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목 인대손상
발목의 관절을 지지해 주는 인대가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경우를 말합니다. 흔히 발목이 뻐었다고 말할 경우 많이 발생 합니다. 가벼운 인대 손상의 경우 응급조치만으로 저절로 회복이 이루어지지만 단순히 삐었다고 치료를 소홀이 하고 방치 할 경우 발목 관절염으로 진행되는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발목 손상은 한번 발생하면 같은 부위에 자주 반복적으로 손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처음 손상 시 재대로 된 치료와 회복이 필요합니다. 
발목 인대손상의 종류
손상 부위에 따른 분류
1.발목 바깥쪽 손상
발목인대 손상의 90%이상을 차지하며 내반손상이라고도 합니다. 균형을 잃어 발목이 안쪽으로 뒤틀리면서 발목의 바깥쪽 인대 부분에 손상이 가는 것을 말합니다. 체중의 힘이 꺾인 발목 부위로 힘이 가해져 손상이 심해지는 경우입니다.
바깥쪽 복사뼈 아래 부분이 심한 통증과 함께 멍이 들거나 부어 오릅니다. 내반손상의 경우 한번 발생 하면 자주 반복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2.발목 안쪽 손상
보통 발목이 바깥쪽으로 꺾여 발목 안쪽 인대가 손상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발목 안쪽에 있는 인대는바깥쪽의 인대보다 두껍기 때문에 더 많은 힘을 견딜 수 있습니다. 하지만 손상이 발생하면 위험성이 더 크게 나타납니다.
3.발목 위쪽 손상
흔히 발생하지는 않지만 바깥쪽으로 발목이 돌아가거나 발목이 너무 강하게 위로 올려 질 때 손상을 받게 되며 외력이 강할 수록 더욱 큰 손상이 발생합니다. 발목 위쪽 인대 손상의 경우는 다른 경우보다 치유가 어렵고 장기간의 회복기간이 필요합니다.
손상의 정도에 따른 분류
1.1도 염좌
인대섬유가 늘어났거나 미세하게 찢어진 것으로 약간의 통증과 부족, 관절 경직이 나타납니다. 손상 후 혼자서 충분히 걸을 수 있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2.2도 염좌
인대섬유가 약간 찢어지고 분리된 상태를 말하며 강한 통증, 부종, 관절 경직이 생깁니다. 손상이 가해지는 순간 심각한 통증이 있으며 손상 후 손상된 발목으로 지탱 할 수 없어 절뚝거립니다.
3.3도 염좌
인대가 완전히 끊어진 상태를 말하며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고 부종도 심하고 수술적 재거이 불안정성 회복을 위해 필요합니다. 손상이 가해지는 순간 아주 심한 통증이 있으며 발목을 지탱 하는게 불가능하며 발목 전체적으로 붓기와 피멍이 있습니다.
처음 발목을 삐었을 때 발목 바깥쪽에 있는 인대들 가운데 일부가 파열되고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파열된 부위에 흉터 조직이 그 사이를 매우면서 회복됩니다. 하지만 인대들은 부상 전보다 더 늘어난 상태로 발목을 지탱하는 근력과 안정성이 감소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한번 발목 손상이 이루어지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나타납니다
전거 비인대 파열
발목염좌의 90%가 내반 손상으로 발목이 안쪽으로 뒤틀리면서 균형을 잃어 체중의 힘에 의해 손상이 발생합니다.
인대에 대한 외력이 늘어나면서 뼈에 부착된 부위가 일부 늘어나거나 파열되게 됩니다. 그중 복사뼈 주위의 전거비인대가 가장 약해 자주 손상을 받습니다.발목의 손상의 경우 반복적으로 접질리는 경우 인대가 끊어지거나 만성적 불안정성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초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족부질환
발은 약 26개의 뼈(양쪽 발을 합쳐 도합 52개)와 수많은 관절과 인대, 신경, 혈관 등이 복잡하게 연결되어 조화를 이룬 정교한 신체기관입니다. 발은 모든 동물이 다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인류학적으로 손을 자유롭게 쓰고 중력에 저항하여 두발로 안전하게 걸을 수 있는 인간만이 가진 유일한 창조물입니다.
따라서 해부학적 발의 구조 중 하나라도 그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발에 통증이 생기면서 걷는 자세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물론 몸의 다른 부분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발의 각 부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휜다리, 척추측만증 그리고 일자목과 같은 척추 질환을 유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활동의 저해 및 비만에 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른 교정을 받아야만 합니다
보통 발을 옆에서 보면 발바닥의 후족부인 종골과 발가락 뿌리에 해당하는 종족부 사이에는 자연스런 형태의 아치(ARCH)가 있습니다. 이 아치는 보행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면서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합니다.
발목은 2개의 관절로 이루어져 있는데, 위에 있는 발목 관절은 흔히 복숭아뼈라고 불리우는 경골, 비골, 거골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발목 아래 관절은 거골과 뒤꿈치뼈 라고 불리는 종골로 구성되어 있으며, 윗 발목 관절은 발의 위 아래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발목 아래 관절은 측면 운동을 가능케 합니다.
발목 주위에는 수많은 인대가 붙어 있으며, 그 중에서 아킬레스건은 강한 도약이나 점프 등을 할 때 기능하는 인체에서 가장 굵은 인대입니다. 이러한 발의 각 부분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휜다리, 척추측만증 그리고 일자목 등과 같은 척추 질환을 유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장활동의 저해 및 비만에 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교정을 받아야만 합니다
원인
발에 생기는 기형 및 질환 등에 의해 발에 고통을 주는 것은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지만 발의 이상으로 인해 자세와 보행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흔치 않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분명한 점은 발의 이상으로 인해 다른 신체 부위에 문제점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발에 문제가 생기게 되면 걸음걸이에 이상이 생기게 되고, 이것이 수년 내지 수십 년씩 쌓이다 보면 무릎, 고관절, 허리 등에 통증 및 관절염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전체 인구의 약 80%가 무릎, 고관절, 척추, 목 부위의 통증을 경험하는데 이들 중 상당수가 비정상적인 발로 인한 원인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국내에서의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미국에서는 5명중 4명이 발에 문제를 갖고 있고 이것으로 인해 증상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발의 건강은 젊은 발의 경우 회복력이 좋아 자그마한 손상은 거뜬히 나을 수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회복력은 더디어지고 크고 작은 손상이 누적되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사람이 나이를 먹음에 따라 발이 점점 더 불편해 지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젊었을 때 너무 유행을 따르다 보면 자신에 맞지 않는 구두를 신고 발을 혹사시키게 되어 나이가 들어 고생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들은 본인이 신발이나 양말에 좀더 신경을 쓰고 관심을 가져야 발의 문제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이런 구두를 신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부득이하게 신어야 할 경우에는 장시간 신지 말고 굽이 낮고 편한 신발과 번갈아 신는 것이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치
대부분의 아치 통증은 비정상적인 아치구조로 인해 생기게 되는데, 아치구조가 비정상적인 경우 아치통증 뿐만 아니라 발 전체는 물론 이로 인한 발목, 무릎, 척추, 목에까지도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비정상적인 아치는 크게 두 부류(평발과 까치발)로 구분할 수 있지만, 아치의 편함이나 통증이 생겼을 경우, 일단 그 통증이 족저 건막염으로 인한 것인지 잘 구분해야 합니다.
일단 족저 건막염이 아니라면, 발을 아치의 높이(평발과 까치발) 그리고 아치의 유연(유연과 경직)에 따라 구분하여야 합니다
아치유형에 따른 발분류
1. 경직평발
경직 평발은 발의 아치 부분이 내려앉아 평평한 상태로 경직되어 있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발의 아치를 이루고 있는 관절들이 굳어져있는 상태이므로 주저앉은 아치부분에 정상적인 발보다 더 많은 힘을 싣게 됩니다.이로 인해 발의 아치 부분의 통증을 호소하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관절들이 이미 경직된 평발의 경우에 수술도 좋은 치료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지 통증 때문이라면 보호 오소틱(Accommodative orthotics)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호 오소틱은 아주 부드럽고 연한 재질로 만들어지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미 경직된 기형은 족부교정기로는 교정하기 매우 어렵기 때문이며 치료의 초점이 교정보다는 충격을 줄여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2.유연평발
유연까치발은 매우 높은 아치를 갖고 있지만 힘과 충격이 가해질 때 아치가 정상적인 모양으로 되돌아 오는 경우입니다.이 경우 아치 관절들이 많이 움직이기 때문에 아치 통증을 느낄 수 있으므로, 아치가 잘 맞는 오소틱이 필요합니다.
3.정강이 근육통
다리 앞근육군은 다리 뒷근육군과 서로 견제하며 발목 균형을 유지하게 해줍니다. 앞근육은 발등을 올릴 수 잇게 하고 뒷근육은 발등을 내려주는 역할을 하며 보행 중 발이 뒤꿈치에서부터 착지한 후 발 앞부분이 내려갈 때 다리 뒷근육이 수축하게 됩니다.
이때 발 앞부분이 너무 빠른 속도로 내려가는 것을 막기 위해 마치 줄다리기를 하듯이 다리 앞 근육이 더 많은 수축을 해야하므로 앞 근육에 통증이 오게 되고 심한 경우 뼈에 붙어 있는 앞근육이 찢어지기도 합니다.
걷거나 달릴 경우 발 뒷꿈치가 땅에 닿을 때 통증이 가장 심함을 느끼게 되며 기능 오소틱으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자주삐거나 약한 발목
발목의 바깥쪽 인대는 안쪽인대에 비해 매우 약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이유로 해서 대부분의 경우 발목 바깥쪽에 염좌가 일어나게 됩니다. 발목 관절이 발 안쪽으로 구부러져 있는 경우 (내반), 쉽게 바깥쪽 발목에 염좌가 생기거나 인대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5.안짱걸음/팔자걸음
안짱 또는 팔자 걸음은 대부분 발목관절의 기형화(내반 또는 외반)에서 시작됩니다. 발목 관절의 기형은 발 아치의 기형을 낳게 되며, 이로 인해 안짱 또는 팔자 걸음을 유발하게 됩니다.특별 디자인된 기능 오소틱으로 발목과 아치를 교정하면 장기간 사용시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6.X/O형 다리
일반적으로 O형 다리에서는 발목관절의 외반(pronation), X형 다리에서는 발목관절의 내반(supination)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발목관절의 기형이 무릎관절에 영향을 끼치게 되고 O형 또는 X형 다리를 유발하게 됩니다.기능성 오소틱으로 발목의 기형을 교정하면 자동적으로 O형또는 X형의 다리를 교정해 줄 수도 있으며 물론 장기간 사용해야 합니다.
7.척추 (목과 요추)의 기형 및 통증
발은 직립 보행의 기본 틀입니다. 발의 균형이 깨졌을 때 그 위에 서있는 뼈들(무릎과 척추)은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머리 통증과 요통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오래된 두통과 요통, 특히 특별한 이유 없는 두통과 요통을 경험한다면, 한번쯤 발의 균형을 검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검사결과 발의 균형이 깨어졌을 경우, 오소틱을 이용한 발 교정을 시도해 볼만합니다
족저 근막염
뒷꿈치 바닥 중앙에서 약간 안쪽을 깊고 단단하게 누르면 매우 아픈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발이 역학적으로 잘못 되었을 때 일어나는 증상입니다.이것은 발바닥 안쪽으로 깔려있는 것과 비슷하게 생긴 건막에 염증이 생겨서 나타나는 통증입니다
첫댓글 인대 파열 조심 해야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