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2010 |
2011 |
2012 |
2013 |
카드수 |
5,732,708 |
6,977,039 |
7,482,669 |
6,984,174 |
<지역‧카드사업자별 구분 없이 호환 가능한 교통카드 표준사양 마련>
□ 기존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위주로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기차, 고속버스, 고속도로 통행요금 등
교통인프라 이용까지도 결제할 수 있다.
□ 현재는 카드 사업자별로 사양이 다른 교통카드를 발행하고 있어 이를 호환이 가능토록 하려면 시스템을 대폭
개선해야 하는데 이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 이에 따라서 동일한 사양의 교통카드를 발행해 기존 시스템의 큰 개선 없이도 전국 어디서든 카드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전국 ▴버스‧지하철 ▴기차 ▴시외버스 ▴고속도로 등 쓰임새 다양화>
□ 먼저, 전국호환 교통카드로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또한, 시외버스나 기차 승차권 구입, 고속도로 통행료 결제도 가능해 지역이나 교통수단의 구분 없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 그 동안 교통카드가 대중교통에서만 주로 사용되었다면 이제는 도시를 연결하는 기차, 고속도로까지 넓어져
전국을 아우를 수 있게 되었다.
□ 게다가 ‘15년 상반기부터는 고속버스 요금 결제도 가능해져 카드의 사용범위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존 선불 교통카드도 12월부터 3년간 전국호환카드와 동일 기능 사용가능>
□ 한편, 현재 사용 중인 T-money 교통카드는 지금처럼 전국의 대중교통, 택시와 더불어 올 12월부터는
기차, 고속도로 등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 단, 2004년 초기에 유통된 일부 카드(약 2만장, 전체카드 중 0.048%)는 호환이 되지 않으므로 사용 전 확인이 필요하다.
이처럼 기존 T-money 카드도 호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시민들이 전국호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카드를 새로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을 줄이고, 쓸 수 있는 카드를 교체하면서 발생하는 매몰비용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 다만 기존카드의 호환사용은 표준사양카드로 일원화 한다는 전국호환 교통카드 도입 취지에 따라 오는 12월부터
3년 동안 가능하다.
□ 김경호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이제 교통카드는 생활 속 편의를 위해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았다.”며 “카드 한 장만으로 기차, 시외버스, 고속도로를 자유롭게 이용해 전국을 더 편리하게 누빌 수
있도록 전국 호환서비스의 조기 정착을 위해 노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참고 : 전국호환 교통카드 사용처
○ 사용처
- 대중교통(버스, 지하철) :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울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세종, 대전 (티머니만 가능), 대구․강원․광주(캐시비만 가능)
- 전국 고속도로(일부 민자도로 제외), 모든 철도역 기차표 구매 가능
- 시외버스는 현재 경기, 강원, 전북, 전남, 충북, 경북, 경남 일부 노선에서 시범운영 중으로 하반기 중 개통 확산
- 고속버스는 하반기 시범운영을 거쳐 연말까지 전국호환 카드 시행
○ 미개통 지역(’13.6.21 기준)
- 티머니 : 대구, 광주, 강원, 전남 일부(장흥,영광, 곡성, 진도), 경북(영천, 청도, 고령, 칠곡, 성주), 경남(김해)
- 캐시비 : 대전, 경북 ․ 경남 일부(통영, 안동, 거제, 남해, 하동, 거창, 함양, 합천, 고성, 창녕, 산청)
○ 구입 및 충전 - 6월 21일부터 수도권 시작, 전국 교통카드 판매처(편의점, 가판점) 판매․충전 ∙ 티머니 : 편의점 24,522개소(GS25, CU, 세븐일레븐 등), 가판점 5,882개소 ∙ 캐시비 : 편의점 23,727개소(GS25, CU, 세븐일레븐 등), 가판점 16,000개소
○ 기타 문의사항 안내 - 티머니 : 홈페이지 www.t-money.co.kr / 고객센터 1644-0088 - 캐시비 : 홈페이지 www.cashbee.co.kr / 고객센터 1644-000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