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흥안씨 안명옥(安命玉, 1797-1849)이 쓴 탐진안씨 족보 서문은 족보 간행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쓴 것으로 보이나, 실제 족보로는 간행되지 못하고,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족보 서문과 함께 《탐진세고(耽津世稿)》의 말미에 부록으로 실려 간행된 것같다. 이 서문은 1849년 이전에 쓰인 것이 분명하므로, 탐진안씨가 순흥분파라는 말이 나오는 가장 초기의 문헌으로 보인다. 안원린(安元璘)이라는 이름은 나오지 않고 탐진군(眈津君)으로만 칭했다.
탐진세고(耽津世稿) : 국립중앙도서관
탐진세고(耽津世稿) : 한국국학진흥원
탐진세고(耽津世稿)는 간행연도가 불명이나 서문, 발문 등의 글로 보아 1800년대 후반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는 본격적으로 순흥분파설을 채택하고 있으며, 권1에 나오는 세계도(世系圖)에는 순흥안씨로 부터 탐진안씨가 분파하는 계보가 자세히 실려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한국국학진흥원 소장본에는 이만각(李晩慤, 1815-1874)의 탐진세고 발문까지만 있고, 그 뒤에 나오는 안명옥(安命玉, 1797-1849)과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족보 서문은 누락되어 있다.
안명옥과 이원조의 족보 서문은 이후 강진안씨세보(康津安氏世譜) 계미보(癸未譜, 1883)에 서문으로 실렸다. 아마도 이때문에 이후 인출된 탐진세고(耽津世稿)에서는 제외된 것같다. 족보의 서문은 책의 성격에 맞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
탐진안씨 세보(耽津安氏 世譜) 서문 - 안명옥(安命玉)
이목은(李牧隱)이 근재(謹齋, 安軸)의 세 아들이 과거에 오름을 축하하는 시서(詩序)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근재(安軸) 선생의 아드님으로 지금 밀직(密直)으로 있는 분(安宗源)은 나와 동년진사(同年進士)이다. 그는 일찍이 말하기를 ‘나의 선군(先君;先親, 安軸)께서는 3형제가 과거로 출세하여 재상(宰相)의 지위를 이루었으며, 내 아들도 세 사람이 모두 요행히 과거에 급제하였고, 문성공(文成公, 안향)의 손자인 정당공(政堂公)도 세 아들을 두었는데, 또한 모두 과거에 올랐다.’ 하였다.”
위의 정당공은 바로 겸재공(謙齋公, 안목)이니, 겸재공이 세 아들을 두심은 위와 같이 명백한데도 다만 순성군(順城君, 안원숭) 한 분만이 족보에 보이고 있는 것은 자손들이 흩어져있어서 보첩을 만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선군자(先親, 安在默)께서는 일찍이 회헌선조(晦軒先祖, 안향)의 연보(年譜) 한 편과 시문(詩文) 및 제현(諸賢)들이 기술한 것을 뽑아서 합하여 《실기(實記)》 한 권을 만드셨는데, 주자(朱子)의 연보에 세계(世系)를 겸하여 붙인 예를 따라 세계를 기록하였다. 이때 보성(寶城)의 종인(宗人)인 모모(某某)씨가 죽성(竹城)의 세보(世譜) 한 책을가지고 와서 보여주었는데, 그 책에는 ‘별장공(別將公, 安子美)을 시조(始祖)로 하였고, 겸재공(안목)의 아드님인 순성군(안원숭)을 장자로 하였으며, 죽성군(안원형)을 차자(次子)로 하였다. 죽성군은 벼슬이 문하시중(門下侍中)으로 시호(諡號)가 문혜공(文惠公)이었는데, 국가에 공로가 있어 죽성군으로 옮겨 봉하였다. 그리하여 그 자손들이 죽성군을 처음 봉함을 받아 옮긴 시조로 삼고 족보를 따로 했다.’하였다. 그렇다면 순흥안씨의 족보에 함께 기록하지 않음은 진실로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다.
이제 초계(草溪)의 종인(宗人)인 석기(碩璣)와 사흡(思翕)씨가 또 그 집안의 세계 한 책을 가지고 와서 보여주었는데, 그 책에는 ‘순성군(順城君, 안원숭) 죽성군(竹城君, 안원형) 탐진군(眈津君)을 같은 형제로 하고, 탐진군은 공로로써 탐진군으로 옮겨 봉해졌으므로 그 자손들이 옛 족보에 기재되지 않았다.’ 하였으니, 그렇다면 목은(牧隱)의 시서(詩序)에 말씀한 ‘정당공의 세 아들이 과거에 올랐다.’는 말씀은 여합부절(如合符節)한 것이다. 애석하게도 세대가 점점 멀어짐에 보첩을 구비하지 못하여 자손들이 각기 관향을 달리하여 순흥안씨와 함께 족보를 하지 못함이 애석하다.
석기 · 사흡 두 종인은 탐진군 이상은 관향이 순흥임을 자세히 기록하여 선계(先系)가 나온 바를 분명히 하고는, 나에게 한 말을 써서 책머리에 기록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나는 사양하였으나 허락하지 않으므로, 이에 선군자(先君子)께서 일찍이 죽성군 자손의 파보에 서문을 쓰신 예를 따라, 대략 그 전말을 써서 다음 날에 고증하고 신빙하는 자료로 삼게 하는 바이다.
순성군(안원숭)의 후손 진사(進士) 명옥(命玉)은 삼가 서(序)하다.
耽津安氏世譜序
謹按李牧隱賀謹齋三子登科詩序有曰謹齋先生之嗣今密直公穡同年進士也甞曰吾先君三昆季由科第顯致位宰相吾子三人皆僥倖末第族祖文成公之孫政堂公有三子皆亦登第云政堂公卽謙齋公也謙齋公之有三子若是其明白昭然而只有順城君一人見於譜者由子孫散在 譜牒未裒也先君子甞撰輯晦軒先祖年譜一編及詩文諸賢記述合爲實記一編遂依朱子年譜兼附世系之例載錄世系之時寶城宗人某某甫來示竹城世譜一册其書以別將公爲初祖而謙齋公子行順城君爲長竹城君爲次官門下侍中諡文惠有功移封竹城君其子孫因以竹城爲始封移籍之祖而別其譜則順興之譜未之同錄者固無足恠也今者草溪宗人碩璣思翕甫又來示其家世系一本其本以順城竹城耽津爲兄弟而以功移封耽津君故其子孫不載於舊譜云則牧隱詩序所云政堂公三子登科若合符契惜乎世代逾遠譜牒未備其子孫各爲異貫不與同譜於順興也碩璣思翕兩宗人備書耽津君以上貫順興以明先系之所自出要不佞一言以弁其卷首辭不獲謹依先君子序竹城子孫派譜例略書其顛末以爲後日考信之資云耳
順城君後孫進士 命玉 謹序
[주석]
* 하근재삼자등과시서(賀謹齋三子登科詩序) : 이는 잘못된 말이고, 실제로는 근재(謹齋) 안축(安軸, 1282~1348)이 아닌 그의 아들 안종원(安宗源, 1325~1394)의 세아들 등과를 축하하는 시의 서문이다. 원제목은 賀竹溪安氏三子登科詩序임. 안응창(安應昌, 1603~1680)도 순흥안씨 기해보(已亥譜, 1659년)의 안원숭(安元崇) 기록에서 똑같은 서문의 제목 실수를 범했다.
* 恠 : 怪의 이체자
: 佞의 이체자
* 원문보기
: 순흥안씨일파죽산탐진족보(順興安氏一派竹山耽津族譜) 총록 역대 순흥보 서문 (맨뒤의 서문) : 일본 동경대학
: 탐진안씨족보 서문 - 안명옥 (순흥안씨참판공파족보 順興安氏參判公派族譜, 1980) : 로그인 후 열람 가능
----------------------------------
안명옥(安命玉, 1797-1849)은 순흥1파 갑신보( 1824년)와 경인보(1830년) 간행을 주관하고, 《회헌실기(晦軒實記)》 편찬에도 간여한 안재묵(安在默, 1767~?)의 아들이며, 안종약(安從約) - 경(璟) - 인후(仁厚) - 성(珹) - 순좌(舜佐) - 기(玘)의 후손이다.
순흥안씨 찬성공파 인터넷 족보 검색에서 찾을 수 있다.
晦軒先生實記 : (幷)竹溪誌 / 安克權 編; 安在默 增補 1884
文成公實紀. 1-2 / 安在默 編 1895
-------------------------------------
탐진세고(耽津世稿)의 족보 서문
국립중앙도서관이나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탐진세고(耽津世稿)에는 맨 뒷부분에 있어야할 족보 서문이 없다. 아래 경매 사이트에 올라있는 탐진세고 이미지에 족보 서문의 일부가 보인다.
고목판본 안사룡(安思龍)안후곤(安厚坤) 탐진세고(耽津世稿) 磊谷逸稿 권3,4終 1책 > 고서적 : 옛날물건 (판매 사이트)
https://www.yetnal.co.kr/shop/item.php?it_id=1689169622
책의 맨 뒤 이만각(李晩慤, 1815-1874)의 탐진세고 발문 뒤에 안명옥(安命玉, 1797-1849)의 탐진 족보 서문 앞부분과 이원조(李源祚, 1792-1871)의 족보 서문 뒷부분 일부가 있음.
-------------------------------------
아래는 순흥안씨일파죽산탐진족보(順興安氏一派竹山耽津族譜, 1980년, 경신보庚申譜)에 실린 안명옥(安命玉)의 탐진안씨 족보 서문 전문이다.