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14. 페널티킥 |
 |
- 볼이 인 플레이일 때 자기측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서 직접 프리킥에 해당되는 10가지 반칙 중 하나를 범하였다면 상대팀에게 페널티 킥으로 판정한다. - 페널티 킥에서 직접 득점이 된다. - 경기 시간 종료(전·후반, 연장 전·후반)직전에 선언한 페널티 킥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경기시간을 연장해야 하다. |
(1) 볼과 선수들의 위치 |
- 볼은 페널티 마크에 있어야 한다. - 페널티 킥을 하는 선수는 정당한지 확인해야 한다. - 수비측 골키퍼는 킥이 될 때까지 키커를 향하여 그의 골 포스트 사이의 골 라인 위에 머물러 있어야 한다. - 키커 이외의 다른 선수들의 위치는 경기장 내에 페널티 에어리어 밖 페널티 마크의 뒤쪽에 페널티 마크에서 최소한 9.15m 떨어진 곳에 있어야 한다. |
(2) 주심은 |
- 규칙에 따라 선수들이 위치를 택할 때까지 페널티 킥을 하라는 신호를 하지 않는다. - 페널티 킥이 완료되었을 때 판정한다. |
(3) 절차 |
- 선수는 페널티 킥을 앞쪽으로 한다. - 키커는 다른 경기자에 터치되기 전에 재차 플레이할 수 없다. - 킥한 볼이 앞쪽으로 움직이면 인 플레이이다. - 경기 시간 종료(전·후반, 연장전의 전·후반) 직전에 선언된 페널티 킥을 진행 또는 다시 차기 위하여 시간이 연장된 경우, 만일 볼이 양 골 포스트 사이와 크로스 바 아래로 지나가기 전에 볼이 양 골 포스트와 크로스 바 또는 골키퍼 등 복합적으로 터치된 후 골인되었다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
(4) 위반 / 처벌 |
- 만일 주심이 페널티 킥을 하라는 신호를 보냈고, 볼이 인 플레이되기 전 다음 상황 중 한 가지가 발생했다면 - 페널티 킥을 하는 선수가 경기 규칙을 위반했을때 - 주심은 킥을 진행하도록 허용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갔다면 킥을 다시 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킥을 다시 하지 않는다. - 골키퍼가 경기 규칙을 위반했을때 - 주심은 일단 킥을 하도록 허용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갔다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킥을 다시 한다. - 키커의 동료가 페널티 에어리어 안에 들어왔거나, 페널티 마크보다 앞쪽으로 움직였거나, 페널티 마크에서 9.15m내에 있을 경우 - 주심은 킥을 진행하도록 허용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갔다면 킥을 다시 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킥을 다시 하지 않는다. - 만일 볼이 골키퍼나 크로스 바 또는 골 포스트에 맞고 튀어나온 것을 침입한 선수가 터치했을 경우, 주심은 경기를 중단시키고 수비팀에게 간접 프리킥을 부여한다. - 골키퍼의 동료가 페널티 에어리어 내에 들어왔거나, 페널티 마크보다 앞쪽으로 움직였거나, 페널티 마크에서 9.15m내에 있을 경우 - 주심은 킥을 진행하도록 허용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갔다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 볼이 골로 들어가지 않았다면 킥을 다시 한다. - 공격, 수비 양팀 선수들이 경기 규칙을 위반했다면 킥을 다시 한다. - 페널티 킥을 한 후 다른 경기자에 터치되기 전에 키커가 재차 볼을 터치 했다면(손 사용 제외) 위반이 발생한 지점에서 상대팀에게 간접 프리킥을 부여한다. - 다른 경기자에 터치되기 전에 키커가 고의적으로 핸들링을 했다면 위반이 일어난 지점에서 상대팀에게 직접 프리킥을 부여한다. - 킥한 볼이 앞쪽으로 움직이는 도중 외부 작용물에 터치됐다면 킥을 다시 한다. - 킥한 볼이 골키퍼, 크로스 바, 골 포스트 등에 맞고 경기장 내로 들어온 다음 외부 작용물에 터치되었다면 주심은 경기를 중단한뒤, 외부 작용물에 터치된 지점에서 드롭 볼로 경기를 재개하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