엉이살림 같다”라고 하기도 한다.
☆☆☆ 일본에서는 부엉이가 ‘후쿠로우 <ふくろう / 효(梟)>인데
이는 부엉이가 복을 가지고 들어오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한다.
후쿠로우라는 뜻은 부엉이를 나타내는데 밤에 일하는 사람을 말하며,
부엉이는 미미즈쿠 <みみずく목도(木菟)>라고. 불리는데
후쿠로우 라는 발음이 다른 뜻으로는 복을 불러오다 또는 고생하지 않는다의 일본어와도 비슷해서 후쿠로우(부엉이)는 일본 내에서 많은 사랑을 받는것 같아요 :)
☆☆☆ 중국에서는 낮에는 사람이 돈을 벌어오고 밤에는
그 돈을 부엉이가 지켜준다는 속담이 있어 부자가 되게 해주는
길상조로 여기고 있다.
☆☆☆ 유럽에서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Minerva)’
어깨위나 손바닥위에 올빼미가 있는 것으로 유명해,
올빼미는 부와 지혜의 상징으로 사람들에게 소중하게 취급되고 있다.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의 딸 아테나는 지혜와 전쟁 그리고 예술과 학문의 여신이다. 갑옷과 무기를 든 채 제우스의 머리에서 태어난 처녀의 신으로 지혜를 상징하는 부엉이와 함께 다녔다. 부엉이는 아테나의 전령이었던 셈이다. '부엉이를 아테나에게 데려가다(carry owls to Athens)'라는 서양의 속담이 있다. 이것은 '쓸데없는 짓을 하다'라는 뜻이다. 아테나의 곁에는 언제나 부엉이가 붙어 있으니, 아테나에게 부엉이를 데려가는 일처럼 쓸데없는 짓은 없다는 것이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인들과 접촉하면서 그리스 신화를 받아들였다. 이때 그리스 신들의 이름을 로마식으로 바꾸었다.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는 로마 신화에서 미네르바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며, 미네르바의 전령인 부엉이는 후세에 '미네르바의 부엉이'로 알려진다.
☆☆☆ 미네르바(Minerva)
올빼미와 올리브 잎사귀
앞면 : 원형 귀걸이와 진주 목걸이를 하고, 장식된 아티카 투구를 쓴
아테나 여신의 우측면 두상.
뒷면 : 올빼미가 오른편으로 서서 정면을 바라보고 있음.
왼편에 올리브 가지와 초생달
기원전 454~404년 아테네 발행~~~
페르시아 전쟁 후, 펠로폰네소스 전쟁 전, 아테네가 그리스 세계의 패권을 잡고 있을 무렵에 발행된 테트라 드라크마 (4 드라크마) 은화입니다.
최대의 적은 최대의 동지
여신 미네르바는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에 해당하며, 지혜와 기술을 주관하는 신으로 숭배되었다. 그녀에 관한 전설도 거의 대부분 그리스 신화와 동일하다.
로마 신화에서 이 여신은 트로이 전쟁 때 그리스 편에 가담한 것으로 나온다. 고르곤(Gorgon / 메두샤)의 방패를 들고 전쟁에 참가하여 병사들의 사기를 북돋웠다고 한다. 하지만 로마가 건국된 후에는 로마를 수호하는 여신이 되었다.
트로이의 최대의 적 중 하나였던 그녀가 어떻게 로마의
수호신이 될 수 있었을까 하는 것은 로마인들의 사고방식에 따른 것이었다. 그들은 다른 민족들의 우수한 점을 흡수하는 것을 미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위대한 그리스의 신들을 아무런 저항 없이
자신들의 신으로 받아들이면서 오히려 자랑스럽게 생각할 정도였다.
-------♡♡-♡♡♡♡♡
☆☆☆ 인도에서는 비슈누의 부인인 부와 행운의 여신인
‘락슈미 여신’(길상천)이 타고 다니는 새가 바로 부엉이다.
락슈미가 불교로 영입되면서 부엉이가 어둠에 있는 중생을
빛으로 인도하는 길잡이 역할인 길상천(공덕천)이 되었다고 한다.
부엉이가 밤에 몰래 빈곤한 자들에게 재물을 나누어주지만
오만과 게으름. 그리고 무명이 걷히지 않으면 재물을 거두어간다는 것이다.
<락슈미의 언니 알락슈미(빈곤의 여신)에게 재물을 나누어. 주다보니
발현된 신화로 시작된다>.
목뼈가 발달하여 양쪽으로 270°까지 고개를 돌릴 수 있어
움직이지 않고도 주위를 살필 수 있다.
커다란 눈으로 밤에도 잘 볼 수 있고, 정확하게 먹이까지의 거리를 잴 수 있지만 시력보다 청력이 더 좋으며, 청력은 고양이의 4배에 달한다.
<야간 투시 능력이 인간의 100배>
부지런하고 총명하고. 용감한 부엉이의 능력은 결국 근면을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부와도 연관되다 보니, 쿠베라 즉 재보천왕과도 남매같은 여운을 남기고 있다
재보천왕은 북방의 신으로 불교에서는 비사문천. 북방을 수호하는 다문천왕이다??
그래서 금광명경에서의 길상천은 비사문천의 비(아내)로도 등장한다
무명을 벗어나게 하는 지혜의 상징이며 근면과 성실과 하심의 표상일것이다?
그런데 락슈미가 불교로 영입되어, 길상천이 되면서 부터는 한, 중, 일본의 탱화나 도상이나 조각물 어느 부조물에서는 부엉이를 찾아 볼수가 없고
왼손에 여의주만 들고 있을뿐이다.
☆☆☆ 길상천녀(吉祥天女)
범어(梵語)의 슈리마하데위(Śrīmahādevī 큰 여신 슈리)의 역어(譯語)로서, 실리마하제비(實利摩訶提毘) ·마하실리(摩訶實利) 등으로 음역(音譯)한다.
길상천녀(吉祥天女) 또는 공덕천(功德天)이라고도 한다.
원래 인도 신화에서는 락슈미(Lakṣmī)라고도 하여 비슈누신(神)의 아내이고,
애욕(愛慾)의 신 카마의 어머니이며, 행복을 주관하는 여신이었다.
그러다가 불교에 수용된 후로는 복덕(福德)을 주는 여신이 되어
대공덕천왕(大功德天王)이라고도 불리며, 이 천녀(天女)에게 공양하면
누구나 복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밀교(密敎)에서는 비사문천(毘沙門天)의 비(妃)로서 북방에 살고 있다고 하는데, 그 형상은 일정하지 않으나
아름다운 얼굴에 천의(天衣)를 걸치고,
왼손에는 여의주(如意珠)를 들고 있는 모습이 많다.
논술 : 고중록

비슈누(Vishnu)<승물-금시조(金翅鳥)>의 부인 락슈미(Lakṣmī)와 부엉이

불교에 영입된 락슈미(Lakṣmī) 길상천(공덕천)비사문천의 아내가 되다.

미네르바(Minerva)와 부엉이(owl)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Minerva)’ 손바닥위에 올빼미

고르곤(Gorgon / 메두샤)의 방패

앞면 : 원형 귀걸이와 진주 목걸이로 장식된 아티카 투구를 쓴 아테나 여신의 우측면 두상. 뒷면 : 올빼미가 오른편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집안에 두면 부와 행운은 가져다 준다는 길상천 선인장(일본에서 유행)

부엉이(owl)

올빼미(tawny ow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