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암흑기
성결교회는 외국인 선교사가 오기 전 정빈, 김상준 두 선생이 처음 시작한 한국인의 손으로 세운 교회로 한국인의 자부심을 간직한 자생적인 교단이다. 일제 침략이 본격화되던 1907년에 한국교회 대부흥운동과 함께 성결복음이 처음으로 이땅에 씨앗을 내렸다. 당시 일제는 신사참배를 강요하며 기독교를 향해 폭압에 칼날을 들이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결교회는 순교자의 정신으로 하나님을 향한 사랑으로 굳건히 신앙을 지켰다. 그리고 그때부터 시작된 선교운동은 오순절운동에 못지않게 요한웨슬레의 부흥운동을 이어 받아 성령운동의 거대한 물결을 만들어 냈다. 그러나 일본제국주의가 극에 달했던 1943년 재림교리가 천황의 신성을 모독했다는 이유로 성결교회는 마침내 강제 해산을 당하고 말았다.
![](https://img1.daumcdn.net/relay/cafe/original/?fname=http%3A%2F%2Fkcm.kr%2Fdic_image%2Fd966684ceccd9aee8a449ee37a7a4f26.jpg)
교단 제건 및 분열
성결교회는 1945년 해방과 함께 박해의 역사를 딛고 다시 재건하게 됐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다시 한번 한국동란과 교단분열이라는 깊은 고통의 터널을 지나야만 했다. 한국동란으로 교단산하 100개 이상의 교회가 폐쇄 및 파괴되고 수많은 교역자와 평신도들이 순교 또는 납북되었는데,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1951년 4월 교단 최초로 국군에 군종목사를 파송했다. 또 교계의 불어온 자유주의 신학의 바람으로 1961년 4월 14일 N.C.C 및 N.S.E 등 연합회기관 가입 문제가 발단되었고 이에 복음진리 수호라는 고통의 산고 속에 합동특별총회를 개최함으로 성결교회가 다시 새롭게 출발하게 됐다.
교단 성장기
현재 본 교단 예수교대한성결교회(이하, 예성)는 1974년 78개 교회에서 2007년 현재 국내외 1,300교회로 증가하는 등 폭발적인 부흥으로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고(故) 김응조 목사의 사택에서 시작돤 신학교는 6개의 단과대학을 거느린 국내 최대의 성결대학교로 발전하여 성결교의 성장과 함께 경이적인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1992년 10월 88체육관에서 교단 최초로 예성세계선교대회를 개최하였고, 이후 성결교회 부흥의 물결은 성결인의 세계대회로 이어져 1995년 10월 1일 잠실올림픽주경기장에서 미국, 일본, 캐나다, 영국 등 57개국에서 방문한 1,000명의 방문자들과 10만 예성인들이 ‘95AWF대회 및 성결인의 세계대회’라는 성대한 성결인의 축제를 마련하여 성결교회의 위상을 점차 세계적으로 넓혀가고 있다.
형제교단인 기성과도 교류를 확대하고 있는데 2000년 6월 26일 예성·기성 교단교류협력위원회를 구성한 이래 현재 매 해마다 '한국성결교회연합회 정기총회 및 신년하례회’를 마련하여 임원수련회의 공동개최, 교회학교 교재의 공동발간 등 양 교단 간 교류를 점차 확대하고 있다.
교단의 현재
예성은 2005년 10월 27일 ‘예성 100주년 비전선포식’을 개최하였고, 2007년 4월 24일부터 26일까지는 광주광역시에서 2,000여명의 목회자와 평신도들이 모인 가운데 ‘100주년 연차대회 및 제86회 총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또 역사적인 교단 선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예성 100주년 기념대회’를 2007년 5월 20일 성결대학교 대운동장에서 개최했다. 예성 산하 전국지방에서 모인 목회자와 성도 2만여명이 운집한 가운데 열린 100주년 기념행사는 교단의 선교 100년을 마무리하고, 100년 이후의 새로운 미래를 향한 교단의 비전을 확인하고 선포하는 힘찬 도약의 시간이 됐다.
이제 예성인들이 이뤄야 할 일들을 소개한다. 그것은 로드맵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마련된 '예성 Vision 2020'이라는 교단 프로젝트의 실현이다. 예성 선교 1세기를 마감하고 2세기를 새롭게 시작하면서 마련된 '예성 Vision 2020'은 성경교육과 부흥운동으로 성결성을 회복하여 성결교회의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과 구원받은 성도의 사명인 전도운동을 회복하는 것으로 행정, 교육, 선교, 복지영역으로 나누어 시행된다.
행정영역은 총회헌장연구위원회 발족과 총회본부 행정개혁, 사중복음회관 건립을 들 수 있으며, 교육영역은 평생교육원의 활성화, 성결대학교의 발전책, 교육정책 개발본부 신설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교단산하 교육기관인 성결대학교의 발전책은 학교 발전계획을 위한 컨설팅 마련, 신대원 목회학석사(M.Div.) 과정 전 학생에 대한 장학금 지급, 실천신학 부문에 지교회 현장사역을 필수전공으로 한 학점제도의 실시, 지교회 담임목사가 점수를 주는 인턴과정제 실시, M.Div. 전담 전문교수제의 도입, 독립체산제, 목회학박사(D.Min.) 과정의 신설 등을 들 수 있다. 아울러 교회학교 공과개발 교육과 훈련을 위한 교육위원회 조직, 인재풀제를 평신도까지 확대하여 적용하게 되며, 대학 및 대학원 수석입학자와 졸업자에게는 전 장학금 지급과 함께 유학까지 보장해 줄 계획이다.
선교영역은 교회성장연구소 설립, 사단법인 해외선교위원회 설립, 사단법인 국내선교위원회 설립, 성결교회의 정체성 회복을 위한 부흥운동본부 설립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교회성장연구소는 개척교회 훈련본부와 단계 별 교회성장훈련본부를 운영하게 된다. 복지영역은 목회자 최저생계비 해결, 은급재단 활성화, 사회복지법인 설립, 상담소 활성화이다. 특히 최저생계비 해결 부문은 점진적으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인데 미자립교회 목회자 자녀를 위한 장학재단도 설립할 예정이다.
>> 목차고리 : 교단 > 성결교
>> 바깥고리 :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총회
http://kcm.kr/dic_view.php?nid=39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