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어말어미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2003, 기말)
① 종결어미 ② 선어말어미 ③ 연결어미 ④ 전성어미
정답) ② 선어말어미(시,었,겠)의 말뜻이 어말어미에 선행한다는 말로 선어말어미는 다시 어말어미를 뒤에 필요로 합니다.
2. “공부하-”에 사용된 종결어미와 그 기능이 모두 올바로 짝지어진 것은? (2003, 기말)
① 공부하네 - 평서형 - 하오체 ② 공부해 - 의문형 - 해라체
③ 공부해요 - 명령형 - 반말체 ④ 공부하세 - 청유형 - 하게체
정답) ④ 하네-하게체, 해요-해요체, 해-해체(반말투)
3. 밑줄 친 관형절과 후행 표제명사의 통사적 관계가 다른 하나는? (2003, 기말)
① 비가 오는 소리가 들린다. ② 그가 웃는 모습이 아름답다.
③ 내가 만나던 사람이 떠났다. ④ 그가 범인인 사실이 밝혀졌다.
정답) ③ 오는, 웃는, 범인인은 자동사로 소리, 모습, 사실이 관형절 안으로 들어갈 수 없지만 3번은 내가 사람을 만나던(타동사이므로)처럼 절 안으로 ‘사람’이 들어갑니다.
4. 국어 종결어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2004, 기말)
① 종결어미는 문장의 선조적 구성을 완성해 주는 어미이다.
② 종결어미는 문장의 유형을 결정해 준다.
③ 종결어미는 상대경어법을 나타내 준다.
④ 종결어미는 시제를 표시해 준다.
정답) ④ 시제는 역할을 하는 시제 선어말 어미가 따로 있습니다.
5. 아래의 예문 가운제 불특정 대상을 상대로 하는 표현으로서 잘못된 것은? (2004, 기말)
① 올림픽 대표팀, 장도에 오르다. ② 누구를 위한 보험인가?
③ 아래의 질문에 알맞은 답을 골라라. ④ 우리 모두 통일의 길로 나서자.
정답) ③ 절대문에 대한 문제로 ‘골라라’는 ‘아라’ 어미가 결합된 ‘해라’체입니다. ‘고르라’로 고쳐야 합니다.
6. 다음의 설명 중 종결어미와 관련되는 것은? (2005, 기말)
(가) 문장의 유형을 결정한다. (나) 상대경어법을 나타내 준다.
(다) 주체 높임 여부를 나타내 준다. (라) 문장이 다른 품사의 기능을 하게 하기도 한다.
① (가)-(나) ② (나)-(다) ③ (다)-(라) ④ (가)-(다)
정답) ① (다)는 주체높임선어말어미 ‘시’에 관한 설명이고 (라)는 전성어미입니다.
7. 다음의 문장 가운데 불특정한 청자를 대상으로 하는 표현이 될 수 없는 것은? (2005, 기말)
① 축구 대표팀, 내일 장도에 오르다. ② 우리 모두 통일의 길로 나서자.
③ 정부는 각성하라. ④ 날 좀 도와 줘.
정답) ④
8. 다음 설명 가운데 종결어미와 관련되는 것은? (2006, 기말)
㈎ 어말어미 중의 하나이다.
㈏ 문장의 선조적 구성을 완성해 주는 어미이다.
㈐ 문장의 유형을 결정해 준다.
㈑ 우분지 언어의 특성을 보여 주는 것이다.
㈒ 상대경어법의 체계를 이행한다.
① 2개 ② 3개 ③ 4개 ④ 5개
정답) ③ 국어는 좌분지언어이다.
9. 다음 중 문장의 유형과 그 의미 기능이 일치하지 않는 것은? (2006, 기말)
① 너는 내일 오전 9시까지 학교에 와야 한다.
② 밖에 지금 비가 와?
③ 집에 같이 가자.
④ 저 좀 도와 주세요.
정답) ① ①평서문, ②의문문, ③청유문,④명령문. ①엔 9시까지 학교에 오라는 명령의 의미가 들어 있음
10. 다음의 어미 중에서 문장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은? (2004, 동계)
① 종결어미 ② 선어말어미 ③ 전성어미 ④ 접속어미
정답) ①
11. 다음의 예문 가운데 상대경어법의 등급이 다른 하나는? (2004, 동계)
① 밖에 누가 왔소? ② 이것 좀 보시오.
③ 그만 집에 가세. ④ 우리끼리 합시다.
정답) ③
12. 어미 ‘-아’는 억양에 따라 다양한 문장에 쓰일 수 있다. 다음 중 ‘집에 가’라는 문장이 될 수 없는 문장의 유형은? (2004, 동계)
① 의문문 ② 평서문 ③ 명령문 ④ 약속문
정답) ④
13.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에 종결어미가 들어 있는 것은? (2006, 동계)
① “손을 왜 다쳤니?” “응, 망치로 못을 박다가.”
② “가을 하늘이 높아서 그 끝을 모르겠구나.”
③ “지난번 시험 문제는 어려웠다고 들었는데요?”
④ “저는 한 번 만난 사람은 결코 잊지 않습니다.”
정답) ③
14. 다음 중 의문형 어미로 쓰이지 않는 것은? (2006, 동계)
① -네 ② -지 ③ -오 ④ -아요
정답) ①
15. 다음 중 청유형 종결어미가 사용된 문장은? (2006, 동계)
① “오늘은 집에 일찍 들어오너라.”
② “약속 시간에 늦었으니 서두릅시다.”
③ “ 차린 것은 없지만 많이들 드십시오.”
④ “미희가 곧 도착한다니 보고 가려무나.”
정답) ②
첫댓글 다음부턴 색깔
로 쓸께요. 요번에 너무 늦게 올려 죄송합니다. 
고생하셨어요..^^
ㅎ수고하셨습니다. ^^/
감사하게 봅니다.^^ 그런데, 봐도 모르겠어요...^^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