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사
1.기능에 따른 접사의 분류
ㄱ. 한정적 접사(가의적 접사)-어근의 뜻만을 한정하는 접사-모든 접두사, 일부 접미사
:덧신, 드높다, 못질 등
ㄴ. 지배적 접사(조어적 접사)-접미사 중 일부
①품사를 바꾸는 접미사:덮개, 높이, 많이...
②통사구조를 바꾸는 접미사:피동/사동 파생 접미사 전부(문장성분에 변화를 줌),
님(종결어미를 바꿈)
2.접두파생법
ㄱ.명사에 붙은 접두사는 관형사(관형어)와 성질이 비슷함(관형사성 접두사)
①개-(함부로 되어 변변치 못한, 야생의): 개떡, 개살구,
②날-(아직 익지 않은): 날고기, 날김치, 날계란
③맨-(순전하게 다만 그것뿐): 맨머리, 맨몸, 맨주먹
ㄴ.용언에 붙는 접두사는 부사(부사어)와 성질이 비슷함(부사성 접두사)
①들-(몹시, 함부로): 들볶다, 들끓다, 들쑤시다
②빗-(잘못): 빗디디다, 빗대다, 빗나가다
③짓-(함부로): 짓이기다, 짓밟다, 짓찧다
(표준국어문법론에서)
첫댓글 후배들을 위해 접사와 어근의 차이점을 설명해 주셔도 좋을 듯 합니다. 또한, 어간.어기.어근의 사소한 차이점도 첨가해 주심..좋지 않을까,...(운대생각)
운대가 직접 하길 희망하오.(국연생각)
후배들을 위해~~선배님들~ 후배들은 희망하옵나이다.~~~
구분해서 보니까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관형사, 부사와 접두사의 구분은 휴지를 둘 수 있느냐 없느냐로 가능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