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 유제품과 겔포스, 소화제, 감기약, 변비약
겔포스 등 제산제, 아진탈, 노루모, 메디자임 등 소화제, 감기약, 변비약 등과 함께 먹으면 약효가 체내에 흡수되지 않고 그냥 배출된다.
감기약과 우유
감기약과 우유를 함께 먹으면 약의 성분과 칼슘이 결합돼 흡수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
변비약과 우유
변비약은 보통 대장에서 약효를 내도록 코팅이 되어 있다. 우유와 함께 복용하면 대장에 미처 도달하기전에 위에서 다 녹아버려 복통등의 부작용이 생긴다.
요구르트와 항생제(테트라시아클린外)
요구르트와 우유 버터등 유제품류를 먹은뒤 항생제를 복용하면 흡수에 영향을 미쳐 약효가 없어 진다.
자몽쥬스와 고혈압 치료제, 콧물감기약, 알러지약
고혈압 치료제인 스프렌딜, 항우울제 자낙스, 콧물감기나 알러지 증상에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 터페나딘 등은 특히 자몽주스와 함께 복용할 경우 약물의 간대사를 방해해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다.
클라리틴, 알레그라, 베니드릴(항히스타민제)도 자몽쥬스도 함께 복용하면 안된다.
오렌지 쥬스와 겔포스
오렌지 쥬스는 겔포스 등 제산제의 주성분인 알루미늄 성분을 체내로 흡수하도록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이외에도 산성과일주스나 콜라, 사이다 등 탄산이 함유된 음료는 약이 장에 이르기 전에 미리 용해되기 때문에 함께 먹으면 좋지 않다.
오렌지 쥬스와 암피실린.클록사실린.에리스로마이신 같은 항생제
암피실린.클록사실린.에리스로마이신 같은 항생제 복용시에는 오렌지주스 등 산성음료를 피하는 게 상책이다. 이들 약은 산성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이다.일부 고혈압치료제(아달라트.노바스크)나 클라리틴.알레그라.베나드릴 등 항히스타민제 복용시 자몽주스를 마시는 것은 위험하므로 피해야한다.
청어, 고등어와 천식 치료제
청어, 고등어 등 등푸른 생선은 최근 건강식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천식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에게는 독과 같다.
맥주와 우울증 치료제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맥주와 함께 약물을 복용하면 맥주에 들어있는 타라민 성분이 약물과 반응해 위험할 수도 있다.
녹차 홍차와 비타민제,빈혈치료제
또 암을 억제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녹차나 홍차의 탄닌성분은 비타민제와 빈혈치료제의 약효를 떨어뜨리는 역할을 한다.
이외에 카페인이 든 커피, 홍차, 우롱차 등은 강심작용이나 이뇨작용 등을 유발해 약효를 떨어뜨리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강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드링크류.피로회복제.종합감기약.살빼는 약
드링크류.피로회복제.종합감기약.살빼는 약 등 카페인이 들어있는 약을 복용 중이면 커피.홍차.녹차.콜라 등 카페인 음료를 가급적 멀리 하는 것이 안전하다. 같이 먹으면 카페인 과잉으로 심장이 심하게 두근거린다.
기침약(에페드린)과 카페인
기침약에 들어 있는 에페드린 성분은 카페인과 상극작용을 일으켜 심장에 부담을 줄수 있다. 커피 콜라 초콜릿등은 삼가해야 한다.
타가마트.잔탁.펩시드.파모티딘 등 위궤양 치료제
타가마트.잔탁.펩시드.파모티딘 등 위궤양 치료제도 카페인 음료와 함께 복용해서는 안된다며 혈중 카페인 농도가 높아져 신경과민.위장장애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빈혈약을 복용 중인 사람은 차를 함께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홍차.녹차 등 떫은 맛을 내는 차의 타닌 성분이 철분과 결합해 배설되기 때문이다.
MAO가 주성분인 고혈압약
고혈압 치료제 파르길린(유토닐)을 복용중인 환자는 청어.바나나.맥주.치즈.누에콩.적포도주.요구르트.간.효모.오래된 육류 등 티라민 성분이 많이 든 음식을 피해야 한다. 티라민이 혈압을 갑자기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뇌졸증을 일으킬수 있다.
아이나 (결핵치료제) 치즈, 정어리
아이나를 복용중인 결핵 환자는 치즈.정어리를 먹으면 얼굴이 화끈거리거나 오한.두통 등이 생길 수 있다.
테오펠린(천식치료제)와 숯불로 구운 고기
천식치료제인 테오필린을 복용 중인 사람이 탄 고기를 먹으면 약효가 없어진다.
수면제 항불안제 진정제 기침감기약 과 술
수면제나 항불안제 진정제 기침감기약등과 술과는 완전 상극 술과 함께 먹으면 증상이 더 악화된다.
당뇨약과 설탕
당뇨약을 복용할 때는 설탕을 먹지 말아야 한다. 전신 무력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페니토인(간질 치료제) 와 조미료
간질환자는 조미료를 절대 먹지 말아야 한다. 약과 조미료의 화학반응으로 전신무력감 및 졸음과 피로감이 온다.
그외 함께 먹으면 안되는 음식과 약
와파린 (항응고제)는 시금치, 브로콜리, 순무 등 푸른야채의 비타민K와 상극
티폭신, 라오티로닌(갑상성기능저하 치료제)은 양상추를 피해야 한다.
카포텐, 바소텍(심장병 치료제)은 바나나등 칼륨이 풍부한 식품을 피해야함
당뇨병 치료제인 클로르프로파마이드(다이아비네스정), 협심증 치료제인 니트로글리세린
술과 약도 잘못된 만남이 있다. 당뇨병 치료제인 클로르프로파마이드(다이아비네스정), 협심증 치료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하는 도중 술을 마시면, 각각 저혈당. 저혈압 발생 위험이 있다.
술, 담배도 약과는 상극
흡연 여성이 여성호르몬 성분의 피임약을 복용하면 혈전증을 일으킬 위험이 높아진다.
또 흡연자가 테오필린 성분이 들어있는 천식약을 먹을 때는 비흡연자에 비해 많은 양을 먹어야 원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흡연이 간이 효소작용을 항진시켜 대사를 촉진하기 때문이다.
당뇨병 치료제를 먹으면서 술을 마시면 안면이 붉어지거나 두통, 메스꺼움,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수면제나 진정제, 기침 감기약을 복용하면서 만성적으로 술을 마시면 약이 잘 분해되지않기 때문에 약 복용기간에는 금주하는 것이 좋다.
약을 복용하면서 담배를 피울 경우 간에서 약이 빠르게 대사(代謝)되기 때문에 약효가 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 식사 자체가 약의 흡수에 영향 미친다
항생제인 페니실린.암피실린.테트라사이클린.리팜피신, 해열.진통제인 아스피린은 배부른 상태에서 먹으면 공복시 충분한 물과 함께 복용했을 때에 비해 흡수율이 50%나 떨어진다.
위장약인 수크랄페이트(상품명 아루사루민정)는 음식의 단백질과 결합하면 약효가 떨어지므로 식사 1~2시간 전에 복용해야 한다. 반대로 무좀약인 그리세오풀빈(그리빈정).이트라코나졸(스포라녹스캅셀), 비타민 B2, 우울증치료제인 리튬 등은 음식을 먹으면서 함께 복용해야 잘 흡수된다. 이 약들은 지방에 잘 녹기 때문에 음식의 지방에 녹아 흡수가 잘 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경우 식사 후 바로 약을 복용해야 위의 자극.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염.진통제인 디클로페낙(볼타렌정.유페낙정), 이부프로펜(부루펜정.대웅이부프로펜정), 나프록센(낙센정.디스펜정)과 항생제인 아목사실린(아목사펜캅셀.곰실린캅셀), 이뇨제인 푸로세마이드(라식스정.후릭스정)가 그런 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
알아두어야할 좋은 내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